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제 1장 돌아가 의지하오니
1. 오늘날과 같은 과학 만능의 시대에도 종교는 필요 한가
2. 올바른 종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3. 불교는 어떤 종교이며, 다른 종교들과 어떻게 다른가
4. 불교에서는 우주의 시원(始原)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가
5. 불교는 철학일 뿐 종교가 아니라는 지적이 있던데
6. 불교는 염세적인 종교 같은데 과연 그런가
7. 불상에 예배하는 것은 우상숭배라는 사람이 있던데
8. 불교에서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9. 불교에서는 무엇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나
10. 불교에 입문하려는데 처음 불자가 되는 과정은
11. 불자들이 항상 간직해야 할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는
제 2장 영원한 인류의 스승
1. 부처님이란 무슨 뜻이며 무엇을 가리키나
2.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부처님은 어떤 분인가
3.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에 얽힌 설화가 많은데
4.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란 말씀에는 어떤 뜻이 담겨있나
5. 석가모니부처님은 왜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하셨나
6. 석가모니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란 어떤 것인가
7. 석가모니 부처님은 성도 후 어떤 생활을 하셨나
8. 석가모니부처님의 사리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9. 석가모니부처님의 팔상성도에는 어떤 뜻이 담겨있나
10. 석가모니부처님의 전생이야기라는 것이 있다던데
11. 석가모니부처님 이외의 부처님들은 어떤 분인가
제 3 장 우주와 인생의 최고진리
1.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2. 불교는 부처님보다도 진리를 신봉하는 종교라는데
3.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의 근본입장은 어떤 것이었나
4. 석가모니 부처님은 어떤 방법으로 제자들을 가르치셨나
5. 부처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6. 불교에서는 이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다고 보나
7. 불교에서는 우리 인생의 현실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8. 불교에서는 삶의 괴로움이 어디에서 유래한다고 보나
9. 불교에서는 인간의 의지에 대해서 어떻게 보는가
10. 삶의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불교의 실천원리는
11.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이상적인 경지란 어떤 상태인가
12. 열반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 인도방법은 무엇인가
13.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바르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가
14. 불교의 수행은 근본적으로 어떤 원리를 지니고 있나
15. 수행을 하면 이상적인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근거는
16. 불자들은 스스로에 대해 어떤 존재라고 여겨야 하나
17. 불자들은 이웃에 대해 어떤 마음가짐을 지녀야 하나
18. 불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해야할 덕목
19. 불자들이 건설해야 할 이성세계란 어떤 사회인가
제 4장 수행과 화합의 공동체
1. 교단이 삼보가운데 하나로 공경되는 이유는
2. 석가모니부처님 당시의 교단은 어떤 모습이었나
3. 불교교단의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
4. 석가모니부처님의 십대제자는 어떤 분들인가
5. 스님들은 왜 가정생활을 포기하고 출가 수행하나
6. 스님이 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처야 하나
7. 스님들의 계율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나
8. 스님들은 일체의 생산 활동을 하면 안 된다는데
9. 나라마다 스님들의 생활방식이 다른 이유는
10. 스님들의 동안거와 하안거는 어떻게 유래되었나
11. 스님들의 대중생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12. 스님들의 호칭 중 선사, 율사 등의 의미는
13. 수행하는 스님과 포교하는 스님의 차이는 무엇인가
14. 스님들의 탁발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가
15. 재기신자들이 교단의 일원으로서 해야 할 일은
제 5장 거룩한 발자취
1. 불기(佛紀)는 어느 해를 기준으로 해서 헤아리나
2. 대승불교(大乘佛敎)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가르침인가
3. 밀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가르침인가
4. 불교가 발생지인 인도에서 소멸해버린 이유는
5. 북방불교와 남방불교의 차이점
6. 불교의 각 종파들은 어떻게 해서 성립되었나
7. 불교는 우리나라에 언제 어떻게 전래되었나
8. 한국불교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무엇인가
9. 한국불교를 빛낸 스님들에는 어떤 분들이 계신가
10. 불교에 토속신앙적인 요소가 많이 유입된 이유는
11. 호국불교란 무엇이고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제 6장 불 보살의 세계
1. 부처님들이 굉장히 많은데 불교는 다신교인가
2. 석가모니부처님 이전의 과거칠불은 어떤 분들인가
3.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삼신불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4. 비로자나부처님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5 .아미타부처님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6. 미륵부처님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7. 약사여래부처님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8. 관세음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9.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
