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 天 干(천 간)
1. 론목(論木) : 개설(槪說) | 三春의 木 | 三夏의 木 | 三秋의 木 | 三冬의 木 | 四季의 木 | 甲木 | 乙木
2. 론화(論火) : 개설(槪說) | 三春의 火 | 三夏의 火 | 三秋의 火 | 三冬의 火 | 四季의 火 | 丙火 | 丁火
3. 론토(論土) : 개설(槪說) | 三春의 土 | 三夏의 土 | 三秋의 土 | 三冬의 土 | 四季의 土 | 戊土 | 己土
4. 론금(論金) : 개설(槪說) | 三春의 金 | 三夏의 金 | 四季의 金 | 三秋의 金 | 三冬의 金 | 庚金 | 辛金
5. 론수(論水) : 개설(槪說) | 三春의 水 | 三夏의 水 | 三秋의 水 | 三冬의 水 | 四季의 水 | 壬水 | 癸水
|| 二. 지지(地支) ||
1. 개설(槪說)
2. 자(子)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상의 | 사람 | 물체 | 動物
3. 축(丑)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상의 | 사람 | 물체 | 動物
4. 인(寅)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5. 묘(卯)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6. 진(辰)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7. 사(巳)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8. 오(午)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9. 미(未)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10. 신(申)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11. 유(酉)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12. 술(戌)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13. 해(亥) : 가. 자의(字意) | 나. 성격(性格) | 다. 천시(天時) | 地支 合沖刑 | 마. 상의(象意) |
바. 사람(人) | 사. 물체(物體) | 아. 동식물(動植物)
|| 三. 인원사사(人元司事) || 지지 암장 도표 ||
가. 天地人 | 나. 人元所藏分析 | 다. 餘氣, 中氣, 正氣 | 라.사왕, 사생, 진술축미 | 마. 계산방법(計算方法)
일간 | 출생월지 | 寅月 | 卯月 | 辰月 | 巳月 | 午月 | 未月 | 申月 | 酉月 | 戌月 | 亥月 | 子月 | 丑月 |
---|---|---|---|---|---|---|---|---|---|---|---|---|---|
갑(甲) | 조후용신(調候用神) | 丙 | 庚 | 庚 | 癸 | 癸 | 癸 | 庚 | 庚 | 庚 | 庚 | 丁 | 丁 |
용신보좌(用神補佐) | 癸 | 戊丙 己丁 | 壬丁 | 庚丁 | 庚丁 | 庚丁 | 壬丁 | 丙丁 | 壬辛 癸丁 | 戊庚 丙 | 丙庚 | 丙丁 | |
을(乙) | 조후용신(調候用神) | 丙 | 丙 | 癸 | 癸 | 癸 | 癸 | 丙 | 癸 | 癸 | 丙 | 丙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癸 | 癸 | 戊丙 | 丙 | 丙 | 己癸 | 丁丙 | 辛 | 戊 | ||||
병(丙) | 조후용신(調候用神)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甲 | 甲 | 壬 | 壬 |
용신보좌(用神補佐) | 庚 | 己 | 甲 | 癸庚 | 庚 | 庚 | 戊 | 癸 | 壬 | 庚戊 壬 | 己戊 | 甲 | |
정(丁) | 조후용신(調候用神) | 甲 | 庚 | 甲 | 甲 | 壬 | 甲 | 甲 | 甲 | 甲 | 甲 | 甲 | 甲 |
용신보좌(用神補佐) | 庚 | 甲 | 庚 | 庚 | 癸庚 | 壬庚 | 丙戊 庚 | 丙戊 庚 | 戊庚 | 庚 | 庚 | 庚 | |
무(戊) | 조후용신(調候用神) | 丙 | 丙 | 甲 | 甲 | 壬 | 癸 | 丙 | 丙 | 甲 | 甲 | 丙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癸甲 | 癸甲 | 癸丙 | 癸丙 | 丙甲 | 丙甲 | 癸甲 | 癸 | 癸丙 | 丙 | 甲 | 甲 | |
기(己) | 조후용신(調候用神) | 丙 | 甲 | 丙 | 癸 | 癸 | 癸 | 丙 | 丙 | 甲 | 丙 | 丙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甲庚 | 癸丙 | 癸甲 | 丙 | 丙 | 丙 | 癸 | 癸 | 癸丙 | 戊甲 | 戊甲 | 戊甲 | |
경(庚) | 조후용신(調候用神) | 戊 | 丁 | 甲 | 壬 | 壬 | 丁 | 丁 | 丁 | 甲 | 丁 | 丁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甲丁 丙壬 | 甲丙 庚 | 丁壬 癸 | 戊丙 丁 | 癸 | 甲 | 甲 | 丙甲 | 壬 | 丙 | 丙甲 | 丁甲 | |
신(辛) | 조후용신(調候用神) | 己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壬 | 丙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壬庚 | 甲 | 甲 | 癸甲 | 癸己 | 庚甲 | 戊甲 | 甲 | 甲 | 丙 | 戊甲 壬 | 壬戊 己 | |
임(壬) | 조후용신(調候用神) | 庚 | 戊 | 庚 | 壬 | 癸 | 辛 | 戊 | 甲 | 甲 | 戊 | 戊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戊庚 | 辛庚 | 庚 | 庚辛 癸 | 辛庚 | 甲 | 丁 | 庚 | 丙 | 庚丙 | 丙 | 丁甲 | |
계(癸) | 조후용신(調候用神) | 辛 | 庚 | 丙 | 辛 | 庚 | 庚 | 丁 | 辛 | 辛 | 庚 | 丙 | 丙 |
용신보좌(用神補佐) | 丙 | 辛 | 辛甲 | 壬辛 癸 | 壬癸 辛 | 丙 | 壬癸 甲 | 辛戊 丁 | 辛 | 丁 |
(1) 목(木)은 천간(天干)에는 갑을(甲乙)이 있고 지지(地支)에는 인묘(寅卯)가 있다.
(2) 갑(甲)과 인(寅)은 양(陽)이 되고 을(乙)과 묘(卯)는 음(陰)이 된다.
목(木)은 하도(河圖)의 좌측(左側) 동(東)쪽에 자리하고 그 수(數)는 양(陽)은 삼(三)이되고 음(陰)은 팔(八)이 된다.
목(木)은 수1(水一)과 화2(火二)가 창조(創造)를 행(行)할 때 수화기제(水火旣濟)로 발생(發生)하고 생수(生數)는 3이 되며 색(色)은 청(靑)이고 계절(季節)은 봄이 되고 하루의 시간(時間)은 오전(午前) 3시에서 9시이고 맛은 산(酸)이고 상(常)은 인(仁)이고 장부(臟腑)로는 간(肝), 담(膽)이 되고 기(氣)는 풍(風)이 된다.
(3) 목(木)의 성질(性質)은 위로 솟아나는 상승작용(上昇作用)이라 할수 있으며 만유사물(萬有事物)의 발생(發生), 시발(始發), 개척(開拓), 신장(伸張), 발전(發展), 기립(起立)을 의미(意味)한다.
(4) 목(木)에는 활목(活木), 사목(死木)으로 분류(分流)할 수 있는데 활목(活木)이란 성장(成長)하고 살아있는 나무를 의미(意味)하고 사목(死木)이란 죽은 나무, 제재(製材)된 모든 나무를 말한다.
갑술(甲戌), 을해(乙亥)는 목기(木氣)가 처음 나오고 갑인(甲寅), 을묘(乙卯)는 목(木)의 왕지(旺地)가 되며 갑진(甲辰), 을사(乙巳)는 목(木)의 여기(餘氣)가 있으며 손방(巽方)은 목방(木方)이니 활목(活木)으로 보게 된다.
갑신(甲申), 을유(乙酉)는 목기(木氣)가 끊어지고, 갑오(甲午) 을미(乙未)는 목기(木氣)가 죽고 갑자(甲子) 을축(乙丑)은 납음상(納音上) 금(金)이니 모두 사목(死木)이 된다.
(5) 활목(活木)은 불을 얻으면 수기(秀氣)가 나니 병정(丙丁) 화(火)를 보면 목화(木火)가 상조(相照)함으로 목화(木火) 통명지상(通明之象)을 이루고 경신금(庚辛金)은 활목(活木)의 생기(生氣)를 손상(損傷)한다.
사목(死木)은 불을 기(忌)하고 금(金)을 좋아 한다.
(1) 일간(日干) 목(木) 갑을(甲乙)이 1월, 2월, 3월에 생(生)한 것을 말한다.
목(木)이 목(木)을 만나는 것은 림자(林字)의 형상(形象)으로 이는 육친론(六親論)으로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된다.
선동(先動)하는 주동적(主動的) 역활(役割)을 하며 공익(公益)을 위(爲)하여 여러 사람과 협력(協力) 헌신(獻身)함을 특징(特徵)으로 한다.
수풀은 밖에서 보면 울창(鬱蒼)하고 무성(茂盛)하나 그 내실(內實)에는 좋은 열매가 없는 것처럼 밖에서는 화려해 보이나 끝에 가서 결과(結果)가 없다.
(2) 정월(正月)의 갑목(甲木)은 병화(丙火)가 있어야 따뜻해지고 나무가 잘 자라며 계수(癸水)로 갑목(甲木)의 수원(水源)을 도와주면 대길(大吉)하다.
이월(二月)의 갑목(甲木)은 양인(羊刃)이 되므로 경금(庚金)이 있어야 하고 병화(丙火)나 정화(丁火)가 있으면 대길(大吉)한다.
삼월(三月)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을 쓰면 진(辰)에 생(生)을 받아 경금(庚金)이 강예(强銳)하게 되므로 정화(丁火)로서 제살(制殺)하고 임수(壬水)로 금기(金氣)를 설기(洩氣)하여 갑(甲)을 생(生)하여 주면 대길(大吉)한다.
(3) 정월(正月)의 을목(乙木)은 병화(丙火)로 한기(寒氣)를 없애고 화(火)가 많으면 계수(癸水)로 도운다.
이월(二月)의 을목(乙木)은 계수(癸水)로 목(木)을 자양(滋養)하고 병화(丙火)로 설기(洩氣)하면 대길(大吉)하나 금(金)을 보는 것은 좋지 않다.
삼월(三月)의 을목(乙木)은 병화(丙火) 계수(癸水)를 취(取)하고 지지(地支)에 수국(水局)을 이루었으면 무토(戊土)로 제수(制水)한다.
(1) 일간목(日干木) 갑을(甲乙)이 4월, 5월, 6월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목(木)이 화(火)를 만나는 것을 목화통명지상(木火通明之象)이라 하고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된다.
나무가 여름철을 당(當)하여 지엽(枝葉)이 무성(茂盛)하고 화려(華麗)한 꽃을 피우고 결실(結實)을 준비(準備)하는 때의 모습(模襲)이다.
활목(活木)은 화(火)를 만나면 수기(秀氣)를 발(發)하여 좋고 사목(死木)은 소진(消盡)할 위험(危險)이 있어 화(火)를 기(忌)한다.
여름철의 나무는 물을 얻어야 즐거움이 있고 화왕(火旺)하면 목분(木焚)할 위험(危險)이 있다.
목화통명(木火通明)은 지혜(智慧)와 총명(聰明), 학문(學問)과 문화(文化) 등(等)에 천부적(天賦的) 재능(才能)을 갖는다.
또 우수(憂愁)한 문장력(文章力)이 목화통명(木火通明)에서 이루어진다.
(2) 사월(四月)의 갑목(甲木)은 계수(癸水)로서 제화(制火)하고 경금(庚金)으로서 계수(癸水)의 根源(근원)으로 하면 대길(大吉)하다.
오월(五月)의 갑목(甲木)은 癸水(계수)로서 조후(調候)하고 경금(庚金)으로 수원(水原)을 발(發)해주면 대길(大吉)하다.
육월(六月)의 갑목(甲木)은 대서전(大暑前) 상반월(上半月)에는 오월(五月)과 같고 하반월(下半月)에는 경금(庚金)과 정화(丁火)를 쓰면 좋다.
(3) 巳月(사월)의 을목(乙木)은 계수(癸水)로 조후(調候)하면 대길(大吉)하다.
오월(五月)의 을목(乙木)은 계수(癸水)를 쓴다.
육월(六月)의 을목(乙木)은 상반월(上半月)에는 오월(五月)과 같고 하반월(下半月)에는 계수(癸水) 병화(丙火)를 함께 쓰면 대길(大吉)하다.
(1) 일간목(日干木) 갑을(甲乙)이 7월, 8월, 9월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목(木)이 금왕지절(金旺之節)에 태어나서 잘 조화(造化)를 이룩한 것을 금목상제(金木相濟)라 하고 육친론(六親論)으로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된다.
추목(秋木)은 자라던 초목(草木)이 가을철을 만나 열매를 맺는 것과 같고 사목(死木)을 금(金)으로 다듬어 동량(棟樑)을 만들고 각종가구(各種家具) 팔프를 재단(裁斷)하여 목재용구(木材用具)를 만드는 것과 같다.
목(木)이 왕(旺)하고 금(金)이 화(火)를 얻어므로 금(金)을 제압(制壓)하여 상상(上上) 대길지명(大吉之命)이 된다.
한로절(寒露節)에는 화염(火炎)을 기쁘게 여기며 나무가 휼륭한 결실(結實)을 한다.
금목(金木)이 상제(相濟)하면 의리(義理)와 도덕(道德)과 질서(秩序)를 존중(尊重)하고, 대의명분(大義名分)에 서는 동량지재(棟樑之材)나 공정무사(公正無私)한 청백리(淸白吏)가 된다.
(2) 칠월(七月)의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이 록(祿)을 얻었으니 정화(丁火)로 제련(製鍊)하는 것이 좋고 정화(丁火)가 없으면 임수(壬水)로 신금(申金)의 강예(强銳)를 설기(洩氣)하여 갑목(甲木)을 생(生)하면 살인상생(殺印相生)이 된다.
귀(貴)는 못하고 부(富)만 한다.
팔월(八月)의 갑목(甲木)은 경(庚)을 선용(先用)하고 병화(丙火)로 조후(調候)하고 또는 정화(丁火)로 조후(調候)하여 제살(制殺)하여야 귀명(貴命)이 된다.
구월(九月)의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으로 깍고 다듬고 임계수(壬癸水)로 자윤(滋潤)하여야 한다. 경금(庚金)을 쓰면 정화(丁火)로 제살(制殺)하여야 한다.
(3) 칠월(七月)의 을목(乙木)은 병화(丙火)로 신금(申金)을 억제(抑制)하고 계수(癸水)로 화(化)하면 대길(大吉)하다.
팔월(八月)의 을목(乙木)은 상반기(上半期)에는 계수(癸水)를 먼저 쓰고 병화(丙火)를 뒤에 쓴다.
구월(九月)의 을목(乙木)은 계수(癸水) 신금(辛金)을 용(用)한다.
갑목(甲木)을 보면 등라격갑(藤蘿擊甲)이라 한다.
(1) 일간목(日干木) 갑을(甲乙)이 10월, 11월, 12월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목(木)이 수왕지절(水旺之節)에 태어난 것을 수목상생(水木相生)이라 하고 육친론(六親論)으로 정인(正印) 편인(偏印)이라 한다.
동목(冬木)은 생한(生寒)하여 목기(木氣)가 거두어 졌으므로 병정화(丙丁火)로 따뜻하게 하여 목화통명(木火通明)의 상(象)을 이루고 경금(庚金)으로 목(木)을 쪼개어 인화(引火)하여야 대길지명(大吉之命)이 된다.
목(木)이 수(水)를 만나는 것은 그 근원(根源)을 이루는 것이 되니 수세(水勢)가 범람(氾濫)하면 한목(寒木)이 생의(生意)가 없으지고 목부(木浮)하거나 뿌리가 목부(木腐)한다.
생목(生木)이 수(水)에 의지(依持)하는 혜택(惠澤)은 부모(父母)나 선조(先祖)들의 유업(遺業), 교육(敎育), 학문(學問), 윗사람들의 도움과 사랑에 해당(該當)한다.
(2) 십월(十月)의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으로 쪼개고 정화(丁火)로 경금(庚金)을 제살(制殺)하면 대길(大吉)하다.
또 병화(丙火)로 조후(調候)하여도 좋고 수세(水勢)가 범람(氾濫)하면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하면 좋다.
십일월(十一月)의 갑목(甲木)은 역시(亦是) 경금(庚金)으로 쪼개고 丁火(정화)로 제살(制殺)하고 병화(丙火)로 조후(調候)하고 수왕(水旺)하면 무토(戊土)로 제수(制水)한다.
십이월(十二月)의 갑목(甲木)은 동한(冬寒)하니 정화(丁火)로 인화(引火)하고 경금(庚金)으로 나무를 쪼개고 병화(丙火)로 조후(調候)하면 대길지명(大吉之命)이 된다.
(3) 십월(十月)의 을목(乙木)은 을목(乙木)이 향양(向陽)하니 오로지 병화(丙火)로 조후용(調候用)하고 수(水)가 많으면 무토(戊土)로 제수(制水)하여 도운다.
십일월(十一月)의 을목(乙木)은 한목(寒木)이 향양(向陽)하니 오로지 병화(丙火)를 쓰고 계수(癸水)보는 것을 싫어한다.
십이월(十二月)의 을목(乙木)은 한곡(寒谷)에 회춘(回春)하는 상(象)이니 오로지 병화(丙火)로 조후(調候)한다.
(1) 일간(日干) 목(木) 갑을(甲乙)이 삼월(三月) 진(辰), 육월(六月) 미(未), 구월(九月) 술(戌), 십이월(十二月) 축(丑)에 태어나거나 무기토(戊己土)를 만나는 것을 말한다.
(2) 목(木)이 토(土)를 만나면 살아있는 나무 활목(活木)는 뿌리를 착근(着根)하게 되는 것이며 대대(代代)로 유명천추(遺名千秋)하는 영예(榮譽)를 상징(象徵)한다.
죽은 나무 사목(死木)은 가옥(家屋)을 건축(建築)하고 토목공사(土木工事)를 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전장(田莊)을 넓히고 농공(農工) 및 사업(事業)을 통(通)하여 부가(富家)를 바라는 것과 같다.
목(木)이 토(土)를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 정재(正財)와 편재(偏財)의 통변(通變)이 여기에 해당(該當)한다.
(3) 토(土)가 지나치게 두터우면 나무가 묻어지는 환(患)이 있으니 이는 재물(財物)과 처궁(妻宮)에 환난(患難)을 불러오고 토(土)가 지나치게 얇으면 나무가 뿌리채 넘어지는 환(患)이 있으니 이도 재물(財物)과 처궁(妻宮)에 즐거움이 못된다.
(1) 갑목(甲木)은 천간(天干)의 수위(首位)로서 만물(萬物)의 종자(種子)가 발아(發芽)하여 지표(地表)를 뚫고 나오는 기상(氣象)을 나타내는 것으로 양(陽)에 속(屬)하고 뇌(雷)에 속(屬)하고 청룡(靑龍)을 상징(象徵)하며 인체(人體)에는 머리에 해당(該當)한다.
(2) 해(亥)에서 장생(長生)이 되고 묘(卯)에서 왕지(旺地)가 되며 신(申)에서 뇌성(雷聲)으로 절(絶)한다.
(3) 화기(火氣)가 염열(炎熱)한 즉(卽) 진(辰)에 뿌리를 박으면 즐겁고 수세(水勢)가 범람(氾濫)하면 인(寅)에 뿌리를 내리면 자윤(滋潤)하게 된다.
