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효모에 대하여..

2.발효의 두 단계..

3.첫 번째 단계의 젖산균에 의해 당 대사과정

4.이 당 분해 대사로 인해 유당 불내증 환자나 당뇨에도 흡수가 가능한 입자가 되며
효모균의 먹이 사이즈가 되는거라 봅니다.

*이 말의 의미는
큰 조각의 당이 몸속으로 들어오면
안그래도 인슐린 부족으로 진이 빠진 상태의 효소들이 그걸 잘게 부서야하니
온 몸의 단백질 효소의 균형이 깨지며 여러 합병증을 유발을 한다고 봐요.
영양 과잉이 아니라 흡수되지 못한 양분의 고갈상태를
그 몸의 효소 대신 몸 밖에서
이 유산균들이 잘게 분해하여 몸안으로 넣어주니
가능하다는 표현이라 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젖산균이 소멸되고
젖산과 효모균이 활성화 되는 자료 같아요.
거꾸리 포착은 항상 전 단계인거지요.
5.우유의 성분 따라 점도나 맛이 다른것은 모두 인정을 하시지요.
저는 그 외형적인 차이 뿐 아니라
그렇게 적응이 되면서 티벳의 유효 활성 균들도 그 조성들이 달라져서
활성화된다고 봅니다.
직접 체험을 했고
그 티벳이 다른 곳에서도
티벳 만의 능력으로 유지되는걸 봤어요.
하지만
그 유동성은 또 가능한거라 봅니다.
*또 그 곳에서 발현이 많이 될수록 활성화가 될테니까요.
하지만
우유에 부어져 왔는데
씻기니 전혀 다르다는 외부적 변모 양상과는 이 내부적인 균의 재 조성은 다르다고 봅니다.


*우유의 성분 조성에 따라 길들여진 유산균들의 조성도 달라진다고 생각이 되는 자료입니다.
쫀쫀이 정도의 차이도
우유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 이유도 이 우량의 카제인이 잘 발효가 된 상태가 되려면
유효균주들의 수가 많아서 적정 산도(ph)와 수소의 배출을 잘 조절할때라고 봅니다.
*환경조성(우유.온도.통기.빛....)을 맞춰 줘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쫀쫀이,거꾸리는
이 카제인의 응고력에 달린게 아닐까 싶어요.
6.티벳버섯의 발효과정

*젖산 발효와 알콜 발효의 두 단계가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모습을 한 눈에 볼수 있어요.
7.처음 단계인 젖산균에 의해서 당대사 과정에서
젖산+단(이)당류로 분해되면서
이 산이 우유속 단백질인 카제인에 영향을 미치고
이때 나오는 *수소기체와 *산도의 조절이
이 발효에서는
성공여부의
중요한 변수가 되는것이라 봅니다.
*그래서
가만히 두라..
온도유지 해 주라..
어둡고 청결하고
통기 잘되는 곳에 두라..
조언을 드렸구요.
이 다음 단계가 티벳버섯에 주를 이루는 효모균의 등장으로
당이 알콜과 이산화탄소로 발효가 되며
무르게 되는거 같아요.
여기서도
나오는 수소기체가 변수로 작용을 해서
더 무르게 쫀쫀이 유지 등의 모습이 나오는게 아닐런지요.



