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팜스테이마을 ↝ 신정호 ↝ 선장포노을공원 ↝ 학성산+신창학성 ↝ 아산 세심사
↝ 피나클랜드 수목원 ↝ 테크노호수 ↝ 현충사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태학사+법왕사
↜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유의사항
본 콘텐츠는 2025년 0월 기준으로 작성된 정보입니다.
2025년 0월 이후 변경된 사항은 문서에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충남 아산시 ↝
◀ 2025년 0월 0일(1일차)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외암 팜스테이마을 ↝ 신정호 ↝ 학성산+신창학성 ↝ 선장포노을공원 ↝
~~~~~~~~~~~~~~~~~~~
◀ 2025년 0월 0일(2일차)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학성산 신창학성↝아산 세심사↝피나클랜드 수목원↝테크노호수↝현충사↝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태학사+법왕사 ↝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안내도와 아산시 관광 개요 내용을 보실수 있읍니다.
▼
~~~~~~~~~~~~~~~~~~~~~~~~~~~~~~~~~~~~~~~~~~~~~~
◀ 2025년 4월 4일(1일차)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4월 4일(금) 대전 출발 ↝ 외암 팜스테이마을 주차장 ↝ 신정호 주차장 ↝ 아산 세심사 주차장
↝ 선장포노을공원 주차장 ↝ 아산 호텔 스테이토랑
거리; 124.0km, 시간; 3시간, 통행료; 약 3,100원, 주유비; 약 18,830원
~~~~~~~~~~~~~~~~~~~~~~~~~~~~~~~~~~~~~~~~~~~~~~
↜ 1일 경로주소 ↝
외암 팜스테이마을 주차장; 충남 아산시 송악면 역촌리 65-8 ↝ 신정호 주차장; 충남 아산시 방축동 467-20 ↝ 아산 세심사 주차장; 충남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21 ↝ 선장포노을공원 주차장; 충남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 429-34 + 친구집; 충남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 66-33 ↝ 아산 호텔 스테이토랑 신정호점; 충남 아산시 신정호길 36
~~~~~~~~~~~~~~~~~~~~~~~~~~~~~~~~~~~~~~~~~~~~~~
↜ 충청남도 아산시 ↝
◀ 2025년 0월 0일(1일차)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외암 팜스테이마을 ↝ 신정호 ↝ 학성산+신창학성 ↝ 선장포노을공원 ↝
2025년 4월 4일(1일)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 외암 팜스테이마을 ↝
국가민속문화재 제236호로 지정된 아산외암마을은 아산시내에서 남쪽으로 약8km 떨어진 #설화산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의 외암마을은 조선 선조때부터 예안이씨가 정착하면서 예안이씨 집성촌이 되었고 그 후 예안이씨 후손들이 번창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하면서 양반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성리학의 대학자인 외암(巍巖) 이간(李柬) 선생이 마을에 살면서 더욱 널리 알려졌으며 마을이름도 이간선생의 호인 외암 에서 따온 것으로 전하여진다. 60여호 남짓 되는 이 마을은 직접 이곳에서 살고 있는 마을 주민들과 만나게 된다는 점이 박물관에서 옛 흔적을 보는 것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 마을 입구의 장승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디딜방아, 연자방아, 물레방아, 초가지붕 등이 보존되어 있다. 팜스테이가 가능하고, 취화선, 태극기 휘날리며 등의 영화가 이곳을 배경으로 촬영되었다.
주차비; 무료, 입장료; 어른 2천원 어린이 1천원, 청소년,군인 1천원(단체 30인 이상 20% 할인 경로자, 지역주민 무료)
~~~~~~~~~~~~~~~~~~~~~~~~~~~~~~~~~~~~
↜ 신정호 ↝
아산 신정호수는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만든 담수면적 92ha ( 27만 평)의 인공 저수지로 아산시 방축동에 있다. 이곳은 1984년에 국민관광단지로 바뀌었고 호수 주변에는 야외음악당, 잔디광장, 음악분수공원,,조각공원이 조성되어있으며 .자전거 라이딩과 트래킹으로 유명한 곳이다.
거리; 약 5km, 시간; 약 2시간
~~~~~~~~~~~~~~~~~~~~~~~~~~~~~~~~~~~~
↜ 세심사(洗心寺) ↝
세심사는 아산시 북부에 솟은 영인산 서쪽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중산골 계곡을 따라 이어진 임도로 이어져 있다. 이 사찰은 깊은 골짜기에 자연을 벗 삼아 자리한 절이지만 제법 규모가 있다. 백제시대인 645년에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확실치 않다. 그러나 고려 시대에 세워진 다층탑의 존재를 통해 늦어도 고려 시대에는 이 사찰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원래는 신심사라 부르다가 1968년에 세심사라고 개명하였다. 건물은 대웅전, 영산전, 산령당, 요사, 범종각이 있다. 경내에 보존된 문화재로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세심사 다층탑 외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신중도, 보물로 지정된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부모은중경 목판은 현존하는 부모은중경 언해본 목판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그 가치가 높다.