(4) 초춘(初春)에 생(生)한 즉(卽) 기후(氣候)가 차니 화(火)로서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고, 중춘(仲春)에 생(生)한 즉(卽) 그 정기(精氣)를 설(洩)하여 목화통명(木火通明)이 되면 대길(大吉)하다.
동량(棟梁)이 되려면 금(金)이 있어 깍고 다듬어야 한다.
(1) 을목(乙木)은 갑목(甲木)을 이어받아 초목(草木)이 처음 싹터 올라올 때 지엽(枝葉)으로 갈라지며 굴신작용(屈伸作用)을 하는 상(象)을 나타내며 하늘에는 풍(風)이 되고 계수나무가 된다.
(2) 갑목(甲木)이 다년생(多年生) 나무라면 을목(乙木)은 일년초(一年草)가 되고 갑목(甲木)이 나무의 몸통이라면 을목(乙木)은 나무 가지가 된다.
(3) 을목(乙木)은 양지(陽地)를 좋아하고 음지(陰地)를 기(忌)하며 하절(夏節)에 이르러 활목(活木)이 되어 무성(茂盛)하다.
오(午)에서 장생(長生)이 되고 사(巳)에서 손풍(巽風)이 되어 패지(敗地)가 된다.
(4) 을목(乙木)이 축미(丑未)에 좌(座)하면 뿌리 배양(培養)되고 신유월(申酉月)에 생(生)하면 천간(天干)에 병정화(丙丁火)가 있어야 하고 해자월(亥子月)에 생(生)하면 오(午)가 있어야 부목(浮木)의 환(患)이 없다.
(5) 서방운(西方運)이나 토기(土氣)가 중중(重重)한 것이 화(禍)의 근본(根本)이 되며 갑목(甲木)을 만나 등라격갑(藤蘿擊甲)이 되면 가추가동(可秋可冬)이라 한다.
(1) 화(火)는 천간(天干)에는 병정(丙丁)이 있고 지지(地支)에는 사오(巳午)가 있다.
병(丙)과 오(午)는 양(陽)이 되고 정(丁)과 사(巳)는 음(陰)이 된다.
그러나 오(午)는 정기(正氣)가 정화(丁火)가 되고, 사(巳)는 정기(正氣)가 병화(丙火)로 되어 정기(正氣)는 음양(陰陽)이 뒤바뀐다.
(2) 화(火)는 하도(河圖)의 상측(上側) 남(南)쪽에 자리하고 그 수(數)는 2, 7로서 양(陽)은 칠(七)이되고 음(陰)은 이(二)가 된다.
화(火)는 생수(生數)는 2(二)이고 색(色)은 적(赤)이며 계절(季節)은 여름 하루의 시간(時間)은 오전(午前) 9시 ∼ 오후(午後) 3시이고 맛은 쓴맛 고(苦)이고, 상(常)은 예(禮)이고 장부(臟腑)로는 심장(心臟) 심포(心胞), 소장(小腸), 삼초(三焦)에 해당(該當)된다.
기(氣)는 열(熱)이 되고, 관(官)은 설(舌)이 되며 음(音)은 치음(緻音)이 된다.
(3) 화(火)의 성질(性質)은 우주현상계(宇宙現象界)의 양(陽)을 대표(代表)하며 만물(萬物)에게 광명(光明)을 주고 열(熱)을 주어 성장(成長)을 맡는다.
또 화(火)는 만물(萬物)의 애너지인 태양(太陽)의 광선(光線) 열(熱)등이며 화려(華麗)한 문화생활(文化生活)이나 문명(文明)의 혜택(惠澤) 도심생활(都心生活)의 환락(歡樂), 관광(觀光) 등(等)에 해당(該當)하며 핵무기(核武器) 등(等)이 화(火)에 속(屬)한다.
(1) 일간화(日干火) 병정(丙丁)이 1월, 2월, 3월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화(火)가 목(木)을 만나면 체(體)를 얻는 것이니 목화통명(木火通明)이 된다.
그러나 춘화(春火)는 밝아야 하지만 염열(炎熱)하지 아니하여야 하며 염열(炎熱)하면 목분(木焚)한다.
화(火)가 목(木)을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인(正印), 편인(偏印)이 되는 것으로 이는 부모(父母)를 만나는 것과 같고 조상(祖上)의 유산(遺産)을 받는 것과 같고 학문(學文)을 이룩함과 같다.
따라서 화(火)가 목(木)을 만남은 학문(學問)과 예도(禮度), 문화(文化)와 진리(眞理), 명예(名譽)의 선양(宣揚) 등(等)을 상징(象徵)한다.
목(木)이 많으면 화기(火氣)가 막히게 되니 화식(火熄)한다.
(2) 정월(正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로 용신(用神)하게 되면 경금(庚金)으로 수원(水原)을 발(發)해 주면 좋다.
이월(二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로 용(用)하고 수다(水多)하면 무토(戊土)로 제어(制禦)한다.
임수(壬水)가 없으면 기토(己土)로 용신(用神)한다.
삼월(三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를 쓰고 토(土)가 중(重)하면 갑목(甲木)으로 도운다.
(3) 정월(正月)의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을 경금(庚金)으로 쪼개서 정화(丁火)에 인화(引火)한다.
이월(二月)의 정화(丁火)도 갑목(甲木) 경금(庚金)을 用神(용신)한다.
삼월(三月)의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으로 정화(丁火)를 인도(引導)하고 제토(制土)한 다음 목(木)이 성(盛)하면 경금(庚金)을 쓰고 수(水)가 성(盛)하면 무토(戊土)를 쓴다.
(1) 일간화(日干火) 병정(丙丁)이 4월, 5월, 6월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화(火)가 화(火)를 만나면 염자(炎字)와 같으니 폭염지상(暴炎之象)이 되며 육친론(六親論)으로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된다.
화(火)는 동남(東南)으로 향(向)하면 흔흔향영(欣欣向榮)하고 서북(西北)으로 행(行)하면 점차멸절(漸次滅絶)하게 된다.
화(火)가 감궁(坎宮)에서 생(生)하면 소심(小心)하고 조심(操心)하며 예법(禮法)만 지킨다.
화(火)가 火(화)를 만나서 수(水)의 제극(制剋)이 없으면 타 없어지는 위험(危險)이 있고 목(木)을 만나면 더욱 요절(夭折)의 근심(勤心)이 있다.
금(金)을 만나면 양공(良工)을 얻은 격(格)이고 토(土)를 만나면 곡식(穀食)을 거두어 들이게 된다.
금토(金土)가 미리(美利)함이 있으나 수(水)가 없으면 금조(金燥)하고 금(金)이 많은 즉(卽) 거부(巨富)가 된다.
화급(火急)과 제패(制覇), 경쟁(競爭)과 통솔(統率), 잔인(殘忍)과 혹독(酷毒), 조급(燥急)과 과민(過敏)등이 특징이다.
(2) 사월(四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를 쓰고 임수(壬水)가 없으면 계수(癸水)를 쓰는데 경금(庚金)으로 수원(水原)을 도와주어야 한다.
오월(五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 경금(庚金)을 쓰고 申宮(신궁)에 通根(통근)되면 妙(묘)함이 있다.
육월(六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를 쓰고 경금(庚金)으로 도운다.
(3) 사월(巳月)의 정화(丁火)는 甲木(갑목) 임수(壬水)를 쓰고 경금(庚金)으로 임수(壬水)를 도운다.
오월(五月)의 정화(丁火)는 임수(壬水) 경금(庚金)을 쓰고 임수(壬水)가 없으면 계수(癸水)를 쓴다.
육월(六月)의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으로 정화(丁火)를 인도(引導)하고 경금(庚金)으로 도운다.
※병화(丙火)는 임수(壬水)를 떠날 수 없고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을 떠날 수 없다.
(1) 일간(日干) 화(火) 병정(丙丁)이 7月, 8月, 9月에 태어난 것을 말한다.
화(火)가 금(金)을 만나는 것은 계절(季節)로는 가을이 되어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는 결실(結實)의 계절(季節)을 뜻하며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재(正財), 편재(偏財)에 해당(該當)한다.
화(火)가 금(金)을 만나면 체상(體象)이 휴수(休囚)되니 목(木)을 얻어야 다시 밝아지는 경사(慶事)를 얻는다.
광석물질(鑛石物質)을 녹여서 생활(生活)의 도구(道具)는 물론(勿論) 문화생활(文化生活)이나 전쟁(戰爭)에 따른 각종(各種) 무기(武器)를 생산(生産)하며 용광로(鎔鑛爐)가 강철(鋼鐵)을 녹이는 위력(偉力)과 공과(功果)는 현대물질문명(現代物質文明)이 이를 말한다.
이 같은 원리(原理)는 예리(銳利)한 관찰(觀察)과 분석(分析), 정복(征服), 개척(開拓), 강인(强忍)한 의지(意志), 무위(武威), 제패(制覇), 세공(細工), 금속화공(金屬化工) 등에 특징(特徵)이 있다.
신약자(身弱者)는 살왕(殺旺)하면 반드시 인수(印授)를 쓰고 재왕(財旺)하면 겁재(劫財)를 쓴다.
丙火(병화)가 신위(申位)에 있고 임수(壬水)를 보면 수명(壽命)이 위태(危殆)하다.
토중(土重)하면 그 빛을 덮어버리고 금다(金多)하면 그 세(勢)를 손상(損傷)한다.
(2) 칠월(七月)의 병화(丙火)는 임수(壬水)가 신궁(申宮)에 통근(通根)하였으니 임수(壬水)가 많으면 무토(戊土)를 취(取)하여 제지(制之)한다.
팔월(八月)의 병화(丙火)는 병화(丙火)가 많고 일임수(一壬水)가 고투(高透)하면 매우 좋다.
임수(壬水)가 없으면 계수(癸水)를 대용(代用)한다.
구월(九月)의 병화(丙火)는 토(土)의 회광(晦光)을 무서워하니 구월(九月)의 병화(丙火)는 갑목(甲木)다음으로 임수(壬水)를 쓴다.
(3) 칠월(七月)의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으로 용신(用神)하고 갑목(甲木)이 없으면 을목(乙木)을 쓰나 병화(丙火)가 있어야 고초(枯草)가 인등(引燈)한다.
팔월(八月)의 정화(丁火)도 칠월(七月)과 같다. 갑목(甲木)으로 선용(先用)한다.
구월(九月)의 정화(丁火)는 갑목(甲木) 경금(庚金) 무토(戊土)를 쓴다. 무토(戊土)에 갑(甲)이 있으면 상관상진(傷官傷盡)이라 한다.
(1) 일간(日干) 화(火) 병정(丙丁)이 10月, 11月, 12月에 태어난 것을 말한다.
화(火)가 수(水)를 만난다 함은 체(體)가 끊어지고 형(形)이 없어지는 계절(季節)로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된다.
수기(水氣)가 지나치면 화허유연(火虛有煙)이라고 하여 공포심(恐怖心), 허경(虛敬), 실예(失禮), 심신(心神), 시력(視力) 등(等)의 장애(障碍)가 있다.
적당(適當)한 수기(水氣)는 기민(機敏)과 예리(銳利), 준법(遵法), 예도(禮度)와 지력(智力)에 승복(勝伏)하며 시시비비(是是非非), 긴장(緊張), 분발(奮發) 등(等)에 해당(該當)한다.
수(水)를 만나면 극(剋)을 받아 재앙(災殃)이 되니 무(戊)로서 제수(制水)하면 영화(榮華)가 있고 비견(比肩)이 도와줌을 사랑한다.
금(金)을 보면 당살(黨殺)이 공신(攻身)하고 탐재파인(貪財破印)한다.
천지(天地)가 기울어지면 수화기제(水火旣濟)의 공(功)은 이룩하기 어렵다.
(2) 십월(十月)의 병화(丙火)는 월(月)에 임수(壬水)가 령(令)을 얻으니 수왕(水旺)하면 갑(甲)으로 화지(化之)하고 신살(身殺)이 양왕(兩旺)하면, 무토(戊土)로 제살(制殺)한다.
십일월(十一月) 병화(丙火)는 양(陽)이 진기(進氣)하니 갑목임수(甲木壬水)를 쓰고 수(水)가 많으면 무토(戊土)로 제지(制之)한다.
십이월(十二月) 병화(丙火)는 임수(壬水)와 갑목(甲木)을 쓴다.
(3) 십월(十月)의 정화(丁火)는 갑목(甲木)으로 선용(先用)하고 경금(庚金) 무토(戊土)로 보조(補助)한다.
십일월(十一月), 십이월(十二月) 정화(丁火)도 십월(十月)과 같다.
(1) 일간(日干) 화(火) 병정(丙丁)이 3月 진(辰), 6月 미(未), 9月 술(戌), 12月 축(丑)에 태어나거나 무기토(戊己土)를 만나는 경우(境遇)을 말한다.
화(火)가 토(土)를 만나면 태양(太陽)이 대지(大地)를 밝히고 만물(萬物)을 자생(慈生)하게 하는 원리(原理)에 해당(該當)하여 자선(慈善)과 생산(生産), 숭신(崇信)과 경조(敬祖) 제조(製造)와 가공(加工) 영농(榮農)과 양육(養育) 등(等)의 특징(特徵)이 있다.
(2) 화기(火氣)가 약(弱)해지면 서경(西傾)에 접어든 태양(太陽)과 같으며 회화무광어가색(晦火無光於稼穡)이라고 하여 만인(萬人)을 도와주고 싶으나 힘이 부족한 상(象)과 같아서 초조심(焦燥心), 시력장애(視力障) 등(等)이 따른다.
(3) 토(土)가 성(盛)하면 화광(火光)이 어두워지고, 토소(土少)하면 조열(燥烈)의 병(病)을 면(免)하지 못한다.
(1) 병화(丙火)는 양중지양(陽中之陽)으로서 태양(太陽)이 이글이글 타오르는 수천도(數千度)의 광열(光烈)을 상징(象徵)한 문자(文字)이다.
병화(丙火)는 오양중(五陽中) 최강(最强)하여 타(他)의 기세(氣勢)에 종세(從勢)하지 않으며 강상(綱常)을 세우고 정대(正大)하여 우주(宇宙)를 밝게 비친다.
(2) 태양(太陽)은 인시(寅時)에 나와서 유시(酉時)에 들어간다.
병화(丙火)는 연소(燃燒)나 폭발적(爆發的)인 인화성(引火性)을 갖는 실열(實熱)이다.
(3) 병화(丙火)는 축시(丑時)를 만나면 일출(日出)의 지(地)라 하여 상격(上格)이 되며 습토(濕土)가 많으면 화기(火氣)를 빼앗기게 되고 수풀이 우거져 목다(木多) 하여 태양(太陽)을 가리우면 재앙(災殃)이 있다.
(4) 병화(丙火)는 기상모설(欺霜侮雪)하여 수극(水剋)을 두려워 하지 않으며 조후용(調候用)은 병화(丙火)라야 한다.
(1) 정화(丁火)는 태양(太陽)의 직사(直射)하는 광선(光線)을 상징(象徵)하며 사물(事物)의 어둠을 밝히는 분야(分野)로서 인간사회(人間社會)의 문명(文明)과 인간(人間)의 정신(精神)과 시력(視力)에 해당(該當)한다.
또 정화(丁火)는 질서(秩序), 도덕(道德), 예의(禮義)와 언어(言語), 규범(規範) 등(等)의 작용(作用)을 한다.
(2) 정화(丁火)는 별이고 달이며 등촉(燈燭)불에 해당(該當)한다.
병화(丙火)가 생(生)하는 곳에 정화(丁火)는 사(死)하고 병화(丙火)가 사(死)하는 곳에 정화(丁火)는 생(生)한다.
내음외양(內陰外陽)이라 하여 유중(柔中)이라 한다.
(3) 정화(丁火)는 가추가동(可秋可冬)이라 하여 신약(身弱)의 지(地)도 즐겁게 행(行)하며 천간(天干)에 갑을목(甲乙木)이 있으면 추절(秋節)에 생(生)하나 금(金)을 무서워하지 않고 지지(地支)에 인묘목(寅卯木)이 있으면 겨울이라도 수(水)의 극(剋)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4) 태양(太陽)을 만나면 빛을 잃게 되니 불가(不可)하며 밤에 나기를 기뻐한다. 이것은 천시(天時)를 얻기 때문이다
(5) 승왕(乘旺)의 시(時)를 당(當)하여도 혁염(赫炎)에 까지 이르지 않으며 쇠(衰)하는 때도 갈멸(渴滅)하는 땅에 이르지 안는다.
정사일(丁巳日)만은 부모처자(父母妻子)를 극(剋)한다.
사중(巳中) 무토(戊土)가 상관(傷官)이 되기 때문이다.
(1) 토(土)는 천간(天干)에는 무기(戊己)가 있고 지지(地支)에는 진술축미(辰戌丑未)가 있다.
무(戊)와 진술(辰戌)은 양토(陽土)가 되고 기(己)와 축미(丑未)는 음토(陰土)가 된다.
(2) 토(土)는 하도(河圖)의 중앙(中央)에 자리하고 그 수(數)는 양(陽)은 오(五)가 되고 음(陰)은 십(十)이 된다.
그 형성(形成)은 사금일수합(四金一水合) 오토(五土), 삼목이화합(三木二火合) 오토(五土), 일수(一水), 이화(二火), 삼목(三木), 사금합(四金合)하여 십토(十土)를 이루니 토(土)는 사우(四隅)에 흩어져 금목수화(金木水火)가 토(土)에 의지(依持)하여 성상(成象)하게 된다.
토(土)는 그맛이 감(甘)이고 상(常)은 신(信)이고, 장부(臟腑)로는 비(脾), 위(胃)에 해당(該當)한다.
기(氣)는 습(濕)이 되고 오관(五官)은 구(口)가 되고 음(音)은 궁음(宮音)이 된다.
(3) 토(土)는 전체(全切)를 통일(統一)하고 조화(調化)하는데 그 목적(目的)과 사명(使命)이 부여(賦與)되어 있다.
토(土)는 무한(無限)한 상승(上昇), 무한(無限)한 하강(下降), 무한(無限)한 분열(分列) 무한(無限)한 통일(統一)을 용납(容納)하지 않으며 하나의 작용(作用)이 끝나면 그다음 작용(作用)으로 연결(連結)과 유대(紐帶), 조화(調化)와 조절(調節)로서 항구성(恒久性)을 보장(保障)하게 된다.
(4) 양토(陽土)는 무진술(戊辰戌)이요, 음토(陰土)는 기축미(己丑未)이다.
진토(辰土)는 남극자장(南極磁場) 술(戌)은 북극자장(北極磁場)으로 지축(地軸)을 형성(形成)하며 일정(一定)한 궤도(軌道) 운행(運行)과 경사도(傾斜度)를 유지(維持)하게 하며 자전(自轉)과 공전(公轉) 운동(運動)을 계속(繼續)한다.
진토(辰土)는 인묘목(寅卯木)을 사오화(巳午火)로 매개(媒介)하는 조화(調化) 변화토(變化土)로서 역활(役割)을 하며 술토(戌土)는 신유금(申酉金)을 해자수(亥子水)로 매개(媒介)하는 역활(役割)을 담당(擔當)한다.
(5) 음토(陰土)인 기축미토(己丑未土)는 횡적(橫的)인 운행(運行)을 조화(調化)하는 토(土)로서 인체(人體)의 상단(上端)인 음양(陰陽) 양극(兩極)의 교류작용(交流作用)을 한다.
