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이란?
함이랑 전통적으로 서신으로 교환하던 양가의 결혼에 대한 약속을 의미 합니다.
신랑측에서 결혼을 허락해준 고마움에 대한 마음으로 예물과 청홍비단을 담아보낸 것 입니다.
2. 함에 들어가는 품목?
일반적으로 함에 들어가는 품목은 혼서지, 물목기, 오곡주머니, 청홍재단 등입니다.
혼서지는 과거에 혼인을 증명하는 서류격으로 지아비만을 섬기며 살라는
절개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부가 죽으면 관에 넣어 묻을 만큼 중요시 했던 것이며
혼서지 봉투는 봉하지 않고 상-중-하단에 근봉이라 하는 봉함지를 끼웁니다.
물목기는 채단의 수량과 내용을 적어 넣은 것 입니다.
오곡주머니는 분홍, 붉은, 노랑, 파랑, 연두색 주머니가 있으며, 내용물은 홀수로 넣습니다.
♤ 분홍주머니 : 가문번창 - 목화씨를 넣어 서북쪽에
♤ 붉은주머니 : 잡귀 부정 쫒기 - 팥을 넣어 서남쪽에
♤ 노랑주머니 : 며느리의 부드러운 성품기원 - 노란콩을 넣어 중앙에
♤ 파란주머니 : 부부의 백년해로기원 - 찹쌀을 넣어 동북쪽에
♤ 연두주머니 : 길한 장래를 기원 - 향나무를 넣어 동남쪽에
청홍재단의 청색비단은 여자의 음기를 상징하며 붉은색 한지에 쌓은 후 청색 명주실로 매고
붉은비단은 남자의 양기를 상징하며 청색 한지에 쌓은 후 붉은색 명주실로 매어
홍재단은 위쪽에, 청재단은 아래쪽에 놓습니다.
3. 함들어가는 절차?
함보낼때
신랑집에서 함을 보낼때엔 봉치떡을 홍보를 덮은 상 위에 시루째 올려 놓고
그 위에 홍보를 다시 덮은 후 혼수함을 올려놓았다가 함내용물을 신부댁으로 가지고 갑니다.
봉치떡은 찹살 두 켜에 팥고물을 넣고 중앙에 대추, 밤을 넣어 만들고
대추, 밤은 따로 떠 놓았다가 혼인일 전날 신부가 먹는 것 입니다.
전통적으로 함진아비는 금술이 좋으며 아들을 낳은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나,
최근에는 신랑과 친한 지인들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함진아비는 중간에 함을 내려놓지 않고 신부집까지 갑니다.
함값을 무리하게 요구하는 경우 좋은날 서로 얼굴 붉히고 감정이 상할 수 있으니
사전에 신랑과 신부가 상의하여 양쪽에 미리 양해를 구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함받을때
함을 받는 신부집에 함 들어가는 절차는 화문석이나 돗자리를 대청에 깔아두고
신랑집과 마찬가지로 봉치떡을 만들어 상위에 올려둔 후 함 받을 준비를 합니다.
함진아비가 집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바가지를 깨고 들어갑니다.
함이 들어오면 함을 시루위에 얹고
신부의 아버지인 혼주는 혼서지를 꺼내 사당에 고합니다.
봉채떡은 칼을 쓰지 않아야 하며 주발뚜껑으로 잘라 신부가 먼저 먹습니다.
첫댓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