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YSIOLOGICAL VIEW OF "THE PASSION OF THE CHRIST"
Onnuri English Ministry at Yangjae / April 04,2004
Each year, Cahleen Shrier, Ph.D.,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Biology and Chemistry, presents special lecture on the Christ's crucifixion. She details the physiological process a typical crucified victim underwent and teaches her students to see Christ's death on the cross with new understanding.
생화학부의 부교수인 컬린 쉬라이어 박사는 매년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에 관한 과학적 근거에 대한 특별강좌를 제공한다. 그는 십자가에 처형당하는 피해자가 겪어야 할 전형적인 과정을 생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갖도록 한다.
The exact events in this scenario may not have happened in Jesus specific case, but the account is based on historical documentation of crucifixion procedures used during that time period. Please be aware that following is of a realistic and graphic natu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from the beginning that Jesus would have been in excellent physical condition.
다음의 진술들은 아주 현실적이고 생생한 묘사임을 주지해야 한다. 처음부터 예수는 건강이 매우 좋은 상태였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As a carpenter by trade, He participated in physical labor. In addition,
He spent much of His ministry traveling on foot across the countryside. His stamina and strength were, most likely, very well developed.
직업적인 목수로서 그는 육체노동에 종사했다. 그리고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는 그의 사역 대부분이 도보로 행해졌다는 사실은 아마도 그의 체력과 강건함이 매우 잘 발달된 것임을 시사한다.
With that in mind, it's so clear just how much He suffered: If this torture could break a man in such good shape, it must have been a horrific experience.
이를 염두에 두고 볼 때 예수는 실로 엄청난 고통을 받았음이 분명하다.이런 고통들이 아주 좋았던 건강상태를 일순간에 깨뜨릴 정도의 것이었다면, 이는 분명 십자가의 고통이 아주 끔직한 경험이었음에 틀림없다.
After the Passover celebration, Jesus takes His disciples to Gethsemane to pray. During His anxious prayer about the events to come, Jesus sweats drops of blood. There is a rare medical condition called hemolysis, during which the capillary blood vessels that feed the sweat glands break down. Blood released from the vessels mixes with the sweat; therefore, the body sweats drops of blood.
유월절 잔치 후 예수는 그의 제자들과 함께 겟세마네 동산에 기도하러 가셨다. 장차 다가 올 사건에 대해 고뇌에 찬 기도를 드리는 동안 예수는 피섞인 땀을 흘리셨다. 이는 헤몰리시스(용혈현상: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녹아 나오는 현상)라 불리는 아주 희귀한 신체의학 상태로서 모세혈관이 땀샘을 파괴하고, 혈액이 땀에 용해되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하여 예수의 몸은 피땀으로 범벅이 되었다.
This condition results from mental anguish or high anxiety, a state Jesus expresses by praying "my soul is deeply grieved to the point of
death"(Matthew 26:38). Hemolysis makes the skin tender, so Jesus' physical condition worsens slightly.
이런 상태는 정신적 번민이나 극도의 불안으로부터 초래되는데, 예수께서 드리신 기도 "내 영혼이 깊이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마26:38)에 잘 나타나 있다. 용혈현상은 피부를 연약하게 만듦으로써 예수의 건강상태는 서서히 악화되었다.
Traveling from Pilate to Herod and back again, Jesus walks approximately two and a half miles. He has not slept, and He has been mocked and beaten(Luke 22:56-63). In addition, his skin remains tender from the hemolysis. His physical condition worsens.
빌라도에서 헤롯왕이 있는 곳까지 오가는 대략 2.5 마일(약 4 Km)을 걸으셨던 그는 주무시지 못했고, 조롱을 당했을뿐 아니라 채찍에 맞으시기까지 했다(눅22:56-63). 게다가 그의 피부는 용혈현상으로 인해 더 약하게 되었고 마침내 건강상태는 매우 악화되었다.
Pilate orders Jesus to be flogged as required by Roman law before crucifixion. Traditionally, the accused stood naked, and the flogging covered the area from the shoulders down to the upper legs.
빌라도는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기 전 로마법의 요구대로 채찍질할 것을 명하였다. 전통적으로 기소된 자는 선 채 옷이 벗겨져 어깨에서 다리상부까지 채찍을 맞았다.
The whip consisted of several strips of leather. In the middle of the strips were metal balls that hit the skin, causing deep bruising.
채찍은 몇 가닥의 가죽끈으로 만들어졌다. 가죽채찍 중간중간에는 금속구가 있어서 이것이 피부에 맞닿을 때마다 채찍은 깊은 타박상을 입혔다.
In addition, sheep bone was attached to the tips of each strip.
심지어는 양의 뼈가 채찍 양쪽 끝에 달려 있었다.