이렇게 토(土)는 종횡(縱橫)으로 십자(十字)의 형상(形象)을 이루어 유대(紐帶)와 조화(調化) 변화(變化)와 조절(調節)로서 사물(私物)을 운동(運動)을 일정(一定)한 좌표(座標)와 각도(角度) 속도(速度) 방향(方向)을 유지(維持)하게 하여 생멸(生滅) 분합(分合) 운동(運動)을 부단(不斷)이 되풀이한다.
(6) 조화(調化), 조절(調節), 변화(變化), 흡수(吸收)와 종합(綜合) 공평(公平)과 중정(中正) 저장(貯藏)과 축적(蓄積) 등이 모두 토(土)의 작용(作用)이다.
(7) 진미토(辰未土)는 춘하(春夏)에 있어 만물(萬物)을 자양(滋養)하고, 축술(丑戌)은 추동(秋冬)에 있어 만물(萬物)을 숙살(肅殺)한다.
술(戌)은 곤약(困弱)하니 술(戌)이 많은 사람은 싸우기를 좋아하고 잠이 많다.
진미월(辰未月)에 출생(出生)한 사람은 먹기를 잘하고 축월(丑月)에 생(生)한 사람은 계(癸)가 있어 윤(潤)하니 청성(淸省)하고 잠을 잘잔다.
(1) 일간토(日干土) 무기(戊己)가 1月, 2月, 3月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토(土)가 사목(死木)을 만나면 대지(大地)의 중앙(中央)에 기둥이나 초석(礎石)을 세우는 상(象)이므로 건축(建築), 건설(建設)을 개시(開始)하는 형상(形象)이다.
또 생목(生木)일 경우(境遇) 전토(田土)에 종자(種子)를 심어 영농(營農)하거나 식목(植木)을 하여 번영(繁榮)을 하는 상(象)이다.
토(土)가 목(木)을 만남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되고 이는 명예(名譽), 집권(集權), 질서(秩序), 예도(禮度), 공직수임(公職受任) 등의 특성(特性)을 갖는다.
토(土)는 목기(木氣)의 태과(太過)함을 싫어 하며 수(水)의 범람(氾濫)함을 대기(大忌)한다.
(2) 정월(正月)의 무토(戊土)는 병화(丙火)로서 따뜻하게 하고 계수(癸水)로 도운다.
이월(二月)의 무토(戊土)도 병화(丙火)로써 따뜻하게 하고 계수(癸水)로 도우면 좋다.
삼월(三月)의 무토(戊土)는 갑목(甲木)으로 소통(疏通)시키고 병화(丙火)를 쓰고 계수(癸水)로 도운다.
(3) 정월(正月)의 기토(己土)는 병화(丙火)로 해동(解凍)하고 수다(水多)하면 무토(戊土)로 도우고 토다(土多)하면 갑목(甲木)을 쓴다.
이월(二月)의 기토(己土) 갑계병(甲癸丙)을 쓴다.
삼월(三月)의 기토(己土)는 먼저 병화(丙火)를 쓰고 계수(癸水)를 도우고 갑목(甲木)으로 소토(燒土)한다.
(1) 일간토(日干土) 무기(戊己)가 4月, 5月, 6月에 출생(出生)한 것을 말한다.
토(土)가 화(火)를 만나면 모친(母親)의 사랑을 받는 것과 같고 태양(太陽)의 광명(光明)과 열(熱)은 만물(萬物)을 자생(滋生)하게 하는 것으로서 윗사람의 도움과 스스로 깨닫는 학문(學問)의 진리(眞理), 농장(農場)과 건설(建設), 사회적(社會的) 명예(名譽) 문명(文明)의 혜택(惠澤)이 특징(特徵)이다.
토(土)가 화(火)를 만남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이 되는데 유산(遺産), 학문(學問) 문권(文券), 부모(父母), 장상인(長上人)의 사랑을 말한다.
하월(夏月)의 토(土)는 염렬(炎烈)하니 성수(盛水)를 얻어 자윤(滋潤)하게 하면 성공(成功)을 한다.
(2) 사월(四月)의 무토(戊土)는 건록(建祿)하였으니 임계수(壬癸水)로 조후용(調候用)하고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한다.
오월(五月)의 무토(戊土)는 임수(壬水)로 조후(調候)하고 다음으로 갑목(甲木)을 쓴다.
육월(六月)의 무토(戊土)는 임수(壬水)를 쓰고 토중(土重)하면 갑목(甲木)을 쓴다.
(3) 사월(四月)의 기토(己土)는 조후용(調候用)으로 계수(癸水)를 쓴다.
오월(五月)의 기토(己土)도 임계수(壬癸水)를 쓴다.
육월(六月)의 기토(己土)는 조후용(調候用)으로 계수(癸水)를 쓰고 대서후(大暑後)에는 병화(丙火)를 쓴다.
(1) 일간토(日干土) 무기(戊己)가 7月, 8月 9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토(土)가 금(金)을 만나면 결실(結實)의 계절(季節)을 만나 수확(收穫)을 배가(倍加)하는 상(象)이다.
신의(信義)를 지키고 신념(信念)을 확고(確固)하게 가지며 생산(生産)과 제조(製造), 실용(實用)과 기구(機構)를 중요시(重要視)하며 실질(實質)과 능률(能率)을 중요시(重要視)하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토(土)가 금(金)을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되는 것으로 이는 의식주(衣食住)를 얻기 위한 육체적(肉體的), 정신적(精神的), 경제활동(經濟活動)에 해당(該當)하며 여자(女子)는 자녀(子女)의 출산(出産)과 양육(養育)에 해당(該當)한다.
추월(秋月)의 토(土)는 화(火)를 떠날 수 없고 목(木)이 성(盛)하면 제복(制伏)하는 것이 좋은데 화(火)가 중중(重重)함을 싫어 하지 않는다.
수(水)가 넘쳐흐르면 비견(比肩)의 조력(助力)을 얻어 제지(制止)해야 한다.
금수상관격(金水傷官格)이 패인용(佩印用)이면 상격(上格)이라 한다.
(2) 칠월(七月)의 무토(戊土)는 한기(寒氣)가 점증(漸增)하니 병화(丙火)를 쓰고 수(水)가 많으면 갑목(甲木)으로 설기(洩氣)한다.
팔월(八月)의 무토(戊土)는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하고 수(水)로 자윤(滋潤)하게 되면 기쁘다.
구월(九月)의 무토(戊土)는 토기(土氣)가 왕(旺)하니 갑(甲)으로 소토(疏土)하고 다음으로 병화(丙火) 계수(癸水)를 쓴다.
(1) 일간토(日干土) 무기(戊己)가 10月, 11月, 12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토(土)가 수(水)를 만나는 것은 농토(農土)를 개간(開墾)하여 전답(田畓)을 얻는 것과 같으며 수리시설(水利施設)이나 땜 공사(工事)를 하여 물을 이용(利用)하고 수력발전(水力發展) 및 증산(增産)을 도모(圖謀)하며 산업(産業)을 발전(發展) 하는 상(象)이다.
신심(信心)과 지혜(智慧)를 얻어 부지런하고 성실(誠實)하며 저축(貯蓄)과 절약(節約)으로 신용(信用)과 덕망(德望)을 상징(象徵)하는 작용(作用)을 한다.
土(토)가 수(水)를 만남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재(正財), 편재(偏財)가 되는 것으로 재산(財産)과 부인(婦人)을 말한다.
동월(冬月)의 토(土)는 외한(外寒)하고 내온(內溫)하니 수(水)가 왕(旺)하면 재물(財物)이 풍족(豊足)하다.
동월(冬月)에는 조후(調候)가 시급(時急)하니 병화(丙火)를 떠날 수 없다.
토기(土氣)가 온난(溫暖)하고 금다(金多)하면 자녀(子女)가 수미(秀美)하다.
동월(冬月)의 토(土)는 화(火)를 쓰고 갑목(甲木)으로 도우면 상격(上格)이다
(2) 십월(十月)의 무토(戊土)는 갑목(甲木)이 없으면 무토(戊土)가 불령(不靈)하고 병화(丙火)가 없으면 따뜻하지 못하다.
십일월(十一月), 십이월(十二月) 무토(戊土)는 병화(丙火)를 으뜸으로 하고 갑목(甲木)으로 도운다.
(3) 십월(十月)의 기토(己土)는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하고 수다(水多)하면 무토(戊土)로 도우고 갑목(甲木)으로 병화(丙火)를 도운다.
십일월(十一月)의 기토(己土)도 십월(十月)과 같다.
십이월(十二月)의 기토(己土)도 병화(丙火) 갑목(甲木)을 쓴다.
(1) 일간토(日干土) 무기(戊己)가 3月 진(辰), 6月 미(未), 9月 술(戌), 12月 축(丑)에 태어나거나 무기(戊己)를 만나는 것을 말한다.
토(土)가 토(土)를 만나는 것은 마치 중중전원(重重田園)이나 산(山)을 만나는 상(象)이다.
후중(厚重)하고 자중(自重)하며 집단(集團)과 축적(蓄積), 대중(大衆)과 균배(均配), 정초(定礎)와 건설(建設) 생산(生産)과 공영(共榮), 공동(共同)과 공익(共益) 등에 치우치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2) 토(土)가 토(土)를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비견(比肩), 겁재(劫財)에 해당(該當)하여 형제(兄弟), 동료(同僚) 친우(親友) 자매(姉妹) 등(等)에 해당(該當)한다.
(1) 무토(戊土)는 양토(陽土)로서 만물(萬物)의 성장(成長)을 억제(抑制)와 조화(調化), 통일(統一)과 발전(發展) 구심(求心)과 회전운동(回轉運動)의 영원성(永遠性)을 보장(保藏)하는 역활(役割)을 담당(擔當)한다.
(2) 무토(戊土)는 산(山)에 해당(該當)하며 강호(江湖)와 하해(河海)를 堤防(제방)하는 담장이요, 城郭(성곽), 제방(堤防)이다.
하늘(天)에서는 안개(霧), 노을에 해당(該當)한다.
(3) 수왕신왕(水旺身旺)해야 귀명(貴命)이요, 대합(帶合)함이 좋다.
일주(日柱)와 정화(丁火)가 허약(虛弱)하면 붕괴(崩壞)될 위험(危險)이 있다.
(4) 무토(戊土)를 고중(固重)이라 하여 춘하(春夏)에는 만물(萬物)이 발생(發生)하고, 추동(秋冬)에는 만물(萬物)을 수장(收藏)한다 하여 만물(萬物)을 사령(司令)한다고 한다.
(5) 인신(寅申)에서 기생(寄生)하고 사해(巳亥)에서 기록(寄祿)하며 진술축미(辰戌丑未)에서 왕(旺)을 얻고 간곤(艮坤)에 위치(位置)하여 정(靜)함을 희(喜)하고 충(沖)함을 기(忌)한다.
(6) 무(戊), 기(己) 토(土)는, 화(火)를 빌려서 체(體)를 나타냄으로 십이운성(十二運星)은 화(火)에 의지(依持)한다.
(7) 계(癸)는 비가 되어 비온 후에야 무지개를 보므로 상격(上格)이 문명지상(文明之象)으로 이름을 얻는다고 한다.
(1) 기토(己土)는 만물(萬物)을 조화(調化)하여 성숙(成熟)하게 하며 불열(不熱) 불냉(不冷)하며 항구적(恒久的)인 중심(中心) 기강(紀綱)을 유지(維持)해주는 작용(作用)을 한다.
(2) 기토(己土)는 전원(田園)에 해당(該當)하고 사유(四維)의 곤지(坤地)에 속(屬)하니 곤지(坤地)는 만물(萬物)이 생성(生成)하는데 근기(根氣)가 된다.
(3) 수금왕처(水金旺處)에 신약(身弱)하므로 불길(不吉)하다. 화토(火土)가 유기(有氣)하면 공(功)을 세우는 기명(寄命)이지만 실령(失令)하여 토약(土弱)하다면 불의(不宜)하다.
기(己)가 유(酉)에 좌(座)하여 춘(春)에 생(生)하면 귀(貴)하게 된다.
(4) 기토(己土)는 구름이 되고 갑(甲)은 뇌(雷)가되어 갑기합(甲己合)하면 운(雲)과 뢰(雷)가 합(合)하여 비를 만드는데 비는 토(土)를 기름지게 한다.
갑기합(甲己合)하는데 을목(乙木)을 보면 불가(不可)하니 을목(乙木)은 풍(風)이니 풍(風)이 운(雲)을 흩어버려 비를 못 만들게 하기 때문이다.
(5) 토성(土性)이 태중(太重)하면 우둔(愚鈍)한 폐단(弊端)이 있으므로 싸움을 잘하고 과식(過食)하여 질병(疾病)을 일으키기도 한다.
(1) 금(金)은 천간(天干)에는 경신(庚辛)이 있고 지지(地支)에는 신유(申酉)가 있는데 경(庚)과 신(申)은 양(陽)이 되고 신(辛)과 유(酉)는 음(陰)이 된다.
(2) 금(金)은 하도(河圖)의 서방(西方)에 위치(位置)하고 그 수(數)는 4, 9인데 양(陽)은 구(九)가 되고 음(陰)은 사(四)가 된다.
금(金)은 생수(生數)는 사(四)이고, 색(色)은 백(白)이며 계절(季節)은 가을(秋), 하루의 시간(時間)은 오후(午後)3시∼오후(午後)9시, 맛은 신(辛)매운 것이고 오상(五常)은 의(義)이고 장부(臟腑)로는 폐(肺), 대장(大腸)이다.
오기(五氣)는 조(燥)이며 오관(五官)은 비(鼻) 코가 되며 오음(五音)은 상음(商音)이 된다.
(3) 금(金) 성질(性質)은 성장(成長)을 억제(抑制)하고 정기(精氣)를 수렴(收斂)해서 본체(本體)로 환원(還元)하는 역활(役割)을 담당(擔當)한다.
가을이 되면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어 결실(結實)을 맺는 것이 금(金)의 작용(作用)이다.
목기(木氣)가 상승(上昇) 분산(分散), 생장(生長)시키는 원리(原理)와 대조(對照)하여 금기(金氣)는 하강(下降) 수축(收縮) 성숙(成熟)케 하는 원리성(原理性)을 갖는다.
금기(金氣)는 만물(萬物)의 성장(成長)을 억제(抑制)하며 고체화(固體化)하므로 모든 열매의 외곡피질(外穀皮質)은 견고(堅固)한 것이다.
(4) 만유사물(萬有事物)의 결실(結實)이 중요(重要)한 것과 같이 금(金)은 연구(硏究) 분석(分析) 가공(加工) 제작(製作)을 통하여 실용생활(實用生活)에 응용(應用)하는 작용(作用)이므로 오늘날의 서구(西歐) 물질문명(物質文明)이 서방(西方)인 금(金)의 원리(原理)에 의(依)하여 이루어진 결과(結果)이다.
목화(木火)의 기운(氣運)이 설계도(設計圖)나 계획서(計劃書)와 같다면 금수지기(金水之氣)는 이를 실용화(實用化)하는 수단(手段)인 까닭에 분석(分析), 가공(加工), 조립(組立), 제조(製造), 실험응용(實驗應用), 상품(商品), 시장(市長)등의 과정(過程)이 금(金)의 원리(原理)에서 이루어진다.
물질문명(物質文明), 자본주의(資本主義)가 서구(西歐)에서 꽃을 피우게 되는 이치(理致)이다.
(5) 또 금(金)은 실리(實利), 능률(能率)을 주장(主張)하므로 형식(形式)을 배제(排除)하며 이익(利益)이나 목적(目的)을 위하여 서는 강제적(强制的) 폭력(暴力)이나 무력(武力), 전쟁(戰爭), 살상(殺傷)을 일으키게 된다.
(1) 일간금(日干金) 경신(庚辛)이 1月, 2月, 3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금(金)이 목(木)을 만나면 한기(寒氣)가 남아 있으니 화(火)를 만나야 귀(貴)하고 귀(金)은 기약(氣弱)하니 후토(厚土)로서 보조(補助)하여야 한다.
금(金)이 목(木)을 만남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재(正財), 편재(偏財)에 해당(該當)한다.
이는 정당(正當)하게 얻어지는 재물(財物)과 기타(其他) 재물(財物) 관계(關係) 또 부인(婦人)과 자녀(子女)에 관한 일을 판별(判別)하게 되며 편재(偏財)는 부친(父親)이라 하니 아버지에 관한 일도 목(木)으로서 판단(判斷)하게 된다.
금(金)이 목(木)을 만나면 도끼가 나무를 만난 것과 같아서 정복(征服)과 취리(取利)가 우선(優先)한다.
주(主)로 성장직립지물(成長直立之物)을 제재(製材), 가공(加工), 실용(實用)하는 업(業)인 제재(製材), 벌목(伐木), 건설(建設), 섬유질(纖維質)의 가공(加工) 이용(利用), 건축(建築) 등에 인연(因緣)이 있다.
(2) 정월(正月)의 경금(庚金)은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하고 토(土)가 많으면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고 화다(火多)하면 임수(壬水)나 무토(戊土)를 쓴다.
이월(二月)의 경금(庚金)은 경금(庚金)이 암강(暗强)하니 정화(丁火)를 쓰고 갑목(甲木)으로 인도(引導)한다.
삼월(三月)의 경금(庚金)은 정화(丁火)를 쓰고 토왕(土旺)하면 갑목(甲木)을 쓰고 지지(地支)에 화(火)가 강(强)하면 계수(癸水)를 쓴다.
(3) 정월(正月)의 신금(辛金)은 기토(己土)로 생신(生身)하고 임수(壬水)로 설기(洩氣) 세척(洗滌)하며 경금(庚金)으로 도운다.
이월(二月) 신금(辛金)은 임수(壬水) 갑목(甲木)을 쓴다.
삼월(三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 갑목(甲木)을 쓴다. 병화(丙火) 신금(辛金)의 합(合)을 보면 계수(癸水)로 병화(丙火)를 극제(剋制)한다.
(1) 일간금(日干金) 경신(庚辛)이 사월(巳月) 오월(五月) 육월(六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금(金)이 화(火)를 만나면 수성(水盛)하여 자윤(滋潤)하게 됨을 가장 기뻐한다.
목(木)을 보면 조귀(助鬼)하므로 몸을 상(傷)하게 되고 금(金)을 만나게 되면 정장(精壯)함을 얻는다.
토박(土薄)하면 가장 긴요(緊要)한 용(用)이 되나 토후(土厚)하면 매몰(埋沒)하여 빛이 없어진다.
금(金) 중(重)하고 화(火)가 경(輕)하면 행(行)하는 일에 장애(障碍)가 많고 금(金)이 경(輕)하고 화(火)가 중(重)하면 녹아 없어진다.
박토(薄土)에 수(水)로써 윤(潤)함을 얻는 것이 가장 좋다.
금(金)이 화(火)를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되는 것으로서 이는 국가기관(國家機關)과의 일, 명예(名譽), 공직생활(公職生活), 남자(男子)는 자녀(子女)에 관한일 부인(婦人)은 남편(男便)과 애인(愛人)에 관한 일을 판단(判斷)할수 있다.
또 금(金)이 화(火)를 만난다는 것은 모든 금속물(金屬物)이 화(火)에 의지(依持)하여서 성기(成器)하는 것과 같으니 그 광택(光澤)을 발휘(發揮)하며 유용(有用)하게 명기(名器)가 되는 것이다.
인재(人材)로 발탁(拔擢)되고 전공(戰功)을 세우고 예의(禮意), 절도(節度), 충성(忠誠), 효도(孝道), 존법(尊法), 명예(名譽) 등(等) 정의(正義)를 존중(尊重)하며 공익(公益)을 위하여 헌신(獻身)하는 특징(特徵)이 있다.