10. 지장보살과 대세지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
제 7 장 가람의 향기
1. 사찰이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성립되었나
2. 사찰 입구에 있는 일주문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3. 천왕문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4. 불이문 혹은 해탈문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5. 탑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예배드려야 하나
6. 법당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7. 불상은 왜 모시며 어떤 유래가 깃들어 있나
8. 불상의 신체적 특징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인가
9. 불상의 손 모양과 자세들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10. 부처님 옆에 모시는 두 보살은 어떤 분인가
11. 보살님들이 손에 들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12. 부처님 뒤에 모시는 탱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13. 사찰에 있는 여러 가지 전각들은 무엇인가
14. 법당 안의 신중단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15. 사찰 안의 부도전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16. 사원건물의 단청과 벽화 등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17. 사찰에서 사용하는 법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18. 염주는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것들이 있나
19. 발우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
20. 卍은 무엇이며, 그 밖의 불교 상징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
21. 우리나라의 삼보사찰은 어떤 곳들인가
22. 우리나라 5대 보궁은 어떤 곳들인가
제 8장 몸과 마음 가다듬고
1. 합장은 어떻게 하며 무슨 의미가 깃들어 있나
2. 부처님이나 스님들께 큰절을 올릴 땐 어떻게 하나
3. 사찰에서 지켜야 할 불자들의 예절에는 어떤 것이 있나
4. 법당에 들어갈 때 불자들은 어떤 예절을 지켜야 하나
5. 초나 향, 인등을 공양할 때 지켜야 할 예절은
6. 스님들을 만났을 때 지켜야 할 불자들의 예절은
7. 예불이나 법회에 참석했을 때 불자들이 지켜야할 예절은
8. 식사를 할 때 지켜야 할 불자들의 올바른 자세는
9. 대중들과 식사를 할 때 외우는 의식문은 무엇인가
제 9장 지극정성 기울여서
1. 예경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2. 조석예불은 무엇이며 어떻게 행하나
3. 불공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4. 관음재일, 지장재일, 미타재일 등 재일이란 무엇인가
5. 불교의 사대명절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6. 초파일에 행하는 연등행사는 어떻게 유래 되었나
7. 초파일에 사찰에서 행하는 관불의식은 어떤 것인가
8. 우란분절은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떤 의미가 있나
9. 입춘, 동지 등의 절기와 불교의 관계는 무엇인가
10. 점안식 또는 봉불식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11. 방생법회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에서 행하나
12. 생전예수재와 수륙재는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13. 사찰에서 결혼식을 올릴 경우 어떤 의식을 행하나
14. 병이 났을 때 사찰에서 행하는 구병시식이란 무엇인가
15. 상을 당했을 때 불교에서는 어떤 의식을 올려야 하나
16. 천도재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나
17. 49재는 어떻게 지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18. 범패와 바라춤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제10장 수행의 기쁨
1. 재가불자들이 집에서 행할 수 있는 수행에는 무엇이 있나
2. 재가불자들이 지켜야 하는 계율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3. 갓 태어난 신생아도 계를 받을 수 있나
4. 계를 못 지켜 부담이 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5. 참회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하나
6. 108배, 천배, 만배 등을 하는 이유는
7. 독경은 어떻게 하며 어떤 공덕이 있나
8. 독경을 할 때 지녀야 할 마음가짐이나 자세는
9. 독경을 할 때 천 독, 만 독 등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
10. 경을 다 읽을 필요 없이 제목만 외워도 공덕이 있다는데
11. 사경은 어떻게 하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12. 불교에서의 기도란 어떤 것이며 어떤 공덕이 있나
13. 가정에서의 기도는 어떤 절차로 해야 하나
14. 기도에 임할 때 지녀야 할 몸가짐과 마음가짐은
15. 불교교리에 비추어 볼 때 남을 위한 기도가 가능한가
16. 염불이란 무엇이며 어떤 공덕이 있나
17. 염불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는데
18. 진언이란 무엇이며 어떤 수행법 인가요
19. '옴 마니 반메 훔'의 의미는 무엇인가
20. 경전을 독송하기 전에 외우는 '정구업진언'의 의미는
제11장 참 나를 찾아서
1. 참선이란 무엇이며 어떤 유래가 있나
2. 참선을 할 때 올바른 자세는 무엇인가
3. 참선을 할 때 올바른 호흡방법은 무엇인가
4. 방하착하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5. 참선을 하려고 하면 자꾸만 망상이 일어나는데
6. 간화선과 묵조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가
7. 화두란 무엇이며 어떻게 받는 것인가
8. 화두에는 분명한 정답이 있는 것인가
9. 견성성불이란 무엇을 일컫는 말인가
10. 심우도란 그림으로 참선공부의 과정을 설명하던데
11. '○'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는가