*일반적인 유산균 발효에서는
균의 오염이나 균수의 저하를 눈으로 코로 맛으로 충분히 알수가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티벳버섯은
첫 번째 단계의 균형이 깨져서 나오는 상태와
티벳버섯의 효모균이 하는 알콜발효의 상태가 유사하므로
그 가늠이 쉽지가 않다고 봅니다.
그래서
우리는
배양실의 인큐베이터 같은 환경을 줄수가 없으니
항상 이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티벳버섯을 키우는 이유는
내가 공들인 만큼 부메랑되어 내게로 오니까 입니다.
내가
우유를 잘게 못 쪼개어 그 완전 식품이 좋아도 흡수를 다 못하는데
그 일을 저 위에 메카니즘데로
바삐바삐 하여
바로 흡수시켜주니까 입니다.
마치
엄마가 아이에게 이유식을 만들어주는 정성
환자에게 포도당 주사나 미음을 주는 사례에 비교하면
제가 티벳버섯을 키우는 이유가 설명이 될까요^^
http://m.cafe.daum.net/smily01/
★티벳버섯 무료나눔 카페★
한적한 싱크대 위가 좋더군요.
어둡다는 말은
온도변화가 작은 곳 의미입니다.
햇빛이 강하게 들어오거나 그래서 온도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곳을 의미합니다.
이글의 본문 내용을 추천드리고 싶었는데
먼저 보셨군요.
이 글의 내용이 쉽진 않지만 흥미롭게 읽었어요. 두고두고 더 읽어야 할듯합니다. 저희집 싱크대 아래는 하부장 문을 자주 열진 않지만 저희집 주방이 화장실과 가까워 깨끗하지 않은 것 같기도 해서 이곳이 통풍이 잘되고 깨끗한가 고민됐어요. 한적하고 해가 들고나지 않는 깨끗한 그런 곳.. 잘 찾아볼게요. 고맙습니다 정은님!^^
@유레카 네^^
무슨말인지 잘모르겠지만 잘읽었습니다 ㅎ
정보 감사합니당😉
처음이신가 보네요.
https://m.cafe.daum.net/smily01/da2F/19?svc=cafeapp
차례차례 티벳버섯이 무엇인지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처음에는 저도 그랬어요.
@정은 앗.....😲
정은님 감사합니당 천천히 잘읽어볼께요♡
단순히 관심있으신것을 넘어서 학술적 조예가 깊으십니다! 확실히 메커니즘을 알게되면 발효과정에서 어떤점이 잘못되었는지, 어떻게하면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지 알 수 있겠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공지들 숙지하려다 귀한 글을 봤네요 요즘 티벳 키우면서 그 원리가 너무 궁금했는데 얼추 알게되어서 기뻐요! 유익한 내용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나눔보다 카페를 하는 이유입니다.
그래서 저도 감사합니다.
티벳버섯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 열정이 보입니다 지식 나눔 감사드려요~^^
저도 감사합니다.
이런 깊이 있는 지식을.. 감사합니다 :)
지피티랑 씨름하면서 약간 듣고 와서 그런지 이해가 약간은 되지만 어렵네요 ㅎㅎ 몇번 더 읽어보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효모균이 우세해서 엄청 고민중이에요
내용을 보자면 산소가 너무 부족하면 술이 되고 산소가 많으면 요거트에 더 가깝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맞는걸까요? 저는 키친타올 한장으로 덮고있는데 산소가 좀 부족한가 싶네요.. 좀더 얼기설기한 삼베 망으로 해봐야겠습니다
댁의 티벳버섯 양과 배양하시는 방법 알려주시면 제가 경험한 선에서 최선을 다해서 도와드려보겠습니다.
@정은 답변 감사합니다 티동이 20그램에 우유 200미리에요. 서울우유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10그램 샀을때보다 많이 자랐지만 여전히 우유술이 되고있어요. 방 온도는 22~23도 거의 일정하고요 어둑어둑한 환경입니다. 집에 망사가 있어서 뚜껑은 망사로 하였고 깜빡하여 14시간 발효하니 또 술이 되었네요 ㅎㅎ
@티동아안녕 제 생각에는 덮개의 문제는 아니고
티벳버섯 양이 너무 많고
티벳버섯이 떠오른 다음 서로 부딪히거나 격쳐서 신 유청들이 많이 빨리 생겨서인듯 합니다.
@티동아안녕 https://m.cafe.daum.net/smily01/XhoS/534
@정은 https://m.cafe.daum.net/smily01/XhoS/532?svc=cafeapp
@정은 아하! 제가 너무 좁고 긴 병에 만들어서 문제였나봅니다 납작한 병에 도전해볼게요.
@티동아안녕 네
그리고
한곳은 티스푼 1로 우유 200미리 로
한번 나눠서 해보시고 맛과 시간 모양등 비교해보세요.
티벳버섯이 문제일때는 우유양과 티벳버섯양
티벳버섯이 자리 잡을 여유로운 공간의 넓이와 깊이의 적절한 용기
외부 날씨
덮개 인듯 하더군요.
덮개는 키친타올 두겹도 괜찮더군요.
처음 젖산발효때는 혐기성
이후 효모균 발효때는 호기성
그 때를 모르는 우리가 취할수 있는게 키친타올 인듯 합니다.
너무 밀패되면 효모균 2차 발효때 방해가 되어 티벳버섯 속 균 조성이 젖산균들 위주로 될거고
너무 열어두면 젖산발효가 방해가 되니 불안정한 효모발효와 뒤섞여 이도저도 안될듯 합니다.
제게는
이론상이니 경험상이나
키친타올 이 적합했어요.
한겹 두겹 정도의 차이는 그닥 못 느꼈어요.
@정은 200미리에 좁은 컵 형태에 발효했더니 발효가 거의 안되었더라고요. 말씀주신것처럼 티동이들끼리 위에 왕창 몰려있어서 그런거 같네요.. 그래서 이번에는 300미리에 납작한 내열용기에 티동이 20그램 넣고 키친타올로 해보았습니다. 납작하니 티동이가 넓게 옆으로 퍼져서 자기들끼리 층지지 않네요 ㅎㅎ 이번에는 잘 되었으면 좋겠어요 자세한 답변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여러가지 방면으로 해보겠습니다
@티동아안녕 네
다시 소식 주세요^^
요즘 비슷한 고민의 질문들을 많이 해주셔서요.
이글의 댓글들 함 보시고
분리배양과 용기 함 조절해실래요?
글로
사진 방벅 보여주시면 더 좋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