When the bone makes contact with Jesus' skin, it digs into His muscles, tearing out chunks of flesh and exposing the bone beneath.
그 뼈가 피부에 부딪힐 때 채찍은 근육을 파헤칠 뿐 아니라 살점을 뜯어내고 뼈 속 깊은 곳까지 드러냈다.
The flogging leaves the skin on Jesus' back in long ribbons.
채찍질은 예수의 등 부위에 긴 리본자국을 남겼다.
By this point , He has lost a great volume of blood which causes His blood pressure to fall and puts Him into shock.
이 지경에 이르면 엄청난 양의 혈액이 쏟아지게 되고 혈압이 떨어지며, 심한 충격에 빠지게 된다.
The human body attempts to remedy imbalances such as decreased blood volume, so Jesus; thirst is His body's natural response to His suffering(John 19:28).
인간의 신체에는 감소된 혈액량의 불균형을 치료하려는 특성이 있는데, 예수의 경우도 그러했다; 갈증 역시 고통받은 육체가 보이는 자연스러운 반응이었다(요19:28).
If He would have drank water, his blood volume would have increased.
Roman soldiers place a crown of thorns on Jesus' head and a robe on His back(Matthew 27:28-29).
만약 그가 물을 마셨더라면 혈액량이 증가했을 것이다. 로마병정들이 예수의 머리위에 가시면류관을 씌우고 등에는 왕의 옷을 입혔다(마27:28-29).
The robe helps the blood clot (similar to putting a piece of tissue on a cut from shaving) to prevent Jesus from sustaining more blood loss.
이 옷은 혈액응고를 촉진하는데(유사한 경우, 면도시 베인 곳에 휴지 한장을 붙이는 것과 같다) 이 옷 때문에 예수는 출혈 후 쓰러지지 않을 수 있었다.
As they hit Jesus in the head (Matthew 27:30), the thorns from the crown push into the skin and He begins bleeding profusely.
그들이 예수의 머리를 내려칠 때(마27:30), 가시는 피부를 파고들어 더 많은 피를 흘리게 하였다.
The thorns also cause damage to the nerve that supplies the face, causing intense pain down His face and neck. As they mock Him, the soldiers also belittle Jesus by spitting on Him (Matthew 27:30).
가시는 얼굴 및 목 아래부분에 심한 고통을 가하면서 안면 신경조직에까지 손상을 입혔다. 그들이 예수를 조롱할 때, 로마군인들은 예수를 업신여기면서 침까지 뱉었다(마27:30).
They rip the robe off Jesus; back and the bleeding starts afresh.
그들이 예수의 옷을 벗기자, 등에는 다시 피가 흐르기 시작했다.
Jesus' physical condition becomes critical. Due to severe blood loss without replacement, Jesus is undoubtedly in shock.
이제 예수의 건강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보충되지 않은 심한 출혈로 인해 그는 큰 충격에 빠졌다.
As such, He is unable to carry the cross and Simon of Cyrene executes the task (Matthew 27:32).
그가 십자가를 더 이상 지고 갈 수 없게 되자, 구레네 사람 시몬이 그 임무를 대신했다(마27:32).
Crucifixion was invented by the Persians between 300-400 B.C.
It is quite possibly the most painful death ever invented by humankind. The English language derives the word "excruciating" from crucifixion, acknowledging it as a form of slow, painful suffering.
십자가 처형은 주전 300-400년 사이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 그것은 이제까지 인류가 고안한 것 가운데 실로 가장 고통스런 사형법이었다. 이로부터 영어단어 'excruciate' (육체에 고통을 가하다)가 파생되었는바, 이는 '서서히 엄청나게 큰 고통을 입힌다'는 뜻이다.
1. Its punishment was reserved for slaves, foreigners, revolutionaries, and the vilest of criminals. Victims were slaves, foreigners,
revolutionaries, and the vilest of criminals. 그것은 노예, 외국인, 혁명가 및 가장 흉악범들에게 가해진 처형법이었다. 피해자는 노예, 외국인, 혁명가 및 가장 흉악범들이었다.
Victims were nailed to a cross; however, Jesus' cross was probably no the Latin cross(†), but rather a Tau cross(T). The vertical piece (the stripes) remains in the ground permanently. The accused carries only the horizontal piece (the patibulum) up to the hill. Atop the patibulum lies a sign (the titulus), indicating that a formal trial occurred for a violation of the law.
죄수들은 십자가에 못박힌다. 그런데 예수의 십자가는 아마 라틴형 십자가가 아니라 'T' 자형 십자가였을 것이다. 수직으로 내려 온 기둥은 땅에 묻혀있고, 기소된 자는 수평으로된 기둥을 언덕 위로 운반한다. 죄수들은 그 수평기둥 위에 기호 "T" 자 모양으로 눕히는데, 이는 위법자의 사건을 심판한다는 형식적인 암시를 담고 있다.
