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깨달음터 - 앱솔의 세계
 
 
 
 

최근 댓글 보기

 
최신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제주공
    2. 넘버원
    3. 뽈뽈
    4. 부다랑
    5. 유동민
    1. 우주
    2. 우주생명
    3. 능슝능슝
    4. 야마꼬양
    5. 세종북트리도서관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카페 통계

 
방문
20240612
3
20240613
4
20240614
2
20240615
1
20240616
1
가입
20240612
0
20240613
0
20240614
0
20240615
0
20240616
0
게시글
20240612
0
20240613
0
20240614
0
20240615
0
20240616
0
댓글
20240612
0
20240613
0
20240614
0
20240615
0
20240616
0
 
카페 게시글
┏ Absoul in [ open ] 『깨달음』 or 『재림심판』에 이르는 방법 6가지 제의
앱솔 추천 0 조회 116 13.02.15 19:47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02.16 15:07

    첫댓글 앱솔의 세계로 본 "나"의 구조 하단에 있는 <제0원천자>의 4가지 표시를 대입해 보니 조금은 이해가 되는 듯 하여 적어 봅니다. 1. 더하기 : 모든 문명이 발전하여도 지구의자체는 언젠가는 우주에서 사라지게 되니 그때의 발전된 미래인류는 지구와 함께 사라지는 것이 아닌 다른 새로운 문명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른 행성으로 떠나 갈테니 또 다른 시작 즉 문명을 계속 이어 발전 시키는 영원성을 잃지 않는 것이 되니 우주시작의 성질이 아닌가 합니다.2. 빼기 ; 육체, 생각, 등등 모든 것을 제외해도 남아서 있는 무엇인가가 존재하고 있으니 스스로 존재케 하는 그 성질 이 또한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영원성을 의미하는것 같습니다.

  • 13.02.16 15:15

    3. 움직임을 쫒아 : 씨앗이 사계절을 지나 새로운 열매를 맺은 후 하나의 다른 씨앗이 되어 반복되어 계속 이어져 나가 듯이 그 힘 또는 의지 역시 영원성을 잃지 않음이요,
    4. 욕구를 쫒아 : 끊임없이 일어나는 욕구 또한 내면의 이것으로 인함 즉 무의식의 영이 존재함이니..
    결국 깨달음의 궁극적가치는 나,(제1당사자, 주체) 너(제2당사자, 객체)가 합해 우리가 되어<하나> 영속성(영생)을 잃지 않는 것이 아닌가 제 견해에서 풀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13.03.05 17:23

    모든 수련의 총아를 본듯합니다

  • 작성자 13.05.13 21:23

    게시글 메뉴에 <불경(佛經)에 대한 오해>
    - 앱솔의 세계로 본 반야심경(般若心經) 한글풀이 : http://cafe.daum.net/absoul/HnL6/1
    - 그림으로 보는 반야심경(般若心經) : http://cafe.daum.net/absoul/HnL6/4
    - 무아(無我)와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褥多羅三藐三菩提)란? : http://cafe.daum.net/absoul/HnL6/2
    - 진여불성(眞如佛性) : http://cafe.daum.net/absoul/HnL6/3

    시간 나실 때 천천히 보시고, 어느 정도의 사념을 정리할 시간을 가지신 다음에 나-중에 다시 이야기의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ㅅ

  • 13.07.20 07:32

    ⊙미생물도 인간의 심보와 조금도 다름없이
    네트웍 망식으로 고리와 매듭으로 연결 되여
    있슴을 히미하게 떠울려 봤습니다._()_

  • 작성자 13.07.20 08:04

    혹시, 역삼각형의 깔때기 모양으로 보았을때, 삼각꼭지가 무기체의 모래알이고 윗면이 유기체의 사람이라고 예를 든다면,
    작은 모래알이 부서지는 꼭지점의 미미한 감정이 확대된 것이 사람의 감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사람의 감정은 우주의 모든 존재들이 갖는 감정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당사자이자 대변자이기도 한 일체자라 할 수 있겠습니다. 들어 보셨나요.. 지렁이의 비명소리를...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