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뉴얼] 둠바곰돌 음악이론 15. 도,레,미,파 계이름의 유래 - 귀도 다레쪼(Guido d'Arezzo)
오늘은 계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도,레,미,파... 계이름의 유래
1. 계이름은 중세 이탈리아의 수도사이자 음악이론가인 귀도 다레쪼(Guido d'Arezzo,992~1050)에 의해 고안이 되었다고 합니다.
2. 그리고 성 요한 찬미가(Ut queant laxis)의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의 저녁기도" 라틴어 가사 첫머리에서 도,레,미,파... 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3. 귀도 다레쪼는 왼손에 음이름을 적어놓는 방법을 통해 음계와 계명창을 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도 하였습니다. (* 귀도의 왼손)
4. 참고 서적으로는 한권짜리 그라우트 서양음악사 80페이지쯤부터 참고하여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의 저녁기도 가사 및 계이름의 뜻
Ut queant laxis → Ut (우트) → 16세기경 Dominus로 바뀌며 Do (도) 가 됨.
Resonare fibris → Resonance → Re (레)
Mira gestorum → Miracle → Mi (미)
Famuli tuorum → Famille → Fa (파)
Solve polluti → Solution → Sol (솔)
Labii reatum → Labii → La (라)
Sancte Joannes → S+J가 훗날 S+I로 되어 Si (시) 가 되었다는 설이 있음.
"당신의 종들이 당신의 행위의 훌륭함을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도록 그들의 더럽혀진 입술에서 모든 죄악의 더러움을 씻어주소서. 오 거룩한 요한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