(2) 사월(四月)의 경금(庚金)은 임수(壬水)를 쓰고 무토(戊土)로 상생(相生)시키고 지지(地支)에 금국(金局)을 이루면 정화(丁火)를 쓴다.
오월(五月)의 경금(庚金)은 임계수(壬癸水)로 조후용(調候用)하고 수(水)가 없으면 무기토(戊己土)로 화기(火氣)를 설기(洩氣) 상생(相生)시킨다.
육월(六月)의 경금(庚金)은 대서전(大暑前)은 임계수(壬癸水)로 조후용(調候用)하고 지지(地支)에 토(土)가 왕(旺)하면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고 정화(丁火)로 금(金)을 단련(團練)한다.
(3) 사월(巳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로 세척(洗滌)하고 갑목(甲木)으로 무토(戊土)를 제지(制止)하면 일청(一淸)이 도저(淘著)라 한다.
오월(五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가 있으면 조후(調候)가 안되고 기토(己土)로 생(生)하게 한다
육월(六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를 취(取)하고 경금(庚金)으로 도우며, 무토(戊土)의 출간(出干)함을 대기(大忌)하니 이때는 갑목(甲木)으로 제지(制止)하여야 한다.
(1) 日干이 金(庚辛)이 三月(辰), 六月(未), 九月(戌), 十二月(丑)에 出生하거나 戊己土를 만난 경우를 말한다.
금(金) 土를 만나면 보호(保護)룰 받게 된다. 육친론(六親論)으로는 正印 偏印이 되며 이는 父母를 만남과 같고, 학문(學問)을 익히는 것과 같고 윗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음과 같고, 유산(遺産)의 혜택(惠澤)을 입음과 같다.
土金相生은 자연(自然)의 보호(保護)나 혜택(惠澤), 선조(先祖), 부모(父母), 장상인(長上人)의 유산(遺産) 또는 은총(恩寵), 조상(祖上)의 유업(遺業)이나 역사적(歷史的) 실천(實踐)과 교훈(敎訓)등을 특징(特徵)으로 한다.
(2) 성하기(盛夏期)를 거쳐 과실(果實)의 육질(肉質)이 두터워지고 감미(甘味)가 생기는 것은 土中之土인 未土의 相生作用에 의(依)한다.
외피(外皮)와 내육(內肉)에 속(屬)하는 未土는 내부막(內部膜)을 형성(形成)하며 고체부분(固體部分)을 외포(外包)하며 더욱 내핵(內核)에 자리잡고 있는 종자(種子)의 견곡(堅穀)인 金氣을 相生으로 보호(保護)해 주며 水分인 정자(精子)는 金氣의 상생보호(相生保護)를 받아 다음에 다시 싹이 틀수 있게끔 토생金, 金生水하는 원리(原理)이다.
(1) 일간(日干) 경신(庚辛)이 칠월(七月), 팔월(八月), 구월(九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금(金)이 금(金)을 만나면 소리가 난다. 서로 의(義)로운 주장(主張)을 하여 완강(頑剛)한 고집(固執)을 앞세우거나 적(適)을 대항(對抗)할 때는 협동정신(協同精神)을 가지고 대처(對處)하는 까닭에 적대의식(適對意識)이 강하고 불의(不義)에 분개(憤慨)하는 성격(性格)을 같는다.
금(金)이 금(金)을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비견(比肩), 겁재(劫財)에 해당한다. 친우(親友), 동료(同僚), 형제(兄弟), 자매(姉妹)에 관한 일을 판단(判斷)하게 된다.
금(金)이 금(金)을 만나는 것은 강예(强銳)가 극도(極度)에 달(達)하니 경금(庚金)은 화(火)로 단련(鍛鍊)하여 대기(大器)를 이루고 신금(辛金)은 수(水)로써 설기(洩氣)하여야 그 정신(精神)의 빛을 나타낸다.
추금(秋金)이 화(火)을 쓰거나 수(水)을 쓰면 상격(上格)이 된다. 목(木)이 많으면 상인(商人)이 될 사람이고 토다(土多)하면 어리석은 사람이고 지나치게 강(强)하면 부러지기 쉽다.
(2) 칠월(七月)의 경금(庚金)은 정화(丁火)를 쓰고 갑목(甲木)으로 인도(引導)한다.
팔월(八月)의 경금(庚金)은 정화(丁火), 갑목(甲木)으로 금(金)을 제련(製鍊)하고
(3) 구월(九月)의 경금(庚金)은 토후(土厚)하면 갑목(甲木)을 먼저 쓰고 임수(壬水)로 설기(洩氣)한다.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해야 한다. 병화(丙火)가 없으면 정화(丁火)를 쓴다.
(4) 칠월(七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 갑목(甲木)을 쓰고 물이 많으면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한다.
팔월(八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로 세척(洗滌)하고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해야한다.
구월(九月)의 신금(辛金)은 임수(壬水) 갑목(甲木)을 쓴다.
(1) 일간(日干) 경신금(庚辛金)이 십월(十月), 십일월(十一月), 십이월(十二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금(金)이 수(水)를 만나면 형한(形寒)하고 성질(性質)이 한냉(寒冷)하니 토(土)를 만나 제수(制水)하고 화(火)가 토(土)를 도와야 성공(成功)한다.
수(水)가 성(盛)하면 금(金)이 가라 앉는다.
금(金)이 수(水)를 만나면 금기(金氣)는 강(强)한 것이 본질(本質)이오, 수(水)는 청(淸)한 것이 으뜸인 까닭에 금수쌍청지상(金水雙淸之象)을 이룬다.
금(金)이 수(水)를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 으로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되는데 이는 의식주(衣食住)를 얻기 위한 육체적(肉體的), 정신적(精神的), 활동(活動)에 해당(該當)하고, 여자(女子)는 출산(出産)하고 양육(養育)하는 일에 해당(該當)한다.
또 금(金)이 수(水)를 만난다 함은 의(義)로운 일에 지혜(智慧)가 생기고 연구(硏究) 노력(努力)하여 실력(實力)과 능률(能率)을 발휘(發揮)하며 지도(指導)와 교수(敎授)등으로 덕기(德氣)를 쌓는다.
교육(敎育)과 지능개발(知能開發), 학자(學者)와 작가(作家), 실업(實業)과 개척(開拓) 분야(分野), 덕망(德望)과 존경(尊敬), 호색(好色)하는 특성(特性)이 있다.
이는 소음(少陰) 태음(太陰)의 만남이니 물질적(物質的)이고 현실적(現實的)인 합리적(合理的)인 사고(思考)를 추구(追求)하게 된다.
(2) 십월(十月)의 경금(庚金)은 금한수냉(金寒水冷)하니 병정화(丙丁火)를 쓰고 갑목(甲木)으로 도운다.
십일월(十一月) 경금(庚金)은 경금(庚金) 갑목(甲木)을 하고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한다.
십이월(十二月) 경금(庚金)은 경금(庚金) 갑목(甲木)을 취(取)하고 병화(丙火)를 조후용(調候用)으로 쓴다.
(3) 십월(十月)의 신금(辛金)은 병화(丙火)를 쓰고 갑목(甲木)으로 도운다.
십일월(十一月)의 신금(辛金)은 병화(丙火)를 조후용(調候用)으로 쓰고 무토(戊土) 갑목(甲木)으로 도운다.
십이월(十二月)의 신금(辛金) 병화(丙火) 갑목(甲木)으로 조후용(調候用)하고 임수(壬水)로 세척(洗滌)한다.
(1) 경금(庚金)은 가을이 되면 만물(萬物)이 결실(結實)함과 같고, 응고(凝固), 고체화(固體化)하는 형상(形象)으로 정기(精氣)를 응결(凝結)시킨다.
이때 강제성(强制性)이나 살상(殺傷), 억압(抑壓)이 따르는데 이를 숙살(肅殺)의 기운(氣運)이라 한다.
(2) 경금(庚金)은 달이 되고 성질(性質)이 강건(强健) 완둔(頑鈍)하고, 순박(淳朴)하다.
사(巳)에서 생(生)을 받아 자(子)에서 달이 물 속에 빠진다.
(3) 임수(壬水)를 얻으면 그 강건(强健)의 기운(氣運)을 설기(洩氣)하여 기(氣)의 흐름이 청(淸)하고 정화(丁火)를 보면 강건(强健)의 재질(材質)을 녹혀서 인물(人物)을 이룬다.
(4) 춘하(春夏)에 생(生)하여 축진(丑辰) 습지(濕地)를 만나면 능(能)히 생(生)을 받고 술미(戌未) 조토(燥土)를 만나면 부러진다.
(5) 갑목(甲木)이 비록 강(强)해도 힘으로 벌(罰)하고, 을목(乙木)이 비록 약(弱)하나 합(合)하면 정(情)이 있다.
(6) 경금(庚金)이 을사(乙巳)를 보면 월백풍청(月白風淸)이라 하여 추명(秋命)은 상격(上格)이 되고 겨울(冬)에는 다음이며 춘하(春夏)에는 취(取)할 것이 못된다.
(1) 가을(秋)에는 만물(萬物)이 결실(結實) 고체화(固體化)되며 사물(事物)을 자극(刺戟)하는 까닭에 고추나 마늘과 같이 매웁다는 말을 신자(辛字)로 나타낸다.
또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어 새로운 곡식(穀食)을 수확(收穫)한다고 하여 신(新) 경(更)자(字)를 사용(使用)하는데 신자(辛字)의 뜻을 의미 한다.
(2) 신금(辛金)은 서리 상(霜)이 되고 주옥(珠玉)이니 성품(性品)이 허령하고 양화(陽和)함을 사랑하고 사수(砂水)를 가장 즐겨한다.
사수(砂水)란 기토(己土)와 임수(壬水)를 말한다.
(3) 양화수(陽和水)가 청정(淸淨)하면 공명(功名)을 성취(成就)하고 재화(災火)의 단련(鍛鍊)이 심(甚)하면 축토(丑土) 기토(己土)의 도움이 있어야 하고 수냉금한(水冷金寒)하면 병정(丙丁)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4) 신왕(身旺)하고 통근(通根)하면 매몰(埋沒)될 걱정은 없지만 토기(土氣)가 태다(太多)하면 매몰(埋沒)됨을 기(忌)한다.
(5) 신금(辛金)은 임계수(壬癸水)를 만나 색(色)을 내고 옥(玉)을 빛내는데 임수(壬水)를 더욱 사랑한다.
신금(辛金)은 자(子)에서 장생(長生)을 얻고 사(巳)에서 사(死)한다.
(6) 사(巳)에서 단련(鍛鍊)하여도 사기(死器)가 되며 무토(戊土)에 의하여 매몰(埋沒)된다.
(1) 수(水)는 천간(天干)에서 임계(壬癸)가 되고 지지(地支)에는 해자(亥子)가 되는데 임(壬)과 자(子)가 양(陽)이 되고 계(癸)와 해(亥)가 음(陰)이 된다.
그러나 자(子)의 정기(正氣)는 계(癸)가 되고 해(亥)의 정기(正氣)는 임(壬)이 되어 인원사사(人元司事)로는 자(子) 양(陽)이 정기(正氣)로 음(陰)이 되고 해(亥) 음(陰)이 양(陽)이 된다.
(2) 수(水)는 하도(河圖)의 북(北)쪽에 위치(位置)하고 그 수(數)는 1, 6인데 양(陽)은 일(一)이되고 음(陰)은 육(六)이 된다.
수(水)의 생수(生數)는 오행(五行)의 첫 번째인 일(一)이되고 색(色)은 흑(黑)이고 계절(季節)은 겨울(冬), 하루의 시간(時間)은 오후(午後) 9시 ∼ 새벽 3시가 되고, 맛은 짠맛 함(鹹)이고 오상(五常)은 지(智)이고 장부(臟腑)로는 신(腎), 방광(膀胱)이다.
오기(五氣)는 한(寒)이며 오관(五官)은 귀(耳)가 되고 오음(五音)은 물 흐르는 소리 우음(羽音)이 된다.
(3) 물은 우주(宇宙)를 창조(創造)한 본체(本體)로서 물질(物質)의 삼형태(三形態)인 기체(氣體), 액체(液體), 고체(固體)는 물의 변화(變化)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열(熱)을 만나면 기체(氣體)로 변(變)하고 냉(冷)하면 액체(液體)로 변(變)하고 한냉(寒冷)하면 고체(固體)로 변(變)한다.
물은 우주창조(宇宙創造)의 본체(本體)인 까닭에 만유생명(萬有生命)의 근원(根源)이며 수(水)로서 보존(保存)되고 수(水)로서 이어지고 수(水)로서 생겨난다.
따라서 생명(生命)의 시원(始源)을 종자(種子), 정자(精子), 원자(原子), 분자(分子), 전자(電子)등 물에 해당(該當)하는 자자(子字)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이를 의미한다.
(4)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데 신(申)에서 나오고 해자(亥子)에서 록왕(祿旺)을 얻으며 손궁(巽宮) 진(辰)에서 고방(庫房)을 이룬다.
따라서 유(酉)쪽이 높은 곳이고 북(北)→동(東)→남(南)이 낮은 곳이 된다.
서(西)쪽에서 북동남(北東南)으로 흐르면 순조(順調)롭게 되고 이와 반대(反對)는 역행(逆行)이 된다.
순행(順行)하면 도량(度量)이 넓고, 역행(逆行)하면 성망(聲望)과 명예(名譽)가 있고 길신(吉神)이 부조(扶助)하면 더욱 기뻐하고 형충(刑沖) 방탕(放蕩)됨을 대기(大忌)한다.
(5) 수(水)는 창조적(創造的) 사색(思索)과 지기(智氣) 심원(深遠)한 것이 그 본성(本性)이며 그 성질(性質)이 아래로 흐르고 물질(物質)을 대표(代表)하는 태음(太陰)이 되니 만물(萬物)을 수장(收藏)하고 저장(貯藏)하며 밤을 사랑하고 육체(肉體)의 정(情)에 강(强)한 특성(特性)을 갖는다.
(6) 자사(自死)의 지(地)는 인묘궁(寅卯宮)이 되며 자절(自絶)의 지(地)는 사궁(巳宮)되고 병무(丙戊)가 화양(和陽)의 지(地)로서 제방(堤防)의 용(用)이 된다.
금(金)이 사(死)하게 되면 수(水)가 곤고(困苦)하게 되어 좋지 못하고 금(金)이 수(水)를 생(生)하여 주면 멀리 흐르고 수(水)가 넘쳐흐르면 토(土)로서 제방(堤防)을 해야한다.
수화(水火)가 고르게 있으면 기제(旣濟)의 공(功)을 이룬다.
수토(水土)가 혼잡(混雜)하면 원류(源流)가 탁(濁)하게 되니 흉(凶)하다.
화다(火多)하면 수(水)가 말라버리고 토다(土多)하면 수(水)가 흐르지 못한다.
목왕(木旺)하면 수(水)가 사(死)한다.
수명(水命)이 동요(動搖)하면 탁류(濁流)가 범람(氾濫)하게 되니 여인(女人)에게는 더욱 해롭다.
양수(陽水)가 신약(身弱)하면 가난하게 되고 , 음수(陰水)는 신약(身弱)해도 부귀(富貴)를 누릴 수 있다.
(1) 일간(日干) 수(水) 임계(壬癸)가 일월(一月), 이월(二月), 삼월(三月)에 출생(出生) 하였음을 말한다.
수(水)가 목(木)을 만나면 수목상관(水木傷官)이 되는데 재관(財官)을 보므로 귀(貴)하게 된다.
재(財)는 화(火)가 되고 관(官)은 토(土)를 말한다.
수(水)가 목(木)을 만난다 함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에 해당(該當)하는데 남자(男子)는 의식주(衣食住)를 위(爲)한 육체적(肉體的) 정신적(精神的) 경제활동(經濟活動)에 해당(該當)하며, 여자(女子)는 자녀(子女)를 출산(出産)하고 양육(養育)하며 가내(家內)를 돌보는 일에 해당(該當)한다.
물이 나무를 만나게 되면 아래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나무를 타고 태양(太陽)의 열기(熱氣)가 이끄는 방향(方向)으로 상승(上昇)한다.
이는 생물학적(生物學的)으로는 엽록소(葉綠素) 동화작용(同化作用)에 해당(該當)하고 활동(活動), 추진(推進), 개발(開發), 건설(建設), 확장(擴張), 발견(發見), 입지(立志) 등(等)의 작용(作用)이 있다.
(2) 정월(正月)의 임수(壬水)는 경금(庚金)으로 근원(根源)을 삼고 병화(丙火)로 조후(調候)하면 대길(大吉)하다.
수다(水多)하면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하여 상생(相生)토록 한다.
이월(二月)의 임수(壬水)는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삼고 무토(戊土)로 제방(堤防)을 한다.
삼월(三月)의 임수(壬水)는 무토(戊土)가 사령(司令)하니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고 다음으로 경금(庚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한다.
(3) 정월(正月)의 계수(癸水)는 신금(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하고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하며, 어려서부터 귀(貴)하게 된다.
이월(二月)의 계수(癸水)는 경금(庚金)을 쓰고 경금(庚金)이 없으면 신금(辛金)으로 수원(水源)을 이루어야 한다.
삼월(三月)의 계수(癸水)는 청명후(淸明後)는 화기(火氣)가 강(强)하지 못하니 병화(丙火)를 쓰면 음양화합(陰陽和合)이 된다.
곡우후(穀雨後)는 병화(丙火)를 쓴다 하여도 신금(辛金)과 갑목(甲木)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삼월(三月)의 계수(癸水)는 종화자(從化者)가 많으니 화(化)을 얻느자는 영화(榮華)를 누리고 화(化)를 얻지 못하면 평상(平常)하게 된다.
(1) 일간(日干) 수(水) 임계(壬癸)가 사월(四月), 오월(五月), 유월(六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수(水)가 화(火)를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재(正財) 편재(偏財)에 해당(該當)하는데 정재(正財)란 남자(男子)에게는 부인(婦人)에 해당(該當)되고, 내가 경제생활(經濟生活)을 통(通)하여 얻어지는 재물(財物)이 되며 편재(偏財)는 투기재(投機財)나 사업상(事業上) 통상(通常) 이익(利益)을 초과(超過)하는 이익(利益)이다.
또 육친(六親)으로는 아버지나 애첩(愛妾)을 나타내기도 한다.
수(水)가 화(火) 하절(夏節)을 만나면 고갈(枯渴)하는 때이니 비견(比肩), 겁재(劫財)를 얻고 금(金)이 수원(水源)을 생(生)하여 주어야 기쁘다.
목성(木盛)하면 그 기를 빼앗기고 토왕(土旺)하면 그 흐르는 것을 억제(抑制)당한다.
물이 화(火)를 만나면 기체(氣體)로 화(化)하여 상승(上昇)한다.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루면 발전(發展)과 번영(繁榮), 진취(進取)와 건설(建設) 등(等)의 작용(作用)으로 나타나며 명석(明晳)한 두뇌(頭腦)로써 기억(記憶)과 사고(思考), 능변(能辯)과 기민(機敏)이 특징(特徵)이다.
(2) 사월(四月)의 임수(壬水)는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이루고 임계수(壬癸水)로 도와야 한다.
오월(五月)의 임수(壬水)는 반드시 계수(癸水)로 용신(用神)을 삼고 경신금(庚辛金)으로 돕는 것이 좋다.
유월(六月)의 임수(壬水)는 신금(辛金)과 계수(癸水)를 쓰고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여야 한다.
