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의 이름은 발이시니 일찍이 나라위해 순국하는 절개를 품으신 분이다.
선조대왕때에 선전관으로서 임진왜란을 당하매 공훈이 있어서 정난원종 2등공신의 녹권을 받으셨다. 또 병자호란에도 청병들이 갑자기 쳐들어오매 임금께서 남한산성으로 피난케 되였는데 공께서는 난리가 났다는 소식을 듣고 곧 임금을 보호코져 가려고 하였으나 적군에게 길이 막혀서 뜻을 이룰 수 없으매 이에 눈물을 흘리면서 칼을 짚고 곧장 전라도로 내려갔다.
병마절도사 김준룡을 찾아가서 말하기를 "오늘날 임금께서 욕을 당함에 신하는 죽어야 마땅할 때를 맞았으니 원컨대 한 부대의 병력만 내주면 작은 정성을 이룰 수가 있을 것 같다"고 간청하였다.
이에 김병사가 얼굴빛을 고치고 손을 잡으면서 말하기를 "지금 적의 세력이 크게 창궐한데 의지할만한 사람이 없어서 지금까지 지체 되였는데, 그대가 고맙게도 와 주었으니 이것은 하늘이 나와 함께 나라를 위해 일하게 함이로다" 하고 그날로 북을 쳐서 병사들을 동원하여 밤을 타서 급히 행군하매 때는 깊은 겨울철이라 모진 북풍에 눈비마져 혹심하여 수족이 모두 터졌다.
울면서 남한산성을 향하여 군사들에게 이르기를 "이제 나라를 위해 충성하자"고 사기를 북돋아 주매 병사들이 모두 감격하여 한사람도 뒤쳐지는 사람이 없었다.
드디어 수원 광교산으로 진군해가서 보니 그 때 다른 부대들은 이미 흩어져서 자취가 없고 공만이 홀로 전군으로서 크나 큰 적진을 꿰뚫고 나가 남한산성이 서로 바라 보이는 곳에 진을 치게 되었다. 낮에는 대포를 쏘고 밤에는 횃불을 들게하여 남한산성과 서로 호응할 수 있게하여 수레바퀴와 같이 서로 돕는 형세를 하였고 때로는 날랜 병사를 풀어서 적을 치고 충돌케하여 적의 목을 많이 베이매 적병들도 겁을 먹어 감히 가벼히 덤비지 못하였다.
이듬해 정축년(1637년) 정월초 6일에는 적진에서 구름이 낀날을 이용하여 밀물과 같이 쳐들어왔다. 포성이 산을 울리고 방패와 창이 서로 부딪치고 화살이 바람과 비오듯 하매 병사들이 모두 죽어서 수가 줄어들게되었다. 공께서는 이에 도끼를 짚고 분발하여 충의를 다할 것을 외치매 모두가 감격하여 포와 화살을 일제히 쏘았다. 적들이 쓸어져서 즐비하게 되였으나 마침내는 적이 몰래 뒤의 고개를 넘어 상상봉을 점령당하매 사방으로 포위되여 화살이 비오듯 하였다.
그러나 공께서는 조금도 동요하지 않고 마지막 힘을 다하여 죽기로서 맹세하고 정병을 뽑아 진격하였다. 수백의 화살을 쏘매 하나도 맞지 않음이 없어서 적의 사상자를 많이 내었다.
공께서 활을 잡고 앞에나서서 힘써 싸워 수백의 적을 무찔렀으나 차차 군사가 줄고 혹은 흩어지는 반면에 적세는 더욱 배나 몰려 내려왔다. 그래도 공께서는 홀로 얼굴빛을 변치 않았는데 이 때 좌우에서 화살이 떨어지고 탄환이 다하매 맨주먹으로 혼자 서서 호령하다가 마침내 돌아가시니 위대하고 장하도다.
'빠른 바람속의 굳센풀'이라 함은 정녕 공을 두고 이름이로다.
그 후에 광교산의 중이 공의 명패(각패:조선시대 당하관의 벼슬아치들이 차던 호패)를 보고 부고를 알리매 가족이 울며 가서 수시케 되였는데 열기가 오히려 늠늠하고 얼굴과 눈이 살아있는 것 같았으며 입었던 배자도 단정히 그대로였다.
모셔다가 충남 보령군 청소면 제동묘좌 언덕에 장례를 내었도다.
슬프도다! 공의 사적이 김병사의 사적 및 행장록에 밝혀져 있고 또한 공신녹권까지 받았으니 그 곧은 충성과 굳센 정신이 저와 같이 높고도 높으나 자손들이 용렬하여 이에 사적이 묻히게 되니 애석하도다. 지난 기미년에 진사 이수광등이 현감과 감영에 같이 글을 올려 임금께 알리고져 기도하였으나 끝내 포상과 증직의 은전을 받지 못하였는데 그 때 선비들의 서명한 것과 전후의 장계가 지금도 자손의 집에 전해오고 있는 것이다.
도산 진사 이의준 씀.
인 발
선략장군(정 4품 무관)을 지내셨고 임진왜란 때 정난원종2등공신에 녹훈되었다.
선전관을 지내실 때 병자호란을 당하여 수원 광교산 전투에서 용전하다가 전사하시었다.
그후 훈련원정(정 3품 훈련원의 벼슬)에 증직되시었다.
배위는 숙부인 김해김씨와 숙부인 파평윤씨 두분이 계셨고 현재 충남 보령군 청소면에 모셔져 있다. 이 근방에 약 4백여년을 계승하여 내려오고 있는 교동인문(그 곳에서는 오야골 인씨라고 부른다고 함)의 집성촌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