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碧珍儒林: 碧珍李氏 宗親會
카페 사용법
벽진이씨 관련자료 및 유익정보가 9000여건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실명 회원 가입 후에 사용하시면 더많은 자료를 볼수있습니다
전국 내지역 내고향의 벽진이씨 문화유산인 재실 정자 묘소 각종비석등을 종인누구나 직접 본카페에 올릴수있습니다.
지나간 각종행사 추억사진 및 각종자료를 종인누구나 직접 본카페에 올릴수있습니다
한줄쓰기 메뉴는 간단한 정보를 종인누구나 직접 본카페에 올릴수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시 메뉴판은 우상단 三 표시를 누르면 나타나고 메뉴판에서 원하는 메뉴로쉽게 찿아갈수 있습니다
컴퓨터로 보시면 많은메뉴와 내용을 볼수있습니다
검색하기"에서 원하는정보를 치면상세내용을 볼수있습니다.
(공파별.세파도.인물.서원.제실.문집.비문등)
우상단 三표시누른후 하단에 카페 소통방에 들어가 글쓰기 이용 바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碧珍李氏 電子정보
1.벽진이씨 대종회 .인터넷전자족보
www.벽진이씨.com
2.벽진이씨 일가 종친회 카페.
https://m.cafe.daum.net/bjlees
3.벽진이씨 유튜브:
https://www.youtube.com/@ujin-leesundong
4.벽진이씨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7022568104&mibextid=ZbWKwL
5.벽진이씨 일가 단체카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碧珍李氏 大宗會 文化委員長
碧珍李氏 宗親會. 編輯長.
서울 花樹會(碧山會長) 常任副會長.
平靖公理事.가조承旨公派 宗中 會長
(경남 거창군 가조면 동례리)
碧珍儒林 李 善 東 (號 儒 珍) 덕명
碩士 / 理學博士 課程修了
====================
碧珍李氏 宗親會..運營委員
儒碧 李善淑(松月). 碩士..부산
前 釜山 北部敎育廳 敎育長.校長.
(서울) 儒珍 덕명 동석천 이선동,
(가조) 東碧 이선수 수야
(거창.부산)東珍 이선규 구야
====================
우리家門 主要 世譜
(朝鮮後期 學者 家門)
始祖公 휘 총언 忩言 (858~938) 고려삼중대광 개국원훈벽진장군(高麗三重大匡開國元勳碧珍將軍)
11대 대장군 / 평정공파 / 승지공
17대 김천 평정공 청백리 노촌 이약동
18대 합천 판서공 승원 평정공2남
19대 우우정 유온 이천부사
20대 거창 입향조 검춘추 건
21대 가조 동례 입향조 통덕량 난서
22대 거창 성기 승지공 무
碧珍李氏 朝鮮後期 學者家門
(경남 거창군 가조면 동례리)
23대 찰방공 李昌一선조님, 과거급제 승문원박사,동례 학당골 學堂運營, 벽진이씨 최초족보 임진보 편찬 참여1652년,
26대 儒山 이정매공. 居昌府 與地勝覽(거창부 여지승람) 거창군 지도편찬. 동례촌 儒山재실 건립. 학문 儒山集 문헌 문집,
29대 一何停 이학준공.1864년 敬收堂記 찬술. 합천 판서공 영모재실 건립및 영모재기,거창오담공 경모재기찬술. 학문 一何停 문헌 문집.
33대 동강 이창기 (1918~2011)와 동례마을.(경남 거창군 가조면 동례리) 거창군향교위원/ 유산집/ 일하정집편찬, 우우정/ 대동보족보 편찬회원. 평정공 하로서원 .노촌당 보수기위원. 경수당 수축지 위원
平靖公後 陜川 居昌 加祚 承旨公 後孫
====================
居昌郡誌에 記錄된 先祖 內容(거창입향조 20대 감천공 오담 이건선조)
21대 가조입향조 통덕량 이난서
23대 과거급제 승문학박사
찰방공 이창일
동례 학당골 학당경학.
문행.조선후기 학자
26대 유산 이정매
유산재 (유산정숙) / 유산문집
거창군 지도 작성.
문행.조선후기 학자
29대 일하정 이학준
사림 학문
화서 이항로선생 제현
시조공 종당의 경수당기
평정공 노촌실기 편집참여
일하정문집.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家門 世譜 / 派世圖
시조공 이총언 (고려개국공신 벽진장군),11대 대장군공,17대 평정공계,22대 승지공파.