(3) 사월(四月)의 계수(癸水)는 신금(辛金) 경금(庚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하고, 임수(壬水)로 조후(調候)한다.
오월(五月)의 계수(癸水)는 뿌리가 지극히 약하니 경신금(庚辛金)으로 수원(水源)을 삼고 임계(壬癸)로 도우는 것이 좋다.
유월(六月)의 계수(癸水)는 상반월(上半月)에는 경신금(庚辛金)이 쇠약(衰弱)하므로 임계(壬癸)로 도와 주어야 좋고, 하반월(下半月)에는 경신금(庚辛金)이 힘이 있으므로 임계수(壬癸水)를 쓰지 아니한다.
(1) 일간(日干) 수(水) 임계(壬癸)가 칠월(七月), 팔월(八月), 구월(九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수(水)가 금(金)을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인(正印) 편인(偏印)에 해당(該當)하며 부모(父母)를 만남과 같고 학문(學問)을 연마(硏磨)함과 같고 유산(遺産)을 물려받음과 수(水)가 금(金)을 만나면 모왕(母旺) 자상(子相)하니 겉과 속이 정영(晶瑩)하고 청증(淸證)해 진다.
토왕(土旺)함을 만나면 혼탁(混濁)하여지고 화다(火多)하면 재산(財産)의 풍요(豊饒)를 이룬다.
또 목(木)이 중(重)하면 자손(子孫)의 영화(榮華)를 누린다.
수세(水勢)가 범람(氾濫)하면 무토(戊土)로써 제방(堤防)하여야 하고 기토(己土)로써는 제방(堤防)할수 없다.
따라서 삼추(三秋)의 임수(壬水)는 관성(官星) 기토(己土)보는 것을 기(忌)한다.
수(水)가 금(金)을 만나는 격(格)은 맑은 공기를 많이 마시면 폐(肺)에서 산소를 충분히 혈액(血液)에 공급(供給)하여 활력소(活力素)를 얻는 것과 같다.
따라서 대자연(大自然)의 진리(眞理)를 깨닭아 혜택(惠澤)을 누릴수 있는 것이므로 진리탐구(眞理探究), 수행(修行)과 연구(硏究), 도덕(道德)을 숭상(崇尙), 유산(遺産)을 받고 장상인(長上人)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특징(特徵)이 있다.
(2) 칠월(七月)의 임수(壬水)는 신(申)에서 장생(長生)을 얻어 원원장류(遠源長流)하니, 무토(戊土)로 용신(用神)을 삼고 정화(丁火)로 도운다.
팔월(八月)의 임수(壬水)는 신금(辛金)이 사권(司權)하니 금백수청(金白水淸)하다.
갑목(甲木)으로 용신(用神)을 삼고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해주면 대길(大吉)하다.
구월(九月)의 임수(壬水)는 갑목(甲木)으로 무토(戊土)를 제극(制剋)하고 병화(丙火)로 따뜻하게 하면 청귀(淸貴)하게 된다.
(3) 칠월(七月)의 계수(癸水)는 신중(申中) 경금(庚金)이 생(生)하여 주니 정화(丁火) 갑목(甲木)을 쓰고 지지(地支)에 오미(午未)와 통근(通根)함을 기쁘게 여긴다.
팔월(八月)의 계수(癸水)는 금백수청(金白水淸)하므로 신금(辛金)과 병화(丙火)를 쓰면 금수(金水)가 다뜻하게 된다.
구월(九月)의 계수(癸水)는 신금(辛金)으로 수원(水源)을 발(發)하고 갑목(甲木)으로 무토(戊土)를 제어(制御)하면 현달(顯達)한다.
(1) 일간(日干) 수(水) 임계(壬癸)가 십월(十月), 십일월(十一月), 십이월(十二月)에 출생(出生)하였음을 말한다.
수(水)가 수(水)를 만나게 되면 육친론(六親論)으로는 비견(比肩) 겁재(劫財)에 해당(該當)하니 형제(兄弟) 자매(姉妹) 친우(親友) 동료(同僚)에 관한 일을 판단(判斷)한다.
물이 물을 만나면 적수성하지상(滴水盛河之象)으로 수(水)가 한기(寒氣)를 만나 결빙(結氷)하게 되니 화(火)로써 따뜻하게 하여 물을 녹여 덥혀야 한다.
토(土)를 보면 형(形)을 감추어 귀화(歸化)한다.
금다(金多)하면 도리어 의(義)가 없고 목성(木盛)하면 유정(有情)하다. 수성(水盛)하면 토(土)로써 제방(堤防)하여야 한다.
수(水)가 수(水)를 만나면 수세(水勢)가 도도(濤濤)하여 기세(氣勢)가 당당(當當)하며 군중심리(群衆心理)와 협력정신(協力精神)이 투철(透徹)하고 승세(乘勢), 급진(急進), 과강(過强)하기 쉬우며 경쟁(競爭)과 협조(協助), 균배(均配)와 분탈(分奪)이 특징(特徵)이다.
(2) 십월(十月)의 임수(壬水)는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하고 갑병(甲丙)으로 조후(調候)를 삼는다.
십일월(十一月)의 임수는 수왕(水旺)하면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하고 갑병(甲丙)으로 따뜻하게 한다.
십이월(十二月)의 임수(壬水)는 상반기(上半期)에는 병화(丙火)를 쓰고 하반월(下半月)에는 병화갑목(丙火甲木)을 슨다
(3) 십월(十月)의 계수(癸水)는 무토(戊土)로 제수(制水)하고 갑병(甲丙)으로 따뜻하게 한다.
십일월(十一月)의 계수(癸水)는 갑병(甲丙)으로 설기(洩氣) 조후용(調候用)하고 물이 많으면 무토(戊土)로 제방(堤防)한다.
십이월(十二月)의 계수(癸水)는 병정화(丙丁火)를 쓰고 지지(地支)에 통근(通根)함을 요(要)한다.
(1) 일간(日干) 수(水) 임계(壬癸)가 진술축미월(辰戌丑未月)에 태어나거나 무기토(戊己土)를 상견(相見)함을 말한다.
수(水)가 토(土)를 만나는 것은 육친론(六親論)으로는 정관(正官) 편관(偏官)에 해당(該當)하는 것으로 이는 길(吉)한 즉(卽), 명예(名譽)와 국가공무원(國家公務員) 국가기관(國家機關)으로 인(因)한 혜택(惠澤), 남편(男便)과 자식(子息)으로 인(因)한 즐거움이 있고 편관(偏官)이 해(害)로운 즉(卽) 일생(一生)에 고통(苦痛)과 질병(疾病)과 재난(災難)이 따른다.
(2) 수(水)가 토(土)를 만나면 흐름이 멈추고 물은 고이게 된다.
수다우토(水多遇土)는 제수(制水) 제방(堤防)의 공(功)이 있어 땜을 건설(建設)하여 전력(電力)을 얻거나 저수지(貯水池)를 만들어 관개수(灌漑水)를 얻어 수리자원(水利資源)의 혜택(惠澤)을 받는다.
정순(靜順)하고 내성적(內省的)인 성격(性格)이 여기서 우러나오며 공익(公益)과 희생(犧牲) 긍지(矜持)와 명예(名譽), 평등(平等)과 평화(平和), 저축(貯蓄)과 보수(保守), 복종(僕從)과 의무(義務)등의 특징(特徵)이 있다.
(1) 임수(壬水)는 본양(本陽) 용음(用陰)인 까닭에 동중정(動中靜)하는 기상(氣象)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성음정(內性陰靜)하고 솔직(率直)한 외향성(外向性)도 곁들이고 있으며 창조적(創造的) 사색(思索)과 지기심원(智氣深遠)한 것이 본체(本體)이다.
(2) 임수(壬水)는 가을 서리 상(霜)이 되고 왕양(汪洋)한 강하(江河)이고 백천(百川)을 합(合)한 대해(大海)가 된다.
화토(火土)가 중다(重多)하면 수원(水源)이 마르니 흉(凶)하고 원명(原命)에 금수(金水)가 유기(有氣)하면 오미(午未)를 좋아한다.
(3) 신(申)에서 장생(長生)하니 신(申)은 곤방(坤方)이니 하구(河口)라 하고 묘(卯)에서 사(死)한다.
신자진(申子辰) 삼합수국(三合水局)하고 계수(癸水)가 천간(天干)에 투출(透出)하면 무기(戊己)로 제방(堤防)이 불가(不可)하고 목(木)으로 설기(洩氣)해야 한다.
(4) 가을에 임일생(壬日生)이 정화(丁火)를 보면 현달(顯達)하는데 정(丁)은 성하(星河)가 되고 임(壬)은 가을 서리가 되어 재기(災氣)를 식히고 형상(形象)을 밝게 비추기 때문이다.
임수(壬水)는 제방(堤防)으로 무토(戊土)를 기뻐하고 음목(陰木)을 두려워하며 도기(盜氣)의 근심(根心)이 된다.
(5) 임수(壬水)는 남행(南行)을 사랑하니 미(未)와 오(午)로서 태(胎) 양(養)의 지(地)가 된다.
재다(財多)하고 신약(身弱)하면 복(福)을 모을수 있지만 신왕(身旺)한데 재경(財經)하면 재앙(災殃)을 받는다.
(1) 계수(癸水)는 음중(陰中)에도 음(陰)에 속(屬)하고 천간중(天干中) 가장 지약(至弱)한 기세(氣勢)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정적(陰靜的)인 데서 응고(凝固), 결빙(結氷), 한냉(寒冷)하며 내성(內性) 음약(陰弱) 지순(至順)한 까닭에 종세(從勢) 종화(從化)하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2) 계수(癸水)가 우로(雨露)지만 지지(地支)에 해자(亥子)가 있으면 강하(江河)가 된다.
주중(柱中)에 수왕지(水旺地)가 없다면 신약(身弱)하고 국중(局中)에 재관(財官)이 있음이 좋지만 많음은 불길(不吉)하다.
(3) 화토왕절(火土旺節)에 생(生)하였다면 서북(西北)으로 대운(大運)이 행(行)하여도 수기(水氣)가 태과(太過)하다고 볼 것은 못된다.
(4) 계수(癸水)가 지지(地支)에 진(辰)을 만나면 화기(化氣)의 원신(原神)이 투출(透出)함이라 하며 화토(火土)가 태과(太過)하면 종화(從化)한다.
무계(戊癸)가 화(火)하여 시에 병진(丙辰)을 보면 화상(化象)의 진(眞)이라 한다.
(5) 계수(癸水)는 묘(卯)에서 장생(長生)해서 춘상(春霜)이라 하며 신(申)에서 사(死)한다.
계묘일(癸卯日)에 사자(巳字)가 있으면 구름(雲)이 있는데로 가서 비(雨)를 베푸는 상(象)이니 그런 사람은 경제적(經濟的) 재능(才能)이 있는 사람이다.
(1)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에서 천간(天干)을 양(陽)으로 보면 지지(地支)는 음(陰)이 된다.
지지(地支)는 동(動)하는 것 정(靜)하는 것이 천간(天干)과 다른 것으로 양지(陽支)는 동차강(動且强)이라 하고 음지(陰支)는 정차전(靜且專)이라 한다.
(2) 지지(地支)는 위치(位置)에 따라 년(年), 월(月), 일(日), 시(時)에 따라 음양(陰陽)의 경중(輕重)과 심천(深淺)이 다르다.
지지중(地支中) 음양(陰陽)을 구별(區別)하면 자(子), 인(寅), 진(辰), 오(午), 신(申), 술(戌)이 양지(陽支)가 되고 축(丑), 묘(卯), 사(巳), 미(未), 유(酉) 해(亥)가 음지(陰支)가 된다.
(3) 지지(地支)의 자의(字義)에 관하여서는 이미 설명(說明)하였으므로 이곳에서는 지지(地支)의 오행학적(五行學的) 성격(性格) 의미(意味), 지지(地支) 상호간(相互間)의 관계(關係), 물상(物象), 인체(人體) 구성학적(九星學的) 견지(見地) 등(等) 좀더 상세(詳細)히 살펴봄으로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에서 지지(地支)가 갖는 의미(意味)의 이해(理解)에 접근(接近)하고자 한다.
자(子)는 임자(壬字)의 진리(眞理)를 계승(繼承)한 일점수기(一點水氣)이며 일양지정(一陽之精)에 해당(該當)한다.
천간(天干)에는 갑(甲)이 수위(首位)가 되고 지지(地支)에는 자(子)가 수위(首位)가 되는 자로 만물(萬物)의 시원(始源)이요, 우주창조적(宇宙創造的) 본체(本體)인 물과 같다.
정자(精子), 종자(種子), 원자(原子), 난자(卵子), 전자(電子), 양자(陽子) 등에서 씀과 같다.
자수(子水)는 액체(液體)이며 류체(流體)인 까닭에 일상생활(日常生活)에 필요(必要)한 음료수(飮料水), 세탁(洗濯), 목욕(沐浴), 상하수도(上下水道), 농업용(農業用) 관개수(灌漑水), 강하(江河) 등(等)주로 담수(淡水)에 해당(該當)하나 수국(水局)을 형성(形成)하면 해양에 적용(適用)된다.
또 외형(外形)이 실이나 포목(布木)의 필(匹)과 같이 길게 흘러 보이며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을 형성(形成)하였을 때는 섬유질(纖維質)에 속(屬)하는 견계(絹系) 모계류(毛系類)를 상징(象徵)하기도 한다.
월(月)로서는 양력(陽曆) (12月 6日∼익년(翌年) 1月 5日)에 해당(該當)하고 시간(時間)으로는 한밤인 밤 열한시(十一時) 부터 새벽 한시(一時)까지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정북(正北) 감방(坎方)에 해당(該當)하며 구성(九星)으로는 문곡성(文曲星) 육살(六殺), 중남(中男)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쥐 서(鼠)이다.
월령(月令)으로는 십이월(十二月) 물이 왕양(汪洋)해지는 상(象)이요. 천도(天道)가 양(陽)을 향(向)해 회행(回行)하는 일양시생(一陽始生)의 때가 된다.
화(火)로 더웁게 하고 금(金)이 생수(生水)해 줌이 좋으며 오(午)가 충파(沖破)함은 흉(凶)하다
수왕(水旺)하므로 자묘(子卯)의 형(刑)은 유정(有情)한바 있고, 신진(申辰)이 있으면 수국(水局)을 이루어 강해(江海)가 되니 파도(波濤) 소리 드높다.
수도(水道), 하수도(下水道), 취사장(炊事場), 목욕탕(沐浴湯), 세면장(洗面場), 지하실(地下室), 암실(暗室), 변소(便所), 해양(海洋), 강하(江河), 저수지(貯水池), 땜, 수력발전소(水力發電所), 항구(港口), 해수욕장(海水浴場), 양어장(養魚場), 염전(鹽田), 산부인과(産婦人科), 소아과병원(小兒科病院), 이발소(理髮所), 미장원(美粧院), 원자력발전소(原子力發電所), 전자제품공장(電子製品工場), 소방서(消防署), 주점(酒店), 밀매음가(密賣淫街), 종묘원(種苗園), 탁아소(託兒所).
(1) 인체(人體) : 신장(腎臟), 뇨도(尿道), 자궁(子宮), 이(耳), 요(腰), 홀몬생식기(生殖器), 음부(陰部), 정자(精子), 월경(月經), 갑상선(甲狀腺),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고환(睾丸)
(2) 인물(人物) : 아이(兒), 임부(姙婦), 작부(酌婦), 매음부(賣淫婦), 어부(漁夫), 야경인(夜警人), 맹인(盲人), 익사자(溺死者), 승려(僧侶), 철학자(哲學者), 저술가(著述家), 도적(盜賊), 간첩(間諜).
음료수(飮料水), 액체(液體) 유류(油類), 주류(酒類), 장류(藏類), 염료(染料), 미생물(微生物), 어류(魚類), 해초류(海草類), 종자(種子) 생선(生鮮), 원자(原子), 전자제품(電子製品), 세탁기(洗濯機), 필묵(筆墨), 잉크, 병, 포목(布木), 견계(絹系) 세장지물(細長之物) .
쥐, 제비, 박쥐, 여우, 밤에 나타나는 동물(動物), 어류(魚類), 올챙이, 해파리
축(丑)은 천운(天運) 기토(己土)의 진리(眞理)를 계승(繼承)한 문자(文字)이며, 하도(河圖) 중궁(中宮) 오토(五土)를 포위(包圍)하고 있는 십수(十數)의 진리(眞理)로부터 기원(起源)한다.
축(丑)은 이양시생(二陽始生)의 지(地)로서 두손으로 생명(生命)의 원천(源泉)인 종자(種子)를 감싸고 있는 형상(形象)이며 북방(北方)의 물을 동방(東方)의 나무로 연결(連結) 전도(傳導), 상승(上昇)하는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한다.
(1) 기토(己土)는 통일(統一)의 토(土)로서 기성(其性)이 음(陰)하고 화(和)하며, 사물(事物)의 조화(調化)와 성숙(成熟)을 완성(完成)하게 하는 중화(中和) 조절작용(調節作用)을 하고 있으므로 마치 소립자(素立子)와 같은 역할(役割)을 한다고 한다.
또 기토(己土)는 기강(紀綱)과 규칙적(規則的)인 변화작용(變化作用)을 중심(中心)에서 조화(調化)하여 영속적(永續的)인 항구성(恒久性)을 보장(保障)하게 하는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한다.
(2) 축토(丑土)는 계수(癸水), 신금(辛金), 기토(己土) 삼종(三種)의 오행(五行) 복합체(複合體)며 주로 고체(固體)인 금속(金屬)과 모래로 구성(構成)되어 수기(水氣)를 제수(制水)하여 능(能)히 정수(淨水)로 여과(濾過)하는 역할(役割)을 한다.
축토(丑土)는 무고(武庫)나 금고(金庫)로 통(通)하여 전쟁(戰爭)에 필요(必要)한 무기일체(武器一體)를 저장하는 창고(倉庫)나 이에 따른 제반수단(諸般手段)에 해당한다.
(3) 재고(財庫)로서는 은행(銀行), 세금(稅金), 금융(金融) 등 재화(財貨)를 취급(取扱)하는 관서(官署)가 여기에 속(屬)한다.
또 금속성(金屬性)의 저장(貯藏)과 기계(機械)와 고체(固體) 물질(物質)의 보관 등이 여기에 속(屬)한다.
월(月)로서는 양력(陽曆) (1月 6日 ∼2月 5日)에 해당(該當)하고 시간(時間)으로는 새벽( 1時 ∼ 3時 )까지이고, 절후(節侯)는 소한(小寒), 대한절(大寒節). 방향(方向)으로는 간방(艮方) 동북방(東北方)이며,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소(丑)이고, 구성(九星)으로는 거문성(巨門星) 천의(天醫) 소남(少男) 방위(方位)에 해당한다.
※ 이 방위(方位)를 귀문방위(鬼門方位)라 하기도 한다.
월령(月令)으로는 양(陽) 1월(月) 만물(萬物)이 얼어붙은 빙설(氷雪)로 보지만 삼양(三陽)이 태동(胎動)하여 난기(暖氣)가 만물(萬物)을 자라게 하는 흙이 준비(準備)된다.
술(戌)을 만나면 형(刑)이 되고 미(未)를 보면 고지(庫地)가 충(沖)되고 가장 좋은 것은 형충(刑沖)이지만 용(用)으로 삼지는 않는다.
사유(巳酉)를 보면 삼합금국(三合金局)을 이루며 인명(人命)에 수(水)를 많이 보면 측면(側面)에 수(水)가 많이 있고 손(巽), 리(離)의 지(地)로 행(行)하는 경우(境遇) 토(土)는 왕(旺)해 진다.