12. 참선을 잘못하면 상기병이 생긴다는데
13. 참선수행만 하면 되지 특별한 믿음의 행위가 필요할까
14. 불교의 여러 수행법 가운데 참선이 특히 강조되는 이유는
15. 참선과 오늘날 유행하는 명상수련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제12장 신심이 깃든 삶
1. 절에 나가지 않고도 신행 생활이 가능한가
2. 여러 절에 다니고 있는데 상관없는가
3. 오랫동안 다니던 절을 옮기면 안 된다는데
4. 가정에서 불상을 모시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
5. 불상을 새긴 목걸이나 염주 등은 어떻게 착용하나
6. 스님에게 불심이라는 액자를 받았는데 어떻게 모셔야 하나
7. 욕심을 없애고 싶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는데
8. 노여움을 참기 힘든데 어떻게 다스려야 하나
9. 나도 모르게 사악한 마음이 드는데 어떻게 해야하나
10. 원력을 세우는 것도 일종의 욕심이 아닐까
11. 관절염 수술을 받은 후 절하기가 불편한데
12. 시각장애자인데 절에 가서 부처님형상을 만져도 되나
13. 불교에서는 결혼과 이혼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
14. 부부는 전생에 어떤 인연이었는지 알고 싶은데
15. 절에 너무 자주 간다고 남편이 싫어하는데
16. 남편이 낚시광이라서 자주 갈등을 빚는데
17. 바람난 남편의 마음을 어떻게 붙잡을 수 있나
18. 재가 불자도 성불을 위해선 애욕과 음행을 자제해야 한다던데
19. 사고로 아들을 잃었는데 어떻게 기도해야 하나
20. 살생하지 말라는데 쥐나 바퀴벌레도 죽이면 안 되는지
21. 불자들은 개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는데
제13장 더불어 사는 삶
1. 여성은 성불할 수 없다는데 과연 그런가
2. 부처님께서 처음엔 여성의 출가를 반대하신 이유는
3. 직업상 살생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많은데
4. 임신중절을 불교의 입장에서 어떻게 생각하나
5. 불교의 입장에서는 자살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
6. 안락사에 대해서 불자들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나
7. 장기기증을 불교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보아야 하나
8. 정당방위의 살인은 용인될 수 있는 것인지
9. 사형제도에 대해 불교는 어떠한 입장을 취하는가
10. 요즘 세상 착하게만 살면 손해를 본다는데
11. 보증 서주기를 거절하고 나서 마음이 아픈데
12. 돈을 빌려주었는데 인연에 따라 마냥 기다려야만 하나
13.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데 불자로서의 자세는
14. 장사하는 사람이 지녀야 할 불자로서의 마음가짐은
15. 노사 간의 대립에 대해 불교인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16. 소득 불균형이 극심한 오늘날의 사회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17. 오늘날에도 사회정의가 승리한다고 믿을 수 있을까
18. 스님들의 정치참여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19. 정치지도자의 비리에 대해 불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20. 전쟁에 대한 불교의 입장은 어떤 것인가
21. 환경보호에 대해 불교인은 어떻게 보아야 하나
22. 불교의 최종목적인 열반은 현실생활에서 어떻게 가능한가
제14장 자랑스런 우리 불자
1. 종교를 바꾸면 집안에 우환이 든다는데
2. 가족들에게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싶은데
3. 이교도인 친구를 불교로 인도하고 싶은데
4. 포교하고 싶지만 잘못된 법을 전할까 두려운데
5. 다른 사람에게 보시를 권하고 싶은데
6. 불교를 믿으면 지옥 간다고 다른 종교에서 가르치던데
7. 딸의 배우자감이 타종교인 인데 어떻게 해야 할지
8. 며느리가 분가한 후 타종교에 다니는데
9. 기독교 가정에서 종교문제로 가족들과 갈등을 겪고 있는데
10. 천주교에 다니던 분인데 절에서 천도재를 지내도 되는지
11. 큰집에 제사를 지내러 가면 기독교식으로 해야 하는데
12. 이교도의 적극적인 전도를 받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13. 타종교의 말세론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14. 일련종도 법화경을 신봉하는 불교의 한 유파라는데
15. 불교와 원불교의 차이는 무엇인가
16. 무당이 부처님을 모시는 절에 다니고 있는데
17. 사주나 점, 궁합, 택일 등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
18.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신병을 앓고 있는데
19. 풍수지리에 대해 어떻게 보아야 하나
20. 부적은 인간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것인가
제15장 성스러운 가르침
1. 불교 외 경전 어떻게 성립 되었나
2. 경·율·론의 삼장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가
3. 대장경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나
4. 위경(僞經)이란 어떤 것이며 어떻게 성립되었나
5. 해인사에 모셔진 팔만대장경은 어떤 것인가
6.《숫타니파타》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7.《아함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8.《불소행찬》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9.《본생담》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0.《법구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1.《사십이장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2.《불유교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3.《반야심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4.《금강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5.《법화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6.《열반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7.《화엄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8.《화엄경 보현행원품》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19.