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밀양시에서 설정한 영역
상기 설정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 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의 영역은 억산은 딱밭재에서 인재까지이고 운문산은 아랫재에서 딱밭재까지 이다.
○문제점: 운문산과 억산의 영역설정에 문제점이 있다.
운문산의 영역이 너무 과소하다고 해서 문제를 제기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운문산은 운문면이라는 지명을 나았고, 운문사라는 사찰의 명칭을 만들었다. 특히 운문사는 운문산 북쪽 아래에 위치하며, 운문산을 배경으로 하여 운문산 북사면 아래에 위치하는 거찰이고 고찰이다. 운문사의 명칭 유래는 운문산으로부터 왔다라고 되어 있다. 때문에 운문사와 운문산은 뗄래야 뗄수 없는 관계, 또한 운문산은 일명 호거산이라고도 불리는데 호거산은 삼국 유사 보양이목조에 의하면 운문사 동북쪽 의 산세가
험준하여 호랑이가 걸터앉은 형상이라 하여 호거산이라 하였다라고 전하는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그래서 호거산에는 호거대라는 바위가 있다라고 되어 있다. 그렇다면 호거대는 어디에 있을까?
운문산에서 억산방향으로 이어진 마루금이 운문지맥인데 이 운문지맥에는 범봉이라는 봉이 있다. 범봉 정상에서 조금더 진행하면 900봉인 범봉 부속 봉이 있고, 이 900봉에서 북서방향으로 또다른 긴 능선이 있는데 이능선을 우리는 범봉 북릉이라고 한다. 이 범봉 북릉을 따라서가면 대비골과 운문면을 넘나드는 고개가 있는데 이곳이 명태재이다. 이 명태재를 지나서 높게 솟아 오른 곳이 호거대인데, 이 호거대는 운문사의 수호격인 바위이기도 하다. 호거대에 오르면 운문사가 한눈데 들어오는데, 그 경관이
시원하리많큼 아름답다.
때문에 호거대가 있는 곳은 운문산이다라고 할 수 있는데, 호거대는 범봉 북릉에서 이어진 곳에 위치하므로 범봉 북릉은 운문산의 영역이다라고 보는 것은 어떨까?
그런데 상기 지도를 보면 범봉은 운문산의 영역이 아니고 억산의 영역으로 되어있다. 이는 밀양시에서 범봉을 억산의 주봉이라고 지칭하는데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을 것 같다. 억산은 산악인들로 부터도 범봉이 아니고 깨진 바위가 있는 곳이 억산의 주봉이라고 보고 있지만, 밀양시에서는 이를 참작하지 않고 무시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예로부터 전하는 여러설과 21세기의 첨단 과학의 영향을 빌어서 범봉을 확인한 결과로는 밀양시의 주장이 타당성이 결여 되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즉 상기 그림에서 보듯이 위성으로 조망한[구글] 이 지역의 형태를 보았을 때 범봉은 분명히 운문산의 영역으로 되어야 합당하다고 느껴 진다.
○개선점:그렇다면 범봉은 어느 산으로 넣어야 합당 할까? 아래의 그림을 보면서 그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호거산 운문사(虎踞山 雲門寺)>는 신라 진흥왕 때(506)에 한 신승이 3년 동안 수도를 한 후 도를 깨닫고 7년 동안 도우(道友)와 함께
동서남북중앙에 각각 가슬갑사와 대비갑사, 천문갑사, 소보갑사, 대작갑사를 지어 "오갑사"라 하였다. 현재는 대작갑사인 운문사와
대비갑사인 대비사만 남아있다.
대작갑사는 고려 태조 왕건의 개국에 도움을 준 보양의 공에 의해 '운문선사'라는 사액을 내린 후
<운문사>가 되었다하며, 추항과 귀산에게 세속오계를 내려준 원광국사와 보양, 원응국사, 설송대사, 운악대사 등이
중창과 보수를 하여 지금껏 이어오며, 지금은 비구니승의 승가대학원이 되어 있다. 또한 이곳 운문사는 1105년 고려 충열왕 때
일연선사가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으로 유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