↜ 아산 세심사 신중도(牙山 洗心寺 神衆圖)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세심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신중도.
세심사 신중도 형식의 이른 예는 1781년 청암사 신중도에서 볼 수 있다. 즉 6곡병풍을 화면 배경으로 표현한 점, 제석천 양옆에 일·월천자의 배치, 위태천의 투구 표현 등이 매우 유사하다. 이 신중도를 그린 승초(勝初)는 세심사 신중도를 그리고 5년 뒤인 1799년에 마곡사 암자에 봉안할 신중도를 제작하였는데, 제석의 권속으로 주악천녀를 생략하고 보살형의 인물을 두 명 추가한 점, 천룡부의 신장상을 추가로 배치한 점 등은 새롭게 출초한 것이지만 신중상의 이목구비나 풍채 등은 세심사 신중도의 특징이 그대로 보인다.
~~~~~~~~~~~~~~~~~~~~~~~~~~~~~~~~~~~~
↜ 선장포노을공원 ↝
선창포노을공원은 충남 아산시 선장면에 자리 잡고 있다. 공원에는 유료로 이용 가능한 캠핑장을 비롯해 북카페, 야외 공연장, 어린이 놀이터, 정자, 데크 산책로 등이 갖춰져 있다. 걷고싶은 거리 1,650m도 조성되어 있다. 해 질 녘 노을 진 풍경이 아름답다. 공원 주변에 도고CC가 있으며, 삽교천방조제를 건너가면 삽교호함상공원, 삽교호놀이동산이 위치해 있다.
~~~~~~~~~~~~~~~~~~~~~~~~~~~~~~~~~~~~
↜ 신정호 주변 숙박지 ↝
아산 호텔 스테이토랑 신정호점; 050-3505-30341, 041-532-4788, 충남 아산시 신정호길 36
(일반실 4만원, 특실 4만 5천원), 예약정보; (옥션 예약)
신정호모텔; 041-546-6700, 충남 아산시 신정로 665
노블레스; 041-534-6330, 충남 아산시 온천대로 1424-11 (4만원~) (옥션 예약)
수모텔; 041-545-3735, 충남 아산시 시민로 30(4만원~)(옥션 예약)
필모텔; 041-532-2667, 충남 아산시 시민로 158
~~~~~~~~~~~~~~~~~~~~~~~~~~~~~~~~~~~~
↜ 주변 맛집 ↝
◀ 2025년 4월 5일(2일차)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4월 5일(토) 아산 호텔 스테이토랑 ↝ 피나클랜드 수목원 주차장 ↝ 테크노호수 주차장
↝ 현충사 주차장 ↝ 아산 법왕사 주차장 ↝ 대전
거리; 130.5km, 시간; 3시간, 통행료; 약0원, 주유비; 약 19,817원
~~~~~~~~~~~~~~~~~~~~~~~~~~~~~~~~~~~~~~~
↜ 경로주소 ↝
피나클랜드 수목원 주차장; 충남 아산시 영인면 월선리 346-1 ↝ 테크노호수 주차장; 충남 아산시 둔포면 석곡리 1741 ↝ 현충사 주차장;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48 ↝ 법왕사 주차장;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휴양림길 159
~~~~~~~~~~~~~~~~~~~~~~~~~~~~~~~~~~~~
↜ 충청남도 아산시 ↝
◀ 2025년 4월 5일(2일차) 충남 아산시 관광 트레킹 코스 ▶
↜ 피나클랜드 수목원 ↝ 테크노호수 ↝ 현충사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태학사+법왕사 ↝
2025년 4월 5일 충남 아산 관광 트레킹 코스 ▶
~~~~~~~~~~~~~~~~~~~~~~~~~~~~~~~~~~~~
↜ 피나클랜드 수목원 ↝
피나클랜드는 서울에서 1시간30분거리, 충남 아산에 위치한 관광농원(수목원)이다. 피나클랜드 수목원은 아산만 방조제 매립을 위해 채석장으로 사용된 곳으로 이창호 선생(거제 외도 보타니아 설립)이 자녀들과 함께 손수 가꿔 만든 곳으로 2006년 7월에 개관하였다. 현재 피나클랜드는 ㈜피나클랜드농업회사법인을 새로 출범하여 식물원의 재배적 기능과 공원적, 전시적 기능을 수행함으로 자연이 주는 쉼과 치유를 제공한다. 107,300㎡(약 3.2만평) 대지에 13개의 테마공간과 함께 어우러진 특색 있는 산책길들에 계절마다 다른 옷들을 입혀준다. 봄에는 수선화, 튤립을 여름에는 수국을 가을에는 국화를 겨울에는 별빛, 레이저불빛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피나클 최정상에는 채석장의 모습이 남아 있는 달빛폭포와 서해대교와 평택 캠프험프리스 조망이 가능한 전망대가 있다. 유산양과 비단잉어에 동물먹이주기 체험도 가능하며, 아이들이 신나게 뛰어놀 수 있는 넓은 잔디광장까지 만나볼 수 있다. 해바라기, 목화와 메밀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산들정원과 은행나무, 자작나무가 길게 뻗어 있는 수풀누리와 주차장부터 매표소까지 300m 길이로 늘어선 메타스콰이아길 등이 가족단위 관람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곳곳마다 사진으로 추억을 남기기에 좋은 장소들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사랑할 수 밖에 없는 곳이다.