==================
父親 33대 동강 이창기, 최순주공 내외분(4남 1녀와 자손들)
벽진이씨 시조공 종당 경수당내
33대 동강 이창기공께서
식수한 나무앞에서....
음력10월3일. 시조공시제 참여후
부친 식수목 앞에서 4형제
동강 이창기공 시와 시비
거창 송백당(유림모임)유집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家門 先祖님 유산 유물 소개
23대 찰방공 이창일
과거급제 승문원 박사 교지
26대 조선후기 학자 유산 이정매
1유산정열(유산재)
2유산문집
3 거창군 지도 작성
29대 조선후기 학자 일하정 이학준공
1 일하정호..화서 이항로선생글
일하정기(아래)...화서 이항로선생글
양평군 서종 노문,
화서 이항로선생 기념관 내 전시
화서선생 우측이 일하정 휘호
(동강 이창기공 소유 위탁 전시)
2 일하정 호패와 직인
3 일하정 문집
성주벽진 시조공 종당인 경수당기
29대 일하정 이학준 공 묘..합천 숭산
가조 동례리 안양산 공중동영상
헬리켐 드론
https://m.cafe.daum.net/bjlees/Zn9N/5
동강 이창기 (33대)/최순주/ 마상리고모장례식
https://m.cafe.daum.net/bjlees/Zy9O/3?svc=cafeapp
가조동례 안양산
33대 동강 이창기(부친)및 선조묘소
33대 동강 이창기묘. 거창 가조 동례 선산
동강 이창기공 자손들.
34세 / 35세 / 36세손
일하정 이학준공 이하선조 제단
동강 이창기공 부부 장례식
平靖公後 陜川 居昌 加祚 承旨公 後孫 벽진이씨 종친회
碧珍李氏 우리家門 世譜
始祖公 휘 총언 忩言 (858~938) 고려삼중대광개국원훈벽진장군(高麗三重大匡開國元勳碧珍將軍)
11대 성간 고려(高麗) 충렬(忠烈)·충선왕조(忠宣王朝)에 중문지후(中門祗侯),대장군(大將軍) ...金泉
17대 약동 (1416~1493) 평정공 노촌 이약동 청백리 ,문종1451년에문과(文科)급제(及第) 5조(五朝)를 奉仕 .....金泉
18대 승원 (1474~1527) 판서공 ,장천(將薦)무과(武科)에 급제(及第), 벼슬을 병조판서 ............陜川대병
19대 유온 (1466~1487) 사이에 태어남.. 號는 우우정(友于亭),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천부사(利川府使)
20대 건 (1502~1589) 號는 감천(鑑川),오담.통정대부(通政大夫) 첨중추(僉中樞) ....居昌향조/거창 향교동
21대 난서 (1537~1592) 통덕량 (通德郞). 가조입향조/동례
22대 무 (1587~1663) 號는예재(禮齋) 승지공,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兼경연참찬관(經筵叅贊官)에 증직(贈職) ....거창성기
23대 창일 (1611~1653) 號는동곡(東谷)찰방공,1649년 문과(文科)급제 승문원박사(承文院博士),보안찰방(保安察訪).가조동례 독새골
24대 진한 (1651~1719) 號는 태평당(太平堂). 통덕랑(通德郞)
25대 겸화 (1678~1719)
26대 정매 (1701~1761) 號 儒麓齋 유산집/유산정열. 丹嚴 閔鎮遠先生의 門下에서修業,宋櫟泉 黃江漢 金淵湖등과 從遊
27대 가신 (1739~1815) 號는 삼수정(三樹亭). 약추사(若樞事)로서 소수(疏首)가 되어 소청(疏廳)
28대 극균 (1759~1838)
29대 학준 (1798~1879) 號는 일하정(一何亭) . 정기(亭記)는 일참판(逸叅判) 이항로(李恒老) .일하정집/일하정기.경수당기(1864년)
30대 승주 (1822~1886) 號는 단파(檀坡).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과 종유(從遊)
31대 우화 (1852~1887)
32대 우덕 (1875~1932)
33대 창기 (1918~2011) 號는 동강.배 최순주(1932년3월16일~2021년)
가조동례 안양산
거창군 향교 위원
유산집/ 일하정집편찬,
우우정/ 대동보족보 편찬회원.
평정공 하로서원.노촌당 보수기위원
경수당 수축지 위원
34세손
1. 儒碧 송월 이선숙............부산
동아대 대학원석사.
