안녕하세요~ 1인용 전동 리클라이너 전문 클라젠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지방에서 택배로 제품을 받을 경우 조립을 어떻게 하면 되냐?'를 문의하셔서
만들어 봤습니다~~!!
[퍼스트클래스 전동리클라이너 박스오픈 부터 조립완성까지~!!]
그럼 본격적으로 박스 오픈에서부터 조립 완성까지의 전과정을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창고에서 싱싱한 놈으로 골라 촬영장에 왔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23A365533673317)
클라젠의 퍼스트클래스 리클라이너의 공급처인 라이프스타일의 로고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참고로 라이프스타일은 세계 2위의 가구 유통사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A2133553367492F)
옆면에 사람이 잡고 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손잡이도 있습니다.
박스의 무게는 45킬로그램입니다.
한 사람이 들어서 옮기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2분이라면 여성분들도 가볍게 옮기실 수 있는 무게랍니다.
박스 사이즈는 103*88*78 cm입니다.
박스는 내부에 있는 제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제품보다 약간 작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소파의 쿠션이 약간 눌려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제품을 꺼내 놓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파의 쿠션은 원상태로 돌아옵니다.
참고로 포장박스는 해외 운송용 포장박스이기 때문에 굉장히 튼튼하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0E98335533675F0E)
박스 상단을 개봉하였습니다.
박스를 해체할 때는 칼을 사용하면 제품이 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박스에 붙어있는 테이프를 손으로 뜯어야 합니다.
두꺼운 골판지 박스 안에 하얀 부직포 커버와 방수용 비닐로 포장이 된 리클라이너가 들어 있습니다.
위쪽에 하얀 물체는 제품 보호용 스펀지랍니다.
추가로 박스의 각 모서리에는 아주 두꺼운 압축 종이 프레임이 추가로 들어가 있어서
박스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합니다.
정리하자면..
제품은
1. 두꺼운 골판지 박스
2. 충격 흡수용 스펀지
3. 사각 압축 종이 프레임
4. 흰색 부직포 커버
5. 방수용 비닐포장
으로 튼튼하게 포장 구성되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293415533677727)
방수용 비닐포장을 뜯어보았습니다.
제품은 등받이와 리클라이너 본체 이렇게 두 덩어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왼쪽이 등받이, 오른쪽이 리클라이너 본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65A441553367911B)
등받이와 리클라이너 본체가 각각 따로 흰색 부직포 포장이 되어 있습니다.
우선 등받이를 먼저 박스에서 꺼냅니다,
등받이는 매우 가볍습니다.
어린이도 들 수 있을 정도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7E446553367AA05)
등받이를 꺼낸 후의 박스 모습입니다.
리클라이너 본체만 남아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52E341553367C729)
리클라이너 본체는 무거워서 꺼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박스를 옆으로 뉘여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EE743553367DA13)
뉘어져 있는 박스의 상단을 개봉합니다.
드디어 리클라이너의 본체의 모습이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8623E553367EE01)
흰색 부직포 커버는 아랫부분이 흰색 끈으로 조여져있습니다.
때문에 그냥 뜯으면 힘이 드니 끈을 풀어주고 부직포 커버를 벗겨냅니다.
드디어 리클라이너의 본체의 모습이 살짝 보이는군요 ^^
부끄럽습니다~~ ㅎㅎ
![](https://t1.daumcdn.net/cfile/cafe/2617E4455533680104)
리클라이너 등받이가 결합되는 강철 포스트(기둥)를 보호하기 위해 흰색 원형 스티로폼이 끼워져 있습니다.
왼쪽의 흰색 스티로폼에 어댑터 부속이 테이핑 되어 있습니다.
리클라이너 하단에 어댑터를 연결할 본체 전원 연결 잭이 나와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57F6445533681810)
흰색 어댑터 박스 안에 어댑터 본체와 전선코드가 들어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6495415533682920)
어댑터 박스의 내용물입니다.
어댑터 본체, 전원코드, 어댑터 영문 사용설명서입니다
뭐~ 특별한 내용이 있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전기제품 사용주의 사항입니다.
물 묻은 손으로 만지지 말고 분해하지 말라는 내용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65853E5533683F0F)
본체의 전원 연결잭과 어댑터의 연결단자를 서로 결합하여 줍니다.
전원 연결 잭의 방향이 맞지 않으면 결합이 되지 않도록 양쪽의 암수 모양이 서로 다릅니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고려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8F2455533685D10)
전기장치를 연결한 후의 모습입니다.
리클라이너 본체 위에 등받이를 올려놓았습니다.
전기코드는 넉넉하지만 혹시라도 전기선이 짧으시다면...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55D0415533686E2D)
리클라이너 본체 하단 후면에 전원 연결 잭이 나오는 곳이 있습니다.
그 바로 옆에 빨간색 동그라미로 친 곳의 흰색 케이블 타이를 제거하면 됩니다.
그러면 상당히 여유 있는 길이의 전선이 추가로 나옵니다.
* * *
이제부터는 등받이와 리클라이너 본체를 연결하겠습니다.
우선 연결할 등받이를 리클라이너 본체 위에 등받이 후면이 위를 향하게 올려놓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549D41553368862B)
빨간색 동그라미 A가 등받이의 연결 슬롯이고
하얀색 동그라미 B가 리클라이너 본체의 강철 포스트(기둥)입니다.
두 부위를 서로 결합시키면 됩니다.
굉장히 쉽지만 혹시라도 어렵다고 느끼실 분들을 위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4B8943553368B70E)
등받이의 연결 슬롯의 상세 이미지입니다.
왼쪽의 동그란 구멍이 뚫린 사각모양 클립 부품이 보입니다.
스프링강으로 되어 있어서 당기면 들어 올려집니다.
이 부위에 본체의 강철 포스트가 끼워지면 '딱' 또는 '끽' 소리가 납니다.
등받이를 분해하실 때는 일자 드라이버로 등받이의 연결 클립부를 들어 올리시면 쉽게 분해가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238536553368CF0C)
빨간색 동그라미가 등받이가 끼워질 리클라이너 본체의 강철 포스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199B34553368E714)
팁!!
등받이를 조립시에 후면 커버를 테이프로 고정시키면 커버가 내려오지 않아 연결 작업하기가 수월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078E3C5533690E12)
리클라이너 본체의 모습입니다.
아래쪽 강철 포스트가 잘보이지 않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404935553369230E)
한번 확대해서 빨간색으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등받이와 연결할 때 강철 포스트 간격이 약간 넓거나 좁아서 잘 안 끼워질 때도 있습니다.
강철 포스트는 좌우로 약간 유격이 있기 때문에...
등받이를 연결할 때 등받이 연결 슬롯으로 살짝만 힘주시어 밀어주시면 쉽게 끼워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C64355533693825)
등받이는 세워서 들어 올려 끼우시려고 하지 마시고 본체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아래의 사진처럼 등받이의 연결부를 좌우 양손으로 잡은 후 기울여 내려서 끼우시면 편합니다.
등받이를 끼우신뒤에는 항상 등받이위를 어래쪽으로 힘껏 밀어 주십시오
연결부위가 고정이 되려면 '딸깍' 또는 '끽' 비슷한 소리가 나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A633A5533695B1B)
간단하게 움직이는 이미지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참고가 되실듯합니다.
등받이 후면의 커버는 꼭 아래쪽의 찍찍이를 본체 하단에 붙여주세요~^^
어떻습니까? 굉장히 쉽지요?
이상 [퍼스트클래스 전동 리클라이너 박스 오픈부터 조립 완성까지~] 포스팅이었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