~~~~~~~~~~~~~~~~~~~~~~~~~~~~~~~~~~~~
↜ 현충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 일대에 있는 사당.
사적 제155호. 1704년(숙종 30) 아산의 지방 유생들이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사당건립을 상소함에 따라 1706년에 건립했으며, 그 이듬해 '현충사'로 사액되었다. 1865년(고종 2)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후 황폐화되었다가, 1932년 6월 이충무공유적보존회와 동아일보사가 성금을 모아 중건하여 영정을 봉안했다. 1962년 3월 1일 충청남도에서 경내를 확장하고, 유물전시관을 신축했다. 1967년 3월 18일 현충사를 사적 제155호로 지정했고, 이때 보호구역의 면적은 10만 6,577평이었다. 그후 1973년 5월 현충사 사적보호구역을 21만 6,137평으로 확장·지정했으며, 1974년 4월 42만 4,880평으로 다시 확장했다. 경역면적은 현재 16만 3,096평이며, 본전(本殿)·구본전(舊本殿)·홍살문·정려(旌閭)·고택(古宅)·활터·유물관 등이 있다. 본전은 이순신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며, 구본전은 배전(拜殿)으로 쓰이며, 홍살문은 사당 경내를 표시하는 문이다. 정려에는 이순신과 이완(李莞)·이홍무(李弘茂)·이봉상(李鳳祥)·이제빈(李悌彬) 등 5명의 편액이 있다. 또한 고택은 이순신이 성장한 집이며, 활터는 이순신이 활을 쏘며 무예를 익힌 곳이다. 유물관에는 국보 제76호로 정해져 있는 〈난중일기 亂中日記〉·〈서간첩 書簡帖〉·〈임진장초 壬辰狀草〉, 보물 제326호로 지정된 장검(長劒)·옥로·요대·도배구대(桃盃俱臺) 등이 전시되어 있다.
~~~~~~~~~~~~~~~~~~~~~~~~~~~~~~~~~~~~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 입상(天安 三台里 磨崖如來 立像) ↝
천안 삼태리 마애 여래 입상(天安 三台里 磨崖 如來 立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 있는 고려 시대에 조성된 높이 7.1m의 마애불로 1964년 9월 3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40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시대 후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에 새긴 불상으로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 태학산 중턱의 큰 암반 중앙에 조각한 거대한 입상입니다.
얼굴 부분은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신체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합니다.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 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습니다.
양감있는 넓적한 얼굴은 가는 눈·커다란 코·작은 입으로 인해 더욱 경직된 인상을 풍기고 있습니다. 목은 짧아서 거의 없는 것 같이 보이며 이로 인하여 목에 있어야 할 3줄의 삼도(三道)는 가슴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어깨는 넓기만 할 뿐 양감이 없으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묵직하게 처리하였습니다. 상체와 양쪽 옷자락에는 세로선의 옷주름을 표현하였고 하체에는 U자형의 옷주름을 새겼는데, 옷주름은 좌우가 대칭을 이루고 있어 도식화된 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두 손은 가슴까지 들어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했으며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고려시대 유행하던 미륵불상의 손모양으로 이 불상의 성격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불상은 전체적인 형태나 얼굴 모습, 옷주름의 표현 등에서 고려 시대의 불상 양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거대한 마애불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천안 삼태리 마애 여래 입상 아래에는 왼쪽은 태학사, 오른쪽은 법왕사가 위치하여 있습니다. 태학사는 규모가 암자 정도로 작지만 태학산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을 보호하는 사찰입니다. 오른쪽으로 3층 요사가 있고 정면에는 대웅전과 산신각인 나란히 있습니다.
삼태리 마애 여래 입상은 태학산 자연 휴양림 길을 따라가면 산 정상 하단부에 태학사와 법왕사 사이에 난 소로를 따라 약 80m 정도 가면 만날 수 있습니다.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외암 팜스테이마을 안내도 ▼
신정호 둘레길 안내도 ▼
아산 세심사 안내도 ▼
피나클랜드 수목원 안내도 ▼
테크노호수 안내도 ▼
아산 현충사 안내도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태학사+법왕사 안내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