금(金)의 묘고(墓庫), 주방(廚房), 마루, 차고(車庫), 금고(金庫), 초석(礎石), 전원(田園), 농장(農場), 과수원(果樹園), 채전(菜田), 분묘(墳墓), 사석(沙石), 광산(鑛山), 목축장(牧畜場), 사찰(寺刹), 교회(敎會), 주차장(駐車場), 정류장(停留場), 문화재(文化財), 고궁(古宮), 재무관서(財務官署), 은행(銀行), 세관(稅關), 증권회사(證券會社), 금은방(金銀房), 군주둔부대(軍駐屯部隊), 무기고(武器庫), 전당포, 기계상(機械商) 복덕방(福德房), 결혼상담소(結婚相談所).
(1) 인체(人體) : 비(脾), 복(腹), 양수(兩手), 횡격막, 맹장(盲腸), 취장,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구(口), 기육(肌肉).
(2) 인물(人物) : 군인(軍人), 은행원(銀行員), 세무관리, 경리사원, 소년(少年), 유아(幼兒), 중개인(仲介人), 소개인(紹介人), 수인(囚人), 기사(技士), 건물(建物)수리인, 여관업자.
옛을 버리고 새것을 취한다. 변화(變化), 상속(相續), 지기(知己), 폐업(閉業), 정지(停止), 농토(農土), 재화(財貨), 무기(武器), 은행(銀行), 증권(證券), 금고(金庫), 차고(車庫), 철제품(鐵製品), 미싱기계, 인쇄기(印刷機), 전기제품(電氣製品), 금은(金銀) 장신구(裝身具).
소, 사슴, 거북, 지네, 나귀, 버섯류, 감자류, 고구마, 토란, 가제.
천운(天運) 갑목(甲木)의 정신(精神)과 진리(眞理)를 계승(繼承)한 것으로 하도(河圖) 좌측(左側)에 명시(明示)된 내양(內陽) 삼점(三點)의 수의(數意)를 가지고 시발(始發)과 두각(頭角)을 상징(象徵)한다.
인(寅)은 삼양시생(三陽始生)의 지(地)로서 태양(太陽)과 광명(光明)이 세상(世上)을 밝혀 주듯이 여명(黎明)과 광명(光明)을 상징(象徵)한다.
(1) 싹이 발아(發芽)하여 지표(地表)를 뚫고 올라오거나 태아(胎兒)가 출생(出生)한 상(象)을 표시(表示)한 문자(文字)이며 동방(東方)의 뜻을 갖고 있다.
※ 역학계(易學界)에서는 한국(韓國)을 지구(地球)의 인방(寅方)이라고 한다.
(2) 인목(寅木)은 물이 나무에 전도(傳導)되는 현상(現象)을 교시(敎示)한 문자(文字)인 연자(演字)를 의미(意味)한다고 하고 지혜(智慧) 수(水)가 지식(知識)으로 전달(傳達)하는 모습을 상징(象徵)하여 문화(文化)의 발상(發祥)을 뜻한다.
(3) 인목(寅木)은 화(火)의 장생지(長生地)라고 하여 인간(人間) 정신문화(精神文化)가 발생(發生)하는 곳이다.
따라서 인간(人間)의 문화수단(文化手段)인 예의(禮儀), 법도(法度), 윤리(倫理), 도덕(道德), 학문(學問), 교육(敎育)등이 창시(創始)되어 문명(文明)의 주류(主流)를 이루어 왔으며, 인(寅)은 발생국(發生局)이므로 만유사물(萬有事物)의 양적(陽的)인 활동(活動)의 준비(準備)와 개척(開拓), 추진(推進)과 발전(發展)등 건설적(建設的)인 수단(手段)에 속(屬)한다.
월(月)로서는 양이월(陽二月)(2月 6日 ∼ 3月 5日) 시간(時間)으로는 새벽( 3時 ∼ 5時 )까지 이고 절후(節侯)로는 입춘(立春), 양수절(兩水節)에 해당한다.
방향(方向)으로는 동북간(東北間), 간방(艮方)에 해당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범(虎)이고, 구성(九星)으로는 거문성(巨門星)천의(天醫), 소남(少男) 방위(方位)에 해당한다.
축인(丑寅) 간방(艮方)을 귀문방위(鬼門方位)라 하여 종(終)과 시(始)를 의미(意味)한다.
인(寅)은 사(巳)를 형(刑)하고 사(巳)는 신(申)과 합(合)하여 아울러 왕(旺)하면 삼귀객(三貴客)이 되고 왕(旺)은 묘(卯)에서 되고 고(庫)는 미(未)에서 되어 가(家)를 이룬다.
오(午)를 만나 화(火)를 이루면 대길(大吉)하고 신(申)을 만나 충파(沖破)하게 되면 흉(凶)하고 사주(四柱)가 화(火)가 많으면 남방화지(南方火地)에 들면 목분(木焚)하게 되고 정월(正月)의 인목(寅木)은 금(金)으로 다듬지 않아야 한다.
풍(風), 뢰(雷), 전(電), 삼태성(三台星), 목왕지절(木旺之節), 부엌 아궁이, 보일러실, 발전실(發電室), 서재(書在), 도서실(圖書室), 신문방송실(新聞放送室), 계곡(溪谷), 도로(道路), 교량(橋梁), 목제소(木製所), 학교(學校), 학원(學院), 역(驛), 정류장(停留場), 문화관(文化館), 입법부(立法府), 법원(法院), 연료실(燃料室), 산신당(山神堂), 서점(書店), 의상실(衣裳室).
(1) 인체(人體) : 두(頭), 단( ), 안(眼), 권(拳), 근육, 동맥, 무릅, 팔,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2) 인물(人物) : 소남(少男), 두령(頭領), 장자(長子), 관리(官吏), 학자(學者), 입법인(立法人), 발명가(發明家), 언론인(言論人), 문화인(文化人), 교육가(敎育家).
목재(木材), 섬유질(纖維質), 대수(大樹), 전주(電柱), 가로수, 고층건물, 기둥, 화로(火爐), 열기구, 의복(衣服), 서적(書籍), 신문(新聞), 목기(木器), 책상(冊床), 동상(銅像), 안테나, 탑(塔), 연료, 인화물질(引火物質).
범, 사슴, 발이 긴 조류(鳥類), 버섯류, 감자류, 토란, 대수(大樹).
천운을목(天運乙木)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하도(河圖) 좌측(左側)의 외면(外面)에 명시(明示)되어 있는 외음(外陰) 팔(八)의 수의(數意)를 가진다.
을자(乙字)는 초목(草木)이 싹터 올라 지엽(枝葉)으로 갈라지며 자라는 상(象)이다.
이때 넝쿨이 뻗어 오르는 굴신작용(屈伸作用)을 표시한 문자(文字)이다.
갑(甲)과 인(寅)이 다년생목(多年生木) 또는 초목(草木)의 근간(根幹)이라면 을(乙), 묘(卯)는 일년생목(一年生木), 지엽(枝葉)이나 넝쿨에 속(屬)한다.
지엽(枝葉)이 양분(兩分)되는 상(象)은 아침에 대문(大門)을 여는 상(象)을 표시(表示)하여 일가(一家)의 문호(門戶)를 상징(象徵)한다.
또 묘(卯)는 춘분절(春分節)에 해당(該當)하며 낮과 밤의 길이가 똑 같다가 양(陽)이 길어지고 음(陰)이 짧아지는 분기점(分岐點)으로 상호(相互) 이산(離散)의 뜻을 같는다.
또 승부작용(勝負作用)의 기준(基準)으로 사물(事物)을 측량(測量)하는 지표(指標)와 규격(規格)으로도 간주하며 일출지문(日出之門)이라 하여 일출(日出)의 방향(方向)이 된다.
묘자(卯字)를 무자(茂字)로도 상징(象徵)한 것은 초목(草木)이 성장(成長)하며 무성(茂盛)해서 숲을 이루기 때문이다.
묘(卯)는 목(木)에 해당하는 것으로 섬유질(纖維質)에 해당(該當)하며 토(土)와 불가분(不可分)의 유대(紐帶)로서 토목(土木) 건축(建築) 등(等)의 행위(行爲)에 해당한다.
월령(月令)으로는 陽三月(3月 5日∼4月 4日), 시간(時間)으로는 오전(5時 ∼ 7時)까지 이고, 절후(節侯)로는 경칩(驚蟄), 춘분(春分)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동방(東方) 진방(震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토끼이고, 구성(九星)으로는 탐랑성(貪狼星) 생기(生氣), 장남(長男)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묘(卯)는 풍(風), 뢰(雷), 돌풍(突風)의 계절(季節)이고 만물(萬物)이 발전(發展)하고 번성(蕃盛)하고 영화(榮華)하는 중춘(仲春)에 해당(該當)한다.
하루중의 시간(時間)은 세수(洗手)하고 밥 먹는 시간(時間)이 된다.
목강(木强)함으로 금기(金氣)를 두려워 하지 않으나 경신금(庚辛金)이 그듭보이면 신유금(申酉金)을 만나는 것을 기(忌)한다
해자(亥子)가 중래(重來)하면 임계(壬癸)를 꺼리는데 이는 묘목(卯木)이 물위에 뜨기 때문이다.
해묘미(亥卯未) 삼합(三合)되는 것은 좋으나 유충(酉沖) 자형(子刑)은 기(忌)한다.
해묘미(亥卯未) 삼합(三合)되면 추절(秋節) 금왕향(金旺鄕)으로 행(行)하여 조화(造化)를 얻게 된다.
일출지문(日出之門), 장남(長男), 젊은이, 춘(春), 청(靑), 정문(正門) 창문(窓門), 주동(柱棟), 현관(玄關), 서까래, 의가(衣架), 초원(草園), 화원(花園), 농장(農場),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 가로수, 가구점(家具店), 수공예품공장(手工藝品工場), 아동복점(兒童服店), 양복점(洋服店), 제지공장(製紙工場), 종묘원(種苗園), 방직공장(紡織工場), 제사공장(製絲工場), 완구점(玩具店), 건재상(建材商), 과수원(果樹園).
(1) 인체(人體) : 간(肝), 정(頂), 목(目), 모세혈관(毛細血管), 근육(筋肉), 말초신경(末梢神經), 수(手), 족(足), 손가락, 발가락, 정갱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2) 인물(人物) : 유아(幼兒), 장남(長男), 기사(技士), 목공(木工), 수공예기사(手工藝技士), 지휘자(指揮者), 마부(馬夫), 골프인, 당구인, 야바우꾼, 청년(靑年)
목재(木材), 섬유질(纖維質), 신목(新木), 화초(花草), 재목(材木), 초목(草木), 목탄(木炭), 화목(火木), 만초(蔓草), 묘목(苗木), 창문(窓門), 옷장, 상자(箱子), 가구(家具), 책상(冊床), 낚시대, 지류(紙類), 편물(編物), 재봉(裁縫), 공예품(工藝品), 의복(衣服), 포장지(包裝紙), 개충(介蟲), 지휘봉(指揮棒), 피아노, 올갠, 나팔, 레코드, 종(鍾), 세발북.
모든 소조류(小鳥類), 토끼, 병아리, 벌, 방울벌레, 개구리, 분재(盆栽), 식목(植木), 야채(野菜), 해초(海草), 야채류(野菜類), 해초류(海草類), 귤감류, 차(茶), 간장,백일해(百日咳), 천식(喘息), 신경질(神經質), 관절염(關節炎), 신경통(神經痛), 각기병(脚氣病), 타박상(打撲傷).
천운무토(天運戊土)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하고 하도(河圖) 최중심부(最中心部)에 오(五)의 수의(數意)를 가진다.
무(戊)의 오수(五數)는 양토(陽土)로서 만물(萬物)의 무한(無限)한 성장(成長)을 억제(抑制)와 조화(調化), 통일(統一)과 발전(發展), 구심(求心)과 회전운동(廻轉運動)의 영속성(永續性)을 보장(保障)하는 작용(作用)을 담당(擔當)한다.
그래서 고중(固重)이라 만물(萬物)을 사령(司令) 한다고 한다.
진토(辰土)는 수(水)의 창고(倉庫)로서 우주본체(宇宙本體)인 수(水)의 정기(精氣)를 화(火)로 전가(轉加)해주는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한다.
정역(正易)에서 토이생화(土而生火) 토(土)가 화(火)를 생(生)한다고 하여 목기(木氣)를 화(火)로 연소(燃燒)하는 작용(作用)을 진토(辰土)가 하게 되는 것이다.
솟아 오르는 목기(木氣)를 성장(成長)하는 화기(火氣)로 연결(連結)하고 상승(上昇)하는 기세(氣勢)를 일단(一段) 제지(制止)하여 조절(調節)과 조화(調和)로서 발전(發展)하는 형상(形象)을 의미(意味)한다.
진(辰)이 수고(水庫)가 되는 것은 꽃이 필 때 왕성(旺盛)하게 수분(水分)이 요구(要求)되므로 진토(辰土)는 물이 질펀한 흙이 된다.
※ 고서(古書)에 봉룡즉화(逢龍卽化)라고 하여 우주순환운동(宇宙循環運動)이 진위(辰位)에 이르러 변화(變化)를 가져온다.
갑기합화토(甲己合化土)가 무진시(戊辰時)를 얻어 진격(眞格)이 되고, 정임합화목(丁壬合化木)이 갑진시(甲辰時)를 얻어 진화격(眞化格)이 된다는 뜻이 이속에 있다.
또 진(辰)은 공간상(空間上)으로는 적도무풍지대(赤道無風地帶)을 중심(中心)으로 각각(各各) 남극(南極)과 북극(北極)으로 나누어 동남(東南), 북동무역풍대(北東貿易風帶)가 진위(辰位)에 해당(該當)하며 이 지대(地帶)에 이르러 한난(寒暖)의 기류(氣流)가 완충(緩沖)을 이루며 기상(氣象)의 변화(變化)를 일으키는 것이다.
월령(月令)으로는 양사월(陽四月)(4月 5日∼5月 4日) 시간(時間)으로는 七時∼九時이고 절후(節侯)로는 청명(淸明), 곡우(穀雨)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동남(東南)손(巽)방(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용(龍)이 되고 구성(九星)으로는 복음성(伏吟星)보필(輔弼), 장녀(長女)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진(震), 우(雨), 운(雲), 천벌(天罰), 천라지망(天羅地網), 지호(地戶)에 해당(該當)한다.
진(辰)은 봄의 계월(季月)이 되어 수(水)가 질펀하여 만물(萬物)을 배양(培養)한다.
갑(甲)의 쇠지(衰地)가 되고 을(乙)은 여기(餘氣)가 남아 있으며 임(壬)은 묘(墓)가 되나 계(癸)가 있어 환혼(還魂)한다.
술충형(戌沖刑)을 만나 개고(開庫)되는 날에는 수목(水木)이 함께 왕(旺)해진다.
삼술(三戌)이 중충(重沖)하면 파문(破門)이 되어 좋치 않으며 일시(日時)에 수목(水木)을 많이 보고 운(運)이 다시 서북(西北)으로 향(向)하면 진토(辰土)는 생존(生存)할수 없는 것이다.
신자진(申子辰)으로 삼합(三合)하면 수(水)로 변(變)한다. 이때 진토(辰土)를 수기(水氣)로 간주(看做)해야 하는 이유는 진토(辰土)는 수(水)의 고(庫)이면서 토(土)의 고지(庫地)를 겸(兼)하는 까닭에 진토지기(辰土之氣)는 해양(海洋)으로 변(變)한다.
진(辰)은 축(丑)을 만나 파(破)가 되고 묘(卯)를 만나 상해(相害)가 되고 해(亥)를 만나 원진(元嗔)이 된다.
사록(四綠), 풍(風), 연담(淵潭), 신용(信用), 발전(發展), 평판(評判), 통지(通知), 원방(遠方), 정신(精神), 오해(誤解), 지방(地方), 장판, 물탱크, 냉장고, 대륙(大陸), 영토(領土), 해양(海洋), 평원(平原), 전원(田園), 광산(鑛山), 염전(鹽田), 부두(埠頭), 간척지(干拓地), 하도(河圖), 포구(浦口), 수산 해물시장(水産 海物市場), 양어장(養魚場), 회의장(會議場), 법정(法廷), 법원(法院), 교도소(矯導所), 군부대(軍部隊), 사찰(寺刹), 교회(敎會), 여관(旅館), 호탤, 골프장, 운동장(運動場), 지질연구소(地質硏究所), 경찰서보호실(警察署保護室), 보관창고(保管倉庫), 국제연합기구(國際聯合機構), 정당(政黨), 비행장(飛行場), 현관, 도로(道路).
(1) 인체(人體) : 위장(胃腸), 피부(皮膚), 복(腹), 배항(背項), 흉(胸), 비(鼻), 맹장(盲腸), 겨드랑이,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2) 인물(人物) : 장녀(長女), 미용사(美容師), 목수(木手), 재목상(材木商), 우편배달부(郵便配達夫), 중개인(仲介人), 교통부장관(交通部長官), 비행사(飛行士), 연 날리는 사람, 광고업자(廣告業者), 법관(法官), 교도관(矯導官), 죄수(罪囚), 어부(漁夫), 어물상인(魚物商人), 토수(土手), 도배공,
토석(土石), 암석(巖石), 자석(磁石), 사석(沙石), 골재(骨材), 생선(生鮮), 해산물(海産物), 약류(藥類), 평풍, 선풍기(扇風機), 와기(瓦器), 도자기(陶瓷器), 피혁물(皮革物), 어망(漁網), 포장물(包裝物), 덮는 것, 장판, 외피(外皮), 이불, 진공관(眞空管), 비행기(飛行機), 부채.
지렁이, 룡(龍), 장충류(長蟲類), 송(松), 삼(杉), 백합(百合),
천운(天運) 병(丙)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병(丙)의 이글이글 타오르는 열기(熱氣)를 상징(象徵)한다.
하도(河圖) 상단(上端) 내음(內陰) 이(二)의 수의(數意)를 가진다. 지지(地支)에서는 음(陰)으로 역할(役割)을 하나 인원사사(人元司事)의 정기(正氣)는 양(陽)이 된다.
양기(陽氣)가 상승(上昇)하면서 꿈틀거리는 모습은 마치 뱀 종류(種類)가 꿈틀거리며 달리는 형상(形象)과 같아서 사류(蛇類)의 형상(形象)을 문자(文字)로 취(取)한 것이다.
사화(巳火)는 정화(丁火)와 달리 광선(光線)이 아니요, 파동성(波動性)을 띤 실화(實火)에 속(屬)하는 서열(暑熱)이다.
이글이글 타오르는 용광로(鎔鑛爐)의 불이요 광물(鑛物)이나 금속(金屬)을 순식간(瞬息間)에 녹이는 실화(實火)다.
사화(巳火)는 각종(各種) 연료(燃料) 인화물질(引火物質)은 물론(勿論) 폭발성(爆發性)과 독성(毒性)을 지닌 기체(氣體)들로서 석유(石油), 화약(火藥), 화공약품(化工藥品)등에 속(屬)한다.
사화(巳火)의 위치(位置)는 금(金)의 장생지(長生地)로서 화기(火氣)가 왕(旺)한데 반(反)하여 금속공업(金屬工業)의 발상(發祥)과 금속지물(金屬之物)의 제조(製造)를 뜻한다.
사(巳)는 사류(蛇類)나 곤충류(昆蟲類)에 해당(該當)한다. 뱀이 발이 없어도 빨리 달리는 까닭은 화기(火氣)의 염상(炎上)하는 기운(氣運)을 받은 까닭이다.
