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일요일, 저희 연구소에서는?]
- 6탄 -
안녕하세요.
박시현근육학연구소입니다.
📅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저희 연구소에서는
< #재활퍼스널트레이너(RPT) 2급 >
과정이 정기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론 수업은 박시현 교수님
실기 수업은 최선임 원장님
께서 맡아주시며,
상황에 따라 한 분이 전 과정 진행해 주시기도 합니다.
📝 지난 수업 리뷰
최근 진행된 '파트2 (하지) - 4강' 수업에서는
다음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뤄졌습니다.
▶ 하지 도수근력검사
▶ 고관절, 무릎, 발목 관절 검사
▶ 골반 재활운동 및 보행분석
🧠 슬괵근(햄스트링), 무릎 정렬을 바꾼다고?
회원님들의 체형을 살펴보면,
무릎이 안/밖으로 휘어 보이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럴 때, 무릎 주변만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점,
많은 분들이 경험하셨을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바로 그 원인 중 하나인
"슬괵근(햄스트링)과 무릎 정렬"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 슬괵근(햄스트링)은 어떤 근육인가요 ?
슬괵근(햄스트링)은
고관절, 슬관절 두 관절을 지나는
이관절근(Two joint muscle) 입니다.
이 근육은 좌골 결절에서 시작되어
내측 슬괵근(반건양근, 반막양근)은 경골에서
외측 슬괵근(대퇴이두근 장두,단두)은 비골에서
정지합니다.
💡참고로 !
대퇴이두근의 '단두'는
다른 햄스트링 근육들과 달리 좌골 결절이 아닌
대퇴골 조선의 외측(외순)에서 기시합니다.
햄스트링 중 특히
‘비골에 부착된 외측 햄스트링’이
과도하게 긴장되면,
무릎을 비틀리게 만드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핵심 포인트
지난 4강 수업 내용 중
슬괵근(햄스트링)의 기시·정지점을 알아보며,
이 근육의 긴장이
무릎 정렬에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
또한, 무릎의 안정성을 높이고
불균형을 개선하는 재활운동 방법까지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 다음 수업 미리보기
곧 다가오는 5월 11일,
파트 1(상지) 과정이 새롭게 개강합니다!
체형 불균형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맞춤형 재활운동 및 관리 방법을 배우고 싶은 분께서는,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
💛교육신청 바로가기💛
https://cafe.daum.net/pt1/Dl4u/47?svc=cafeapi
🧠 문제의 결과가 아닌,
원인을 볼 수 있는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다면 ?
<박시현근육학연구소>에서 시작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