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주제는 발전과 리더십에 관한것입니다.
두가지 모두 중요한 주제인데 이렇게 하루에 몰아서 하게 되었군요..
* 경제 발전에 관한것
우리나라 정부는 경제 발전이라는 말로 모든것을 정당화 시켰습니다.
자유와 평등, 분배 등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고 심지어 인권지수가 아주 낮은 나라로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좋다는것이 아닙니다. 저는 그런 계급에 기반한 감시사회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경제 발전이 진짜 우리에게 좋은것만 주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가져온 폐해를 살펴보지 않는다면
우리나라가 노인 청소년 여성 자살률 1위 국가라는 그 비참한 현실을 해결하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
발전과 여성이라는 키워드로 책과 에세이를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이것이 어떻게 여성에게 좋은 기회를 주었는지를 알수 있고, 여성을 어떻게 배제했고, 착취했으며( 경제 발전 뒤에 기생관광...낮은 임금의 여공들).. 등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왜 유독 발전에서 여성이 배제되었는지를 한번 눈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발전이 우리에게 주는 좋은점.. 오히려 이것은 우리 사회에 너무나 많이 퍼져 있는 통념입니다.
발전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뻔한 이야기를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초고속 발전 국가는 유래가 없다고 합니다. 그것의 최근 동향과 거기에서의 여성 동향은 어떻게 나타낼수 있는지 보세요.
*리더십
전통적인 리더십과 대안적인 리더십..
전통적인 리더십을 나열해 보세요. 그리고 이것은 사람들의 통념속에서의 리더의 모습입니다.
후기 산업시대에 전통적인 리더십이 가능한가요? 그것이 여전히 있다면 어느 공간에 있나요? 그것이 필요한가오?
대안적인 리더십/ 여성주의적인 리더십/ servant 리더십 / 감성 리더십 / self 리더십 / leaderless leadership .. 각각의 리더십이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그것들의 장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리더십을 대표로 할수 있는 인물은 누구인지 생각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