뱀 종류는 대부분 독성(毒性)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화(火)의 독기(毒氣)인 것이다.
월령(月令)으로는 양오월(陽五月)(5월 5일∼6월 4일), 시간(時間)으로는 오전(午前) 아홉시(九時)∼열한시(十一時)이고 절후(節侯)로는 입하(立夏)·소만(小滿)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동남(東南) 손방(巽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한 동물(動物) 배치(配置)는 뱀이 되고 구성(九星)으로는 복음성(伏吟星)보필(輔弼), 장녀(長女)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태양(太陽), 광선(光線), 실열(實熱), 청명(淸明), 서열(暑熱), 문명시대(文明時代), 지호(地戶), 화왕지절(火旺之節)에 해당(該當)한다.
사(巳)는 초하(初夏)로 육양(六陽)의 극(極)이 되며 경금(庚金)이 장생(長生)하고 무(戊)가 건록(建祿)하니 경(庚)은 무(戊)에 의지(依持)한다.
신(申)을 보면 형(刑), 합(合)이 되니 형중유합(刑中有合)하고 합중유형(合中有刑)하니 합(合)과 형(刑)의 의미(意味)를 함께 살펴야 한다.
해(亥)를 보면 충(沖)이 되니 파(破)하여 상(傷)함이 있다. 화왕(火旺)한데 다시 화왕지(火旺地)로 행(行)하면 소천(燒天)하고 열화(熱火)하는 화(禍)가 있는 것이다.
사유축(巳酉丑) 삼합(三合)하여 금국(金局)을 이룬다.
인(寅)을 만나면 형(刑)이 되니 상생(相生)가운데 형(刑)을 이룬다.
금장생처(金長生處) 주방(廚房) 보일러실(室) 공장지대(工場地帶) 공업도시(工業都市) 제련소(製鍊所) 화학공장(化學工場) 고무 석유공장(石油工場) 주유소(注油所) 화약(火藥) 번화가(繁華街) 극장(劇場) 염색공장(染色工場) 통신전화국(通信電話局) 사진관(寫眞館) 백화점(百貨店) 양품점(洋品店) 미장원(美粧院)
(1) 인체(人體) : 소장(小腸) 면(面) 치(齒) 복(腹) 인후(咽喉) 편도선 삼초(三焦) 심포(心包) 설(舌)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2) 인물(人物) : 장녀(長女) 부녀(婦女) 화부(火夫) 화공(畵工) 용접공(鎔接工) 보일러공(工) 미용사(美容師) 직공(職工)
화로(火爐) 온열기구(溫熱器具) 연료(燃料) 솥, 가마, 화약(火藥) 철물(鐵物) 폭발물(爆發物) 인화물질(引火物質) 석유(石油) 휘발유(揮發油) 폭탄(爆彈) X광선(光線) 방사선(放射線) 미용재료(美鎔材料) 조명기구(照明器具) 전등(電燈) 고무제품(製品) 화공약품(化工藥品) 사진(寫眞) 필름 악기(樂器) 간판(看板) 금은화(金銀貨) 가스류(類) 연탄(煉炭) 활자(活字) 연.
뱀, 장충류(長蟲類) 부추, 마늘, 파, 조류(鳥類)
천운(天運) 정(丁)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태양(太陽)의 광선(光線)과 같은 형상(形象)을 상징(象徵)한다.
오화(午火)는 사화(巳火)의 열기(熱氣)에 비(比)하여 빛의 파장(波長)이라고 한다
하도(河圖) 상단(上端) 외부(外部)에 명시(明示)된 양(陽) 칠(七)의 수의(數意)를 가진다.
오화(午火)는 광선(光線)이자 흔히 사용(使用)하고 있는 X선, 방사선(放射線)이다.
광선(光線)으로 직진(直進)하며 예리(銳利)한 까닭에 어둠을 밝히고 투과(透過)하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미세(微細)한 균(菌)을 죽이는 능력(能力)을 가지고 있다.
오화(午火)가 사화(巳火)와 다른 점(點)은 주(主)로 광명(光明)에 해당(該當)하여 인간(人間)의 정신생활(精神生活)이나 문화(文化)의 온갖 수단(手段)에 속(屬)하는 까닭에 예의(禮儀)와 도덕(道德) 언어(言語)와 문자(文字) 교육(敎育)과 문화(文化)가 오화(午火)에 해당(該當)한다.
병화(丙火)인 실열지화(實熱之火)가 방사(放射)되면 광선(光線)으로 작용(作用)하여 시력(視力)으로 나타난다.
월령(月令)으로는 양육월(陽六月)(6月 6日∼7月 5日), 시간(時間)으로는 오전(午前) 열한시(十一時부터 오후(午後) 一時가 된다.
절후(節侯)로는 망종(亡種) 하지(夏至)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남(南) 이방(離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動物) 배치(配置)는 말 마(馬)가 되고, 구성(九星)으로는 염정성(廉貞星) 오귀(五鬼), 중녀(中女)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태양열(太陽熱) 광명(光明) 청명(淸明) 광채(光彩) 월색(月色) 성광(星光) 열성(列星) 백주(白晝) 정오(正午)에 해당(該當)한다.
오월(午月)은 화기(火氣)가 염염(炎炎)하고 육양(六陽)이 태성(太盛)함과 동시(同時)에 일음(一陰)이 시생(是生)하여 경금(庚金)은 실위(失位)하여 욕지(浴地)가 된다.
기토(己土)의 원(垣)을 이루어 록지(祿地)가 되고 자충(子沖)을 만나면 싸움이 생겨 불리(不利)하고 축(丑)을 만나면 원진(元嗔) 해(害)를 이루어 서로 미워하고 원망(怨望)하게 된다.
인(寅)이나 술(戌)을 만나게 되면 화국(火局)이 되므로 화세(火勢)는 더욱 강(强)하고 문명(文明) 문화(文化) 교육(敎育) 등(等)을 상징(象徵)한다.
동남(東南)으로 행(行)함에 화기(火氣)가 더욱 왕(旺)해지고 서남(西南)으로 행(行)하여서는 화기(火氣)가 상쇠(喪衰)되는 것이다.
하(夏) 중녀(中女) 적(赤) 자(紫) 열(熱) 광명(光明) 이별(離別) 현관, 정면(正面) 도심지(都心地) 번화가(繁華街) 문화관(文化館) 극장(劇場) 예식장(禮式場) 염색공장(染色工場) 언론기관(言論機關) 광고업소(廣告業所) 화장품공장(化粧品工場) 신문사(新聞社) 조명기구공장(照明器具工場) 전기용품공장(電氣用品工場) 안경점(眼鏡店) 사진관(寫眞館) X선(線) 방사선병원(放射線病院) 레이저광선무기, 안과병원(眼科病院) 정신과병원(精神科病院).
(1) 인체(人體): 심장(心臟) 목(目) 설(舌) 정신(精神) 신경(神經) 심포(心包) 시력(視力) 열(熱)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2) 인물(人物) : 문화인(文化人) 도시인(都市人) 언론종사인(言論從事人) 마부(馬夫) 교육자(敎育者) 염직공(染織工) 화가(畵家) 서예인(書藝人) 명예직(名譽職)인 사람, 호색가(好色家) 영화(榮華)스러운 사람. 발광자(發狂者) 방화자(放火者) 디자이너. 인테리어. 포교사(布敎師).
문자(文字) 도서(圖書) 전등(電燈) 조명구(照明具) 간판(看板) 화장품(化粧品) 염료(染料) 도료(塗料) 신문(新聞) 명찰(名札) 국기(國旗) 훈장(訓狀) 화초(花草) 사진(寫眞) 안경(眼鏡) 렌즈, 학용품(學用品) 영화(映畵)필름, 사치품(奢侈品) TV, 컴퓨터, 악세사리, 기록서류(記錄書類) 각서(覺書) 이혼서류(離婚書類) 잡지(雜誌) 설계도(設計圖).
마(馬) 노루, 사슴, 꿩, 갈가마귀, 우비지물(羽飛之物) 공작, 봉황(鳳凰) 칠면조(七面鳥) 금계(金鷄) 작약(芍藥) 모란, 백일홍(百日紅) 공작초, 자운영, 무슨 꽃이든 꽃은 구자(九紫).
천운(天運) 기토(己土)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목(木)의 성장(成長)을 억제(抑制)하고 과실(果實)의 맛을 의미(意味)한다.
하도(河圖) 중궁(中宮) 오토(五土)를 포위(包圍)한 십(十)의 수의(數意)를 가지고 기토(己土)는 만물(萬物)을 조화(調化)하여 성숙(成熟)하게 하는 토(土)로서 불열(不熱) 불냉(不冷)하며 중정축장(中正蓄藏)하여 종시무단(終始無斷), 순환운동(循環運動)의 항구적(恒久的)인 중심기강(中心紀綱)을 유지(維持)해 주는 작용(作用)을 한다.
(1) 미토(未土)는 결실(結實)을 담당(擔當)하는 것으로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미토(未土) 작용(作用)에 의(依)하여 미각(味覺)이 생(生)기고 종핵(種核)이 성숙(成熟)되어 진다.
인간(人間)의 음식물(飮食物)중 당분(糖分) 전분(澱粉) 담백질이 미토(未土)에 해당(該當)하며 따라서 미토(未土)는 음식물(飮食物)에 해당(該當)한다.
(2) 미토(未土)는 사오미(巳午未)를 신유금(申酉金)으로 매개(媒介)하는 토(土)로서 본체(本體)로 환원(還元)하게 하는 작용(作用)을 맡은 토중지토(土中之土)라 한다.
미토(未土)는 토중지토(土中之土)인 까닭에 인간생활(人間生活)의 가장 기본(基本)인 의식주(衣食住) 삼대요소(三大要素)를 전부(全部) 종합(綜合) 함축(含蓄)한 뜻에 해당(該當)한다.
(3) 미자(未字)는 목자상(木字上)에 일자(一字)를 가(加)하여 만들어진 글자이다.
이것은 성장(成長)의 한계(限界)를 뜻하고 수분(水分)이 하강(下降)하여 목기(木氣)의 본질(本質)인 섬유질(纖維質)을 형성(形成)하니 모계(毛系) 포계(布系) 의류(衣類) 또는 건축자재(建築資材) 등(等)이 관계(關係)를 갖는다.
월령(月令)으로는 양칠월(陽七月)(7月 6日 ∼ 8月 5日), 시간(時間)으로는 오후 1時 ∼ 3시時, 절후(節侯)로는 소서(小暑), 대서(大暑)에 해당(該當)한다.
곤방(坤方)은 노모(老母)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담(曇) 운(雲) 습(濕) 천주성(天廚星) 장하(長夏) 미각성숙기(味覺成熟期)에 해당(該當)한다.
미월(未月)은 이음(二陰)이, 심생(深生)하고 양화(陽火)는 차츰 쇠패(衰敗)해 간다.
미중(未中)에 관성(官星), 인성(印星)은 감추어 있으나 재성(財星)은 없다.
축술(丑戌)을 만나면 형충(刑沖)이 되어 고중(庫中) 관인(官印)이 튀어나올 것이요, 해묘(亥卯)를 만나면 삼합(三合)을 이루어 목국(木局)을 형성(形成)한다.
주중(柱中)에 화(火)가 없다면 금수(金水)의 지(地)로 행(行)함을 꺼리고 동절(冬節)에 한냉(寒冷)한 사주(四柱)라면 병정화(丙丁火)를 사랑한다.
자(子)를 만나면 원진(元嗔), 해(害)가 되어 서로 미워하고 원망(怨望)한다.
모(母) 주부(主婦) 노파(老婆) 목지묘고(木之墓庫) 주방(廚房) 정원(庭園) 전원(田園) 전답(田畓) 공동묘지(共同墓地) 삼포 양복점(洋服店) 양품점(洋品店) 정육점(精肉店) 초석(礎石) 용마루, 장독대, 노고(勞苦) 광산(鑛山) 채석장(採石場) 건축장(建築場) 토건회사(土建會社) 식품점(食品店) 예식장(禮式場) 연회장(宴會長) 싸롱, 빠, 방직공장(紡織工場) 수배중, 준비(準備)중, 협의(俠義)중, 사찰(寺刹) 교회(敎會) 제방(堤防).
(1) 인체(人體) : 비(脾) 복(腹) 구(口) 진(唇) 잇몸, 척추(脊椎) 복막(腹膜) 수족(手足)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2) 인물(人物) : 주색지객(酒色之客) 요리사(料理師) 석공(石工) 토수(土手) 재봉사(裁縫師) 부사장(副社長) 부관(副官) 빈곤자(貧困者) 토목기사(土木技士) 도자기상인(陶瓷器商人) 농부(農夫) 민중(民衆) 잡역부(雜役夫).
농토(農土) 석재(石材) 골재(骨材) 건축자재(建築資材) 세멘트, 철근(鐵筋) 석회(石灰) 토기류(土器類) 음식물(飮食物) 과일, 식품류(食品類) 음료수(飮料水) 과자류(果子類) 주류(酒類) 포목직조기(布木織造機) 혼수품(婚需品) 모자, 드레스, 의상(衣裳) 흑색(黑色)인 물건, 무지(無地)인 물건.
양(羊) 산양(山羊) 까마귀, 두견(杜鵑)새, 개미, 태(笞)
천운(天運) 경금(庚金)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물질(物質)의 삼형태중(三形態中) 완전(完全)한 고체(固體)에 해당(該當)한다.
하도(河圖) 우측(右側)에 명시(明示)된 구(九)의 수의(數意)를 가지고 만물(萬物)의 성장(成長)을 억제(抑制)하며 영양분(營養分)을 수축(收縮)하게 하여 결실(結實)을 맺게 하는 작용(作用)이 신금(申金)의 진리(眞理)이다.
신금(申金)은 결실(結實)을 맺게 함으로 강제성(强制性)이나 견경(堅硬)하게 기세(氣勢)를 숙살(肅殺)의 기운(氣運)이라 한다.
금(金)은 살상(殺傷)이나 억압(抑壓)이 따르는 동시(同時)에 정화(淨化)와 정비(淨備)가 이루어진다.
(1) 신금(申金)은 자상(字象)과 같이 상하관통(上下貫通)하거나 투과(透過)하는 기세(氣勢)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이상달(下以上達) 상명하복(上命下服)하는 천지(天地)의 기운(氣運)이 상통하달(上通下達)하는 뜻을 내포(內包)하고 있다.
(2) 신(申)자는 주(主)로 도로(道路)나 운반(運搬) 수단(手段)에 해당(該當)에 속(屬)하며 통신(通信) 교통(交通) 운송(運送)에 해당(該當)한다.
이것은 마치 인체(人體)의 동맥(動脈) 정맥(靜脈)에 속(屬)한다.
(3) 신자(申字)는 신자(神字)와 일맥상통(一脈相通)한다.
일월성신지기(日月星辰之氣)가 하강(下降) 무소불통(無所不通)하는 것을 신(神)의 작용(作用)과 동일시(同一視)하여 숭신(崇神) 신앙(信仰)의 특징(特徵)을 갖고 있다.
(4) 신(申)은 음기(陰氣) 임수(壬水)의 장생지처(長生之處)인 까닭에 수국(水局)을 형성(形成)하면 세장지물(細長之物)인 포목(布木) 모사(毛絲) 섬유질(纖維質) 등(等)을 상징(象徵)한다.
월령(月令)으로는 양팔월(陽八月)[8月 7日 ∼ 9月 6일) 시간(時間)으로는 오후(午後) 3時 ∼ 5時까지 이고, 節侯로는 입추(立秋) 처서(處暑)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서남(西南) 곤방(坤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의 의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원숭이가 되고, 구성(九星)으로는 녹존성(祿存星) 화해(禍害), 노모(老母)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냉기(冷氣) 뢰(雷) 천의(天醫) 천귀(天鬼) 송양(送陽) 영음(迎陰).
신(申)은 팔월(八月) 금기(金氣)가 강건(剛健)하여 임(壬)과 무(戊)가 장생(長生)한다.
사오(巳午) 화로(火爐)에 강금(剛金)이 검전(劍戰)을 이루고 자진(子辰)을 보면 수(水)를 이루어 더욱 빛나는 칼을 얻을 것이다.
목(木)만 많고 화(火)가 없으면 승극(勝剋)하게 되니 기이(奇異)할수 없고 토기(土氣)가 지나치게 많으면 금기(金氣)가 매몰(埋沒)된다.
인(寅)을 만나면 충(沖)이 되어 전국(戰局)을 이루고 사(巳)를 만나면 합형(合刑)이 이룩되고 해(亥)를 만나면 해(害)가 되어 서로 해치게 되고 묘(卯)를 만나면 을경(乙庚) 암합(暗合)됨과 동시(同時)에 원진(元嗔)을 이룬다.
모(母) 주부(主婦) 전화(電話) 통신(通信) 수도(水道) 차고(車庫) 도로(道路) 철도(鐵道) 행로(行路) 철교(鐵橋) 여행사(旅行社) 역(驛) 정류장(停留場) 관광회사(觀光會社) 주차장(駐車場) 견직공장(絹織工場) 은행(銀行) 조선소(造船所) 조폐공사(造幣公社) 차륜공장(車輪工場) 해로(海路) 수로(水路) 항로(航路) 행군부대(行軍部隊) 야전사령부(野戰司令部) 항공사(航空社) 하천(河川) 승강기(昇降機) 세차장(洗車場).
(1) 인체(人體) : 대장(大腸) 폐(肺) 근골(筋骨) 경로(經路) 음성(音聲) 정맥(靜脈)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피부병(皮膚病)
(2) 인물(人物) : 군인(軍人) 운전기사(運轉技士) 항공인(抗空人) 통신사(通信士) 기능인(技能人) 철도인(鐵道人) 행인(行人) 노모(老母) 노파(老婆) 부사장(副社長) 부관(副官) 차석(次席).
차량(車輛) 승용물(乘用物) 지폐(紙幣) 재화(財貨) 무기(武器) 금은(金銀) 주화(鑄貨) 비행기(飛行機) 견사류(絹絲類) 수도관(水道管) 전선(電線) 신청서(申請書) 도인(刀刃) 절단기(切斷機) 중기(重機) 농기구(農器具) 정화조(淨化槽).
원숭이, 피부병(皮膚病) 여드름, 주근깨
신금(辛金)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가을에 오곡백과(五穀百果)가 결실(結實)을 맺는 형상(形象)이 달이나 구슬처럼 둥글둥글하게 되는 것이 유자(酉字)를 상징(象徵)한다.
하도(河圖) 우측(右側) 내부(內部) 서방(西方)에 사(四)의 수의(數意)를 가지고 가을에 결실(結實)한 곡식(穀食)이 매웁다는 말을 신자(辛字)로 표시(表示)하고 새로운 곡식(穀食)을 수확(收穫)한다는 신자(新字)가 신(辛)의 뜻을 내포(內包)하고 있다.
(1) 유금(酉金)은 가을에 결실(結實)된 열매가 둥글둥글한 것을 상징(象徵)한다.
따라서 달이나 구원형(球圓形)을 이룬 물상(物象)이 전부(全部) 여기에 속(屬)하며 달과 같이 빛을 반사(反射)하는 거울도 유금(酉金)에 속(屬)한다.
(2) 유금(酉金)은 추수감사제(秋收感謝祭)를 드릴 때 사용(使用)하는 유기(酉器)나 식기(食器)를 상징(象徵)한다.