《아미타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0.《유마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1.《승만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2.《능엄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3.《원각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24.《육조단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5.《천수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6.《지장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7.《부모은중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8.《삼세인과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29.《고왕경》과 《몽수경》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0.《천지팔양신주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1.《초발심자경문》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2.《무상계(無常戒)》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3. 의상조사 《법성게》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4.《화엄경약찬게》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5.《백팔대참회문》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6.《이산혜연선사발원문》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7.《나옹화상발원문》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8.《회심곡》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39.《장엄염불》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제16장 깨달음을 향하여
1.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의 나무란
2. ‘성불하세요’라는 인사말의 참뜻은 무엇인가
3. 중생의 근기에 상·중·하의 차이가 있다는데
4. 유심(唯心)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5. 인연이라는 말의 올바른 뜻은 무엇인가
6. 번뇌망상(煩惱妄想)이란 무엇이며 백팔번뇌라는 말의 뜻은
7. 육도윤회(六道輪廻)란 무엇이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8. 사대(四大)와 오온(五蘊)은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가
9. 세상만사가 꿈같다는데 과연 우리 현실은 허깨비인가
10. 모든 것에 실체가 없다면 이 세상은 어떻게 존재하나
11. 전도몽상구경열반(顚倒夢想究竟涅槃)이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12. 산은 산, 물은 물이라는 큰스님 법어의 뜻은
13. ‘아뇩다라삼막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란 무엇을 의미하나
14.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란 말은 무슨 뜻인가
15. 삼승방편(三乘方便) 진실일승(眞實一乘)이란 어떤 가르침일가
16.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라는 말의 참뜻은
17. 본래 모습, 참나. 진아 등은 무엇을 의미하나
18.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便正覺)'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19. '일즉다(一卽多) 다즉일(多卽一)'이라는 말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20. 금강경의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이라는 말의 뜻은
21. 보리심(菩提心)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담겨 있나
22. 여성불자를 보살이라고 부르는 의미는
23. 화엄경에 나오는 십행(十行)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24. 만행(萬行)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담겨 있나
25. 공양(供養)이라는 말의 참다운 의미는 무엇인가
26. 방편(方便)이라는 말의 참다운 의미는 무엇인가
27. 말법시대(末法時代)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28. 정토(淨土)와 예토(穢土)란 어떤 것을 의미하나
29. 불교에서 말하는 극락(極樂)이란 무엇인가
30. 돈오돈수(頓悟頓修)와 돈오점수(頓悟漸修)란 무슨 말인가
31. 법륜(法輪)이라고 해서 진리를 수레바퀴에 비유하는 이유는
32. 회향(廻向)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33.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이라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나
34. 사홍서원(四弘誓願)의 의미는 무엇인가
35. 불교를 현대화해야 한다는 말이 있던데
36. 민중불교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7. 온갖 시련 속에서도 갖지 말아야 할 불자들의 자세는
다음 카페의 ie10 이하 브라우저 지원이 종료됩니다. 원활한 카페 이용을 위해 사용 중인 브라우저를 업데이트 해주세요.
다시보지않기
Daum
|
카페
|
테이블
|
메일
|
즐겨찾는 카페
로그인
카페앱 설치
포항세심사
최신글 보기
|
인기글 보기
|
이미지 보기
|
동영상 보기
검색
카페정보
포항세심사
브론즈 (공개)
카페지기
부재중
회원수
11
방문수
0
카페앱수
1
검색
카페 전체 메뉴
▲
카페 게시글
목록
이전글
다음글
답글
수정
삭제
스팸처리
불교의 이해
스크랩
『불교란?』 - 목 차 -
창산
추천 0
조회 48
14.08.25 13:47
댓글
0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출처:
가장 행복한 공부
원문보기
글쓴이:
虛 堂
댓글
0
추천해요
0
스크랩
0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
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검색하기
연관검색어
환
율
환
자
환
기
재로딩
최신목록
글쓰기
답글
수정
삭제
스팸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