국민훈장 홍조장
전 부산 북부교육청 교육장 , 고등학교교장,
입학사정관(동아대 총장)
부산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조정관(검찰총장)
부산 북부교육청 청사개소
(한 가운데 이선숙 교육청, 교육장)
2. 儒珍 덕명 동석천 이선동.....서울
(전국경영인연합회 최고경영자 과정)
3. 東碧 수야 이선수....거창 가조 동례
효자상수상(부모효도).
예절 생활상
성균관 거창향교(지부) 유림 유생.
4. 東珍 구야 이선규....거창 부산
대학
재가요양보호센타(부산본점).
================
부친이신 33세 동강 이창기님은 선조님의 업적을 받들어 일생을 경종수족의 정신으로 시조공 종당인 경수당에 느티나무 한그루를 기념식수하시고, 대종회, 대장군, 평정공, 판서공, 감천공 그리고 동례촌의 난서공까지 두루 살피시며, 크고 작은 종사에 참여하시었다.
이에 시조공과 선조님의 얼과 정신을 이어받기위해서 벽리종인의 유림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 가문의 얼과 정신을 이어받고자
동례촌 박유산 아래 태어나신 유산선조와 일하정선조의 학덕을 이어가고, 벽진이씨의 혼을 담아서 호를정한다.
장남 이선숙은 유벽儒碧 (선비유 푸를벽)
차남 이선동은 유진儒珍 (선비유 보배진)
.1. 송월 선숙............부산
동아대 대학원석사.
국민훈장 홍조장
전 부산 북부교육청 교육장 , 고등학교교장,
입학사정관(동아대 총장)
부산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조정관(검찰총장)
2. 동석천 덕명 선동.....서울
동례촌의 선조님의 얼을 이어받고, 벽진이씨의 혼을담아서
3남 이선수는 동벽東碧.......거창
4남 이선규는 동진東珍.......가조
이라 호를 정한다
ㅡㅡㅡㅡㅡㅡㅡ
한자뜻 풀이
儒자는 ‘선비’나 ‘유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儒자는 人(사람 인)자와 需(구할 수)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선비란 학식이 있는 학자를 일컫는 말이다. 조선이 유교를 이념적 기반에 둔 이후 유교나 선비는 조선 사회를 움직이는 힘이 됐었다. 儒자에는 그러한 의미가 잘 담겨있다. 儒자에 쓰인 需자는 ‘필요하다’나 ‘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이렇게 '필요하다'라는 뜻을 가진 需자에 人자가 더해진 儒자는 그 시대가 ‘필요로 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碧자는
‘푸르다’나 ‘푸른빛’, ‘푸른 옥’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碧자는 珀(호박 박)자와 石(돌 석)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여기서 호박이란 소나무 송진이 화석화된 것을 말한다. 고대부터 호박은 보석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보석을 뜻하는 珀자에 石자를 더한 碧자는 ‘푸른 옥’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그러나 지금은 주로 ‘푸른빛’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珍자는
‘보배’나 ‘보물’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珍자는 玉(구슬 옥)자에 㐱(숱 많고 검을 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㐱자는 머리의 숱이 많고 윤기가 흐른다는 것을 표현한 글자이다. 그러니 珍자는 반짝이고 윤기가 나는 ‘보물’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珍자는 본래 보배라는 뜻으로 만들어졌지만 맛있는 음식을 보배에 비유하기도 한다.
===========================
우리가문 선조님 동영상
1조선후기 유학자가문 33대
동강 이창기 전기 와 동례 마을 /
https://youtu.be/lnlDS9pItlA?si=MYdesrSBqhxx_iVT
2거창입향조
20대 감천공 오담 이건 (거창 개화)
https://www.youtube.com/watch?v=0VcCNuI-cQk
3가조입향조 (동례)
21대 통덕량 이난서선조 및 후손
https://www.youtube.com/watch?v=Kpy7UFLXbGU
4과거급제 승문원박사
23대 이창일 과 학당골
https://www.youtube.com/watch?v=rciy9U6_cJs
5조선후기 학자
26대 유산 이정매 시문집 /유산문집
https://www.youtube.com/watch?v=FNGLOeHeNx8
6 삼수정 27대 이가신 과 느티나무 3그루
https://www.youtube.com/watch?v=QzUSU2i41hc
7조선후기 학자
29대 일하정 이학준 시문집 / 일하정문집
https://www.youtube.com/watch?v=ctZDs6fG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