(3) 유금(酉金)은 금기(金氣)를 말하기 때문에 금속성(金屬性) 기구(器具)가 유금(酉金)에 해당(該當)하며 창, 칼, 무기(武器) 및 귀금속(貴金屬) 장신구(裝身具) 패물(貝物) 보석류(寶石類) 등(等)도 유금(酉金)에 속(屬)한다.
또 균(菌)을 번식(繁殖) 배양작용(培養作用)을 하는 효소물질(酵素物質)인 고추장, 된장, 술이 이에 해당(該當)하며 신경(神經)을 억압(抑壓)하는데 이용(利用)하는 마취제(痲醉劑) 침구(鍼灸) 의약품(醫藥品)도 해당(該當)한다.
월령(月令)으로는 양구월(陽九月)9月 7日 ∼ 10月 6日, 시간(時間)으로는 오후(午後) 5時 ∼ 7時까지이고 절후(節侯)로는 백로(白露) 추분(秋分)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유(酉) 태방(兌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動物) 배치(配置)는 닭이 되고, 구성(九星)으로는 파군성(破軍星) 절명(絶命)에 해당(該當)한다.
소녀방(少女方)에 해당(該當)한다.
냉(冷) 량(凉) 한(寒) 상(霜) 우박(雨雹) 천문성(天文星) 금왕지처(金旺之處) 신월(新月) 변경(變更)하기 쉬운 일기(日氣).
유월(酉月)은 금기(金氣)가 극강(極剛)한 때이니 수기(水氣)가 유기(有氣)하다면 금백수청(金白水淸)의 청귀격(淸貴格)이 된다.
화다(火多)하면 동남운(東南運)을 기(忌)하고 목왕(木旺)하면 남방운(南方運)을 기(忌)하니 주중(柱中)에 수(水)와 습토(濕土)가 있다면 이를 취용(取用)하여 서북운(西北運)에 발귀(發貴)한다.
사(巳) 축(丑)과 삼합(三合)하였다면 예리(銳利)하고 건강(健康)할 것이니 화(火)로서 제련(製鍊)하여 길(吉)하게 된다.
을목(乙木)이 사유축(巳酉丑)을 만나면 살(殺)이 태중(太重)하여 한평생(限平生)동안 박명(薄命)이다.
묘(卯)를 만나면 충(沖)되고 거듭 유(酉)를 만나면 자형(自刑)이라 하고 술(戌)을 만나면 해(害)가 되고 인(寅)을 만나면 원진(元嗔)이 된다.
소녀(少女) 칠적(七赤) 금(金) 월출지문(月出之門) 후문(後門) 창문(窓門) 화장실(化粧室) 보석상(寶石商) 보석(寶石)상자, 찬장(饌欌) 은행(銀行) 금은시계(金銀時計) 총기상(銃器商) 군인부대(軍人部隊) 금전(金錢) 주식(酒食) 이발기구(理髮器具) 양조장(釀造場) 침구원(鍼灸院) 당구장, 기원(棋院) 세균검사소(細菌檢査所) 균배양소(菌培養所) 산부인과(産婦人科).
(1) 인체(人體) : 폐(肺) 비(鼻) 음성(音聲) 혈관(血管) 피모(皮毛) 구(口) 월경(月經) 정혈(精血)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2) 인물(人物) : 소녀(少女) 가수(歌手) 접대부(接待婦) 호스테스, 요리(料理)집, 식모(食母) 비처녀(非處女) 군인(軍人) 은행원(銀行員) 마취사(痲醉師) 침구사(鍼灸師) 금은세공기사(金銀細工技士)
금은보석(金銀寶石) 도인지물(刀刃之物) 자침지류(刺針之類) 마취약(痲醉藥) 금속기계류(金屬機械類) 정밀금속(靜謐金屬) 현금(現金) 귀금속(貴金屬) 창문(窓門) 화폐(貨幣) 세금(細金) 생강(生薑) 마늘, 고추, 후추, 간장, 된장, 주류(酒類) 유류(油類) 비행기(飛行機).
닭, 꿩, 독수리, 조류(鳥類) 도라지, 패랭이꽃, 수박, 생강(生薑) 마늘, 파, 고추.
무토(戊土)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무한(無限)한 상승(上昇)과 무한(無限)한 하강(下降)을 강제적(强制的)으로 억제(抑制)하여 중심초점(中心焦點)으로 구심력(球心力)을 집중(集中)하므로 구심체(球心體)의 항구성(恒久性)을 보장(保障)한다.
하도(河圖) 중앙(中央) 오(五)의 수의(數意)를 가지며 신유금(申酉金)과 해자수(亥子水)의 거중(居中) 조화역활(調和役割)을 담당(擔當)하고 있다.
술토(戌土)는 암장천운(暗藏天運)인 정화(丁火)가 무토(戊土)를 상생(相生)하며 무토(戊土)는 신금(辛金)을 생(生)하고 신금(辛金)은 무중(戊中)·점(點)인 임수(壬水)를 생(生) 함으로 우주순환(宇宙循環)의 영원성(永遠性)이 보장되는데 이를 정역(正易)에서 토극이생수(土剋而生水)라고 한다.
(1) 술자(戌字)가 무토(戊土)안에 점(點)을 찍은 것으로 이는 화로(火爐)에 묻어둔 불씨와 같다.
무한(無限)히 분산(分散)한 양기(陽氣)를 모아서 통일(統一)과 조절(調節) 수장(收藏)과 보호(保護)로서 양(陽)의 종핵(種核)을 보존(保存)함으로 양기(陽氣)를 계승(繼承)해 주는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한다는 진리(眞理)의 뜻이 있다.
(2) 술토(戌土)는 보온(保溫)을 위(爲)한 진공(眞空) 역할(役割)을 한다.
우리들 생활(生活) 주변(周邊)에 이 같은 이용(利用) 사례(事例)는
첮째, 화로(火爐)에 재를 담아 불씨를 보관(保管)하는 방법(方法)
둘째, 보온(保溫)밥통, 마호병 등 진공장치(眞空裝置)를 이용(利用)하는 사례(事例)
셋째, 지구(地球) 대기권(大氣圈)의 외곽(外廓)을 둘러 싸고 있는 오존층, 전리층(電離層) 오로라층이 있어 태양(太陽)의 고열(高熱)이나 광선(光線) 우주(宇宙) 파장(波長) 등(等)을 방어(防禦) 조절(調節)하는 작용(作用)이 술토(戌土)에 해당(該當)한다.
(3) 술토(戌土)는 화(火)의 정기(正氣)를 저장(貯藏)해둔 창고(倉庫)다.
화(火)는 인간(人間)의 정신(精神) 기억처(記憶處)인 고로 두뇌(頭腦)에 해당(該當)한다.
학문(學文) 교육(敎育) 예술(藝術) 문화(文化)의 전당(殿堂)인 학원(學院) 극장(劇場) 도서관(圖書館) 등(等)이 여기에 해당(該當)된다.
월령(月令)으로는 양십월(陽十月)(10月 6日 ∼ 11月 5日) 시간(時間)으로는 오후(午後)( 7時 ∼ 9時 )까지 이고 절후(節侯)로는 한로(寒露) 상강(霜降)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서북(西北) 건방(乾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依)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개(狗)가되고 구성(九星)으로는 무곡성(武曲星) 연년(延年), 노부(老父)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담(曇) 운(雲) 하괴성(河魁星) 천라지망(天羅地網) 천문(天門) 화(火)의 묘고(墓庫) 암야(暗夜)에 해당(該當)한다.
술(戌)은 하괴(河魁)니 성품(性品)이 최강(最强)하고 만물(萬物)이 이때에 수장(收藏)되며 큰 화로(火爐)불이 술중(戌中)에 감추어져 있다.
진룡(辰龍)이 충(沖)하여 옴에 량로(兩露)가 생(生)하고 인오(寅午)가 합(合)하면 문장(文章)이 뛰어나 귀인(貴人)이 된다.
유(酉)를 만나면 해(害)를 이루고 축미(丑未)를 만나면 개고(開庫)는 되나 형(刑)을 형성(形成)하고 묘(卯)를 만나 도화(桃花) 도화지합(桃花之合)을 이루고 사(巳)를 만나 원진(元嗔)이 된다.
고산준령(高山峻嶺) 노부(老父) 천(天) 태양(太陽) 충실(充實) 고급품(高級品) 산악(山岳) 기암(奇巖) 절벽(絶壁) 고분묘(古墳墓) 고적지(古蹟地) 동굴(洞窟) 관광지(觀光地) 채석장(採石場) 담장, 성곽(城郭) 전택(田宅) 사찰(寺刹) 교회(敎會) 학교(學校) 학원(學院) 도서관(圖書館) 국회(國會) 법원(法院) 경찰서(警察署) 형무소(刑務所) 정보부(情報部) 감사원(監査院) 계엄사령부(戒嚴司令部) 사법부(司法府) 극장(劇場) 여관(旅館) 금은보석상(金銀寶石商), 암실(暗室) 예술단체(藝術團體) 통계담당소(統計擔當所).
(1) 인체(人體) : 위(胃) 명문(命門) 협(脅) 두뇌(頭腦) 퇴(腿) 흉(胸) 대변(大便) 항문(肛門)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2) 인물(人物) : 노복(奴僕) 기사(技士) 도공(陶工) 공예인(工藝人) 수위(守衛) 경찰관(警察官) 교도관(矯導官) 법관(法官) 계리사(計理士) 변호사(辯護士) 예술인(藝術人) 교원(敎員) 정보부(情報部) 죄수(罪囚) 성인(聖人) 귀인(貴人) 사장(社長) 두목, 주인(主人) 자본가(資本家) 지도자(指導者).
도자기(陶瓷器) 화로(火爐) 보온기(保溫器) 각종계기(各種計器) 전자계산기(電子計算器) 골동품(骨董品) 수판(數板) 컴퓨터, 서적(書籍) 표구(表具) 진공관(眞空管) 마호병, 침구용품(寢具用品)
구(狗) 랑(狼) 표범, 대사(大蛇) 곰, 약초(藥草) 석류(石榴) 신목(神木) 과수(果樹) 발열(發熱) 천연두(天然痘) 혈압작용(血壓作用) 두통(頭痛) 늑골(肋骨).
계수(癸水)의 진리(眞理)와 정신(精神)을 계승(繼承)한 문자(文字)로 육음(六陰)에 해당(該當)하고 지지(地支)에서 끝자가 되며 극음(極陰)으로 물이 얼었을 때 육각(六角)의 형상(形象)을 나타낸 문자(文字)이다
하도(河圖) 최남단(最南端)에 위치(位置)한 육(六)의 수의(數意)를 가지며 계수(癸水)는 음중음(陰中陰)으로 응고(凝固) 결빙(結氷) 한냉(寒冷)하며 내성(內性)이 음정(陰靜)하여 종세종화(從勢從化)하는 것을 특징(特徵)으로 한다.
(1) 해수(亥水)는 나무의 장생처(長生處)요 화(火)의 절지(絶地)로 절처봉생(絶處逢生)하는 곳이 된다.
(2) 지구표면(地球表面)의 70%가 해수(亥水)로 태양(太陽)은 양본(陽本)이고 지구(地球)는 음본(陰本)임을 나타낸다.
지구(地球)의 살고 있는 인체(人體)의 70%가 수분(水分)으로 이루어져 있음은 곧 천도(天道)의 원리(原理)를 나타낸다.
(3) 혈액(血液)의 순환(循環) 자체(自體)가 해수(亥水)의 작용(作用)인 것으로 고혈압(高血壓) 중풍(中風) 당뇨병(糖尿病) 등의 질병(疾病)이 해수(亥水)의 충격(衝擊)에서 온다.
(4) 해수(亥水)는 고체(固體)인 유금(酉金)을 만나면 음료수(飮料水) 주류(酒類) 장류(藏類)등으로 변(變)한다.
이 밖에 토(土)를 만나면 저수지(貯水池) 호수(湖水) 해수욕장(海水浴場) 등(等)으로 변(變)한다.
해수(亥水)는 바닷물이 증발(蒸發)하여 상승(上昇)하면 담수(淡水)인 임수(壬水)로 변(變)한다.
월령(月令)으로는 양십일월(陽十一月)(11月 7日 ∼ 12月 6日) 시간(時間)으로는 오후(午後)9時 ∼ 11時이고, 節侯로는 입동(立冬) 소설(小雪)에 해당(該當)한다.
방향(方向)으로는 서북(西北) 건방(乾方)에 해당(該當)하고, 십이지(十二支)에 의(衣)한 동물배치(動物配置)는 돼지가 되고, 구성(九星)으로는 무곡성(武曲星) 연년(延年), 부(父)의 방위(方位)에 해당(該當)한다.
한(寒) 우(雨) 냉(冷) 설(雪) 빙(氷) 천문(天門) 목지장생(木之長生)의 곳에 해당(該當)한다.
육백(六白) 방위(方位)는 청천(晴天)으로 여행(旅行)할 때 날씨가 맑다고 한다.
해월(亥月)은 육음(六陰)이 극성(極盛)한 때로 천문(天門)이 열리는 등명(登明)의 위(位)도 되고 수원(水源)이 깊어 우설(雨雪)이 생(生)하고 한냉(寒冷)한 기후(氣候)를 조성(造成)하는 때이다.
화광(火光)을 즐겨하고 토(土)를 취용(取用)하는바 금다(金多)함을 기(忌)하고 수기일색(水氣一色)이면 윤하귀격(潤下貴格)이 된다.
묘미(卯未)를 만나면 목(木)으로 돌아가고 인(寅)을 만나도 그 본성(本性)을 버리고 목(木)으로 변(變)한다.
사(巳)를 만나 충(沖)을 이루고 해(亥)을 거듭만나 자형(自刑)을 이루고 신(申)을 만나 해(害)가 되며 진(辰)을 만나 원진(元嗔)이 된다.
천(天) 부(父) 백(白) 태양(太陽) 고급품(高級品) 서북(西北) 내실(內室) 변소(便所) 하수구(下水構) 수도(水道) 욕장(浴場) 세면장(洗面場) 취사장(炊事場) 지하실(地下室) 암실(暗室) 장독대, 해양(海洋) 강하(江河) 해수욕장(海水浴場) 수력발전소(水力發電所) 수원지(水源池)
등대(燈臺) 목욕탕(沐浴湯) 산부인과(産婦人科) 양조장(釀造場) 소아과병원(小兒科病院) 제지공장(製紙工場) 수도국(水道局) 소방서(消防署) 사창가(私娼街) 각종(各種) 섬유공장(纖維工場)
(1) 인체(人體) : 고환(睾丸) 생식기(生殖器) 월경(月經) 혈액(血液) 대소변(大小便) 자궁(子宮) 장단지, 두면(頭面) 흑점(黑點) 족태음방광경(足太陰膀胱經)
(2) 인물(人物) : 아버지, 성인(聖人) 현인(賢人) 사장(社長) 아이 임부(姙婦) 어부(漁夫) 선장(船長) 직조공인(織造工人) 산부인과의사(産婦人科醫師)
해수(海水) 음료수(飮料水) 염류(鹽類) 주류(酒類) 생선(生鮮) 해초류(海草類) 어류(魚類) 패류(貝類) 포목(布木) 카텐, 지류(紙類) 섬유류(纖維類) 필묵(筆墨) 유류(油類) 완구(玩具) 세탁기(洗濯機) 비누, 주(舟) 군함(軍艦) 기차(汽車) 전차(電車)
돼지, 대사(大蛇) 고래, 곰, 신목(神木) 석류(石榴)
地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餘 氣 |
壬 10 |
癸 9 |
戊 7 |
甲 10 |
乙 9 |
戊 7 |
丙 10 |
丁 9 |
戊 7 |
庚 10 |
辛 9 |
戊 7 |
中 氣 |
辛 3 |
丙 7 |
癸 3 |
庚 7 |
己 10 |
乙 3 |
壬 7 |
丁 3 |
甲 7 |
|||
正 氣 |
癸 20 |
己 18 |
甲 16 |
乙 20 |
戊 18 |
丙 16 |
丁 20 |
己 18 |
庚 16 |
辛 20 |
戊 18 |
壬 16 |
인원사사(人元司事)란 천(天), 지(地), 인(人) 삼재지도(三才之道)에 입각(立脚)하여 인간생활(人間生活)과 가장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맺고있는 십이지중(十二支中)에 소장(所藏)되어 있는 천간(天干) 기운(氣運)을 말한다.
인원(人元)이란 말은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存在)하는 인간(人間)을 인원(人元)이라고 한다.
지지(地支)에 있는 인원(人元)의 소장(所藏)을 분석(分析)해 보면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즉(卽) 본기(本氣)류(類)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1) 여기(餘氣)란 전월(前月)의 정기(正氣)가 이월(移越)된 것을 말한다.
(2) 중기(中氣)란 사맹(四孟) 인신사해(寅申巳亥)에서 장생(長生)하는 장생지기(長生之氣)와 사계(四季) 진술축미(辰戌丑未)에서 수장(收藏)된 묘고지기(墓庫之氣)을 말한다.
(3) 정기(正氣)란 지지(地支)의 가장 사령(司令)되는 왕성(旺盛)한 기운(氣運)을 말한다.
지지중(地支中)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에 표시(表示)한 수자(數字)는 한달이 정확(正確)하게는 29일 12시간(時間) 정도이나 30일을 가정(假定)하여 배정(配定)한 일수(日數)가 되는 것이다.
자월(子月)을 예(例)하여 입절일(立節日)은 대설일(大雪日)이 되기 때문에 대설후(大雪後)10일까지는 전달 해월(亥月)의 정기(正氣)인 임수(壬水)가 이월(移越)되어 자월의 여기(餘氣)가 자월(子月)을 사령(司令)을 대표(代表)한다는 뜻이며, 대설후(大雪後) 11일부터 소한(小寒)까지는 정기(正氣)인 계(癸)가 자월(子月)을 사령 대표(代表)한다는 뜻이 된다.
(1) 자오묘유(子午卯酉) 사왕월(四旺月)은 오(午)를 제외(除外)하고 여기(餘氣) 정기(正氣)로 구성(構成)되며 여기(餘氣)가 10일 정기(正氣)가 20일을 사령(司令)한다.
(2) 인신사해(寅申巳亥) 사생월(四生月)은 여기(餘氣)는 공통적(共通的)으로 무(戊)가 7일간 사령(司令)하고 각월(各月) 삼합궁(三合宮)의 화기(化氣)가 중기(中氣)로서 7일간(日間) 사령(司令)한다.
정기(正氣)가 각월(各月)의 후 16일을 사령(司令)한다.
(3) 진술축미(辰戌丑未)는 전월(前月)의 여기(餘氣)가 9일간(日間) 사령(司令)하고 중기(中氣)는 각(各) 3일간(日間) 사령(司令)하고 정기(正氣)는 진술(辰戌)은 무토, 축미(丑未)는 기토(己土)가 각월(各月)의 18일을 사령(司令)한다.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일수(日數) 배정(配定)은 각 학자(學者)에 따라 상이(相異)하나 이는 계산방법(計算方法)의 차이(差異)에서 오는 것으로 위와 같이 이해(理解)하면 학문체계(學文體系) 이론(理論) 구성상(構成上) 이해(理解)하기 용이(容易)한 것이다.
작성 / 海松 조성호 / 2015-03-17일 수정 /오전 12:00 2020-04-22 海松 趙盛浩 수정
첫댓글 해송 조성호 입니다.
해송 동양철학 연구원을 방문하여 주셔서 감사드리오며 명학을 학습하고 토론하고 연구하는 모든 분들의 발전과 성취 그리고 번영하시길 기원합니다.
서의 차례 부분에 책갈피 링크를 적용하였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람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