In Jesus' case, this reads "This is the King of the Jews"(Luke 23:38).
예수의 경우 "이는 유대인의 왕이라"는 죄목이 적용되었다.
The accused needed to be nailed to the patibulum while lying down, so Jesus is thrown to the ground, reopening His wounds, grinding in dirt,
and causing bleeding. They nail His "hands"to the patibulum.
기소된 자는 수평형 기둥에 못박히도록 눕혀졌다. 그리하여 예수는 땅바닥에 내팽겨쳐지고, 불결한 먼지에 뒹굴어 상처는 다시 도져 출혈하게 된다. 그들은 예수의 손에 못을 박았다.
The Greek meaning of "hands" includes the wrist. It is more likely that the nails went through Jesus' wrists. If the nails were driven into the hand, the weight of the arms would cause the nail to rip through the soft flesh.
Therefore, the upper body would not be held to the cross. If placed in the wrist, the bone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 support the weight of the arms and the body remains nailed to the cross. The huge nail(seven to nine inches long).
손에 대한 헬라어적 의미에는 손목까지 포함된다. 오히려 심자가의 못은 손이 아니라 손목을 관통했다는 것이 더 그럴법한 표현일 것이다. 만약 못이 손(과 손목)을 통과했다면, 손 아래부분의 뼈들은 팔과 십자가에 못박힌 몸의 무게를 지탱했을 것이다. 그 못은 길이가 7-9인치에 이르는 장대못이었다.
2. damages or severs the major nerve to the hand (the median nerve)upon impact. This causes continuous agonizing pain up both of Jesus' arms. 그 못은 손의 주요한 신경을 손상하거나 절단했다. 이것은 예수의 양 팔을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고통의 원인이었다.
Once the victim is secured, the guards lift the patibulum and place it on the stripes already in the ground. As it tis lifted, Jesus' full weight pulls down on His nailed wrists and His shoulders and elbows dislocate (Psalm 22:14).
일단 피의자가 감금되면 감시자들은 수평기둥을 이미 땅에 세워져 있는 수직 기둥 위에 들어 올린다. 그것이 세워질 때 예수의 몸 전체가 아래로 당겨지며 이 때 십자가는 그의 못 박힌 손, 어깨 및 관절을 탈구시킨다(시22:14).
3. In this position, Jesus' arms stretch to a minimum of six inches longer than their original length. It is highly likely that Jesus' feet were nailed through the tops as often pictured. In this position (with the knees flexed at approximately 90 degrees).
이런 상태에서 예수의 팔은 원래의 길이보다 더 길어져 최소 6인치까지 늘어난다. 이는 종종 묘사된바 대로, 못은 예수의 발등을 관통하여 박혔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태는 (무릎이 대략 90도 정도 구부려지는 자세이다)
4. The weight of the body pushes down on the nails and the ankles support the weight. The nails would not rip through the soft tissue as would have occurred with the hands. Again, the nail would cause severe nerve damage (it severs the dorsal pedal artery of the foot) and acute pain.
몸의 무게는 박힌 못 방향으로 하중이 실리고, 발목은 신체의 무게를 지탱한다.
그 박힌 못 들은 손에서의 경우와 같이, 부드러운 세포조직을 관통해서 살을 찢지는 않았다. 다시금 그 못은 가혹한 신경손상(발등의 수족 동맥을 잘단하는 것)을 가져오고 심각한 고통도 수반하게 된다.
Normally, to breathe in, the diaphragm (the large muscle that separates the chest cavity from the abdminal cavity) must move down.
This enlarges the chest cavity and air automatically moves into the lungs(inhalation). To exhale, the diaphragm rises up, which compresses the air in the lungs and forces the air out (exhalation). As Jesus hangs on the cross, the weight of His body pulls down on the diaphragm and the air moves into His lungs and remains there. Jesus must push up on His nailed feet (causing more pain)to exhale.
정상적인 호흡을 위해서는 횡경막(복강에서 흉강을 분리하는 큰 근육)이 아래로 이동해야 한다. 이것은 흉강을 확대하여 공기를 자동으로 흡입하게 한다. 숨을 내쉬기 위해서는 횡경막을 위로 올려서 폐 안에 공기를 압축하고, 힘주어서 공기를 밖으로 내 보내야 하는데, 예수는 십자가에 매달려 있을 때 신체하중이 횡경막 아래로 당기고 공기는 폐로 옮겨와 남아있는 상태였다. 예수는 숨을 내시기 위해 그의 못박힌 발을 밀어 올려야 했다(이때 더 큰 고통이 가중된다).
In order to speak, air must pass over the vocal cords during exhalation. The Gospels note that Jesus spoke seven times from the cross.
It is amazing that despite His pain, He pushes up to say "Forgive
them" (Luke 23:34).
공기는 말을 하는 동안 성대를 통과하는데, 특히 복음서는 예수가 십자가에서 7번이나 말씀하신 사실을 부각시킨다. 극심한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가 "저들을 용서해 달라고 기도한 것은" 매우 놀라운 점이다.
The difficulty surrounding exhalation leads to a slow form of suffocation. Carbon dioxide builds up in the blood, resulting in a high level of carbonic acid in the blood. The body responds instinctively, triggering the desire to breathe. At the same time, the heart beats faster to circulate available oxygen. The decreased oxygen(due to the difficulty in exhaling)causes damage to the tissues and the capillaries begin leaking watery fluid from the blood into the tissues.
호흡곤란은 서서히 질식상태로 몰고 간다. 이산화탄소가 혈액 안에 쌓이며, 혈액 안에 탄산의 수치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면 신체는 본능적으로 반응하여, 호흡하고 싶은 욕망이 생리적으로 일어난다. 동시에 유효한 산소를 환기시키기 위해 심장은 빠르게 박동한다. 호흡곤란 중의 산소감소는 세포조직 손상의 원인이 되며,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은 세포조직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에서 누설이 생긴다.
This results in a build-up of fluid around the heart (pericardial effusion) and lungs (pleural effusion). The collapsing lungs, failing heart, dehydration, and the inability to get sufficient oxygen to the tissues essentially suffocate the victim.
이는 심장과 폐 주위에 유출의 결과(심장주위 유츌, 흉막의 유출)를 초래한다. 폐가 무너지고 심장이 약화되며, 탈수증세가 일어나면 세포조직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어렵게 되는데, 이 때 십자가에 달린 사람은 필연코 질식상태에 이르게 된다.
5. The decreased oxygen also damages the heart itself (myocardial infarction) which leads to cardiac arrest. In severe cases of cardiac stress, the heart can even burst, a process known as cardiac rupture.
산소결핍은 또한 심장 자체에 손상을 주어 심근경색(심장마비)에 이르게 한다.
심한 경우 심장에 압박이 가해진 후 발작을 일으키면 심장파열로 진행되기도 한다.
6. Jesus most likely died of a heart attack.
After Jesus' death, the soldiers break the legs of the two criminals crucified alongside Him (John 19:32), causing suffocation. Death would then occur quicker. When they came to Jesus, He was already dead so they did not break His leg(John 19:33). Instead, the soldiers pierced His side (John 19:34) to assure that He was dead. In doing this, it's reported that "blood and water came out"(John 19:34), referring to the watery fluid surrounding the heart and lungs.
예수는 심장발작으로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예수의 죽음 후 군인들은 그의 곁에 함께 매달렸던 두 강도의 다리를 부러뜨렸다(요19:32). 질식시키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면 죽음의 고통은 신속히 끝난다. 그들이 예수께 돌아 왔을 때, 그는 이미 죽었기 때문에 다리를 부러뜨리지 않았다(요19:33). 대신 군인들은 그의 옆구리를 찔러 확인 사살했다. 이렇게 함으로 피와 물이 밖으로 흘러 나왔다(요19:34). 이는 사실상 심장과 폐 주위에 쌓인 물이 흘러나온 것이다.
While these unpleasant facts depict a brutal murder, the depth of Christ's pain emphasizes the true extent of God's love for His creation. Teaching the physiology of Christ's crucifixion is a constant reminder of the magnificent demonstration of God's love for humanity that was expressed that day in Calvary. This lesson enables me to participate in communion, the remembrance of His sacrifice, with a grateful heart. I am struck every time with the stunning realization that as a flesh and blood human, Jesus felt every ounce of this execution. What greater love than this can a man have for his friend?
이토록 잔인한 죽음의 장면을 묘사하는 것이 유쾌하진 않지만, 그리스도의 고통의 깊이는 하나님이 그의 피조물을 향해 보이신 사랑이 얼마나 큰 지를 보여준다. 우리가 십자가에 처형 당하심을 생리학적으로 조명하는 이유는, 그 날 갈보리에서 보이신 하나님의 인류애를 영원히 상기시키고자 함이다. 이 강의는 나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희생의 의미를 기리며, 감사의 마음으로 교회 공동체에 동참하도록 이끌었다. 살과 피를 지닌 인간으로서 예수가 당한 이 사형집행을 볼때마다, 이 사실은 나의 뇌리를 친다. 그 어떤 이가 친구를 위해 이보다 더 큰 사랑을 할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