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DMS82산악회(대구등산학교 정규반 82기)
 
 
 
카페 게시글
지도/독도법 관련자료 스크랩 등고선의 이해
엄영식(정82) 추천 0 조회 20 10.07.19 16:1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등고선의 이해

이문서는 누구나 어디서나 마음대로 퍼가시고 배포 하셔도 됩니다

지은이 : 한국 독도법 협회 16기 영원한 초보

 

등고선이란?=똑 같은 높이를 높낮이의 표현 방법에 의하여 일정한 선으로 그린 것을 말 합니다

                    이 등고선은 지표면상의 어느 수평면을 자른면 이기 때문에 폐쇄된 곡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폐쇄곡선이란 나선형 처럼 마주 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지형도의

                    등고선을 따라 돌고 돌면 결국은 같이 만나 합쳐 집니다 이것은 똑 같은 높이로

                    그어진 선 이기 때문입니다   어느 지형도에서 등고선이 설사 끊어져 있더라도

                    그 주변의 지형도를 구입한후 계속 선을 따라 그어보면 결국 합쳐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우선 지형도의 단면을 보겠습니다

그림 예시 : 1

 

 이그림으로서 등고선의 높낮이를 알고 계곡과 능선을 알며 경사도 등등을 아신다면 더 이상의

이문서를 보신다는 것이 무의미 합니다

그러나 여기는 독도법을 배우며 함께 공부하는 공간 이기에 한분이라도 산을 사랑 하시고

독도법에 관심을 가지시며 배워 보실 분들은 함께 연구 하며 공부 하여 봅시다

 

먼저 계곡과 능선의 생김새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림 예시 :2

 

위와 같이 능선과 계곡의 생김새는 제 멋대로 생겼습니다

 

그러면 지형도에서 확인 해 보겠습니다

그림 예시 :3

 

보시다 싶이 계곡과 능선은 제 멋대로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보아서는 능선과 계곡을 분간 하기 힘들 것입니다

그래서.....

그림 예시 :4

 

계곡과 능선을 표시 하였습니다

빨간선은 능선이며 파란선은 계곡입니다

위의 보기에서 X828 산 정상 이며 높이를 나타 냅니다

여기서 산 정산에서 보면 능선은 ∩ 이모양이며 계곡은 U 이모양 입니다  

 

그러면 등고선을 그림으로 표현 하면

그림 예시 :5

 

이러한 모양입니다 이를 다시 능선과 계곡으로 구분하면

그림 예시 :6

 

이와 같이 구분이 됩니다

이그림을 보니  능선은 ∩ 모양 이지요

그리고  계곡은 U 이모양 으로 생겼지요

실제 지형에서도 그렇지만 지형도에서도 언제나 계곡이 있어면 능선이 있고 능선이

있어면 계곡이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설명이 이해되지 않으시면 지형도를 한 장 구입하신후 능선과 계곡을 현광펜으로

그어 보세요 계속 그어시면 능선과 계곡이 눈에 들어 올 것입니다

 

이상으로  계곡과 능선의 구분 방법은 이것으로 마치구요

다음에는 등고선을 보고 높이를 아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그림 예시 :7

 

위의 그림이 등고선의 표현 방법이며 높이의표시며 경사도의 표현법입니다

지금 보고 있는 그림은 1:50,000의 지형도입니다

무얼보고 50,000지형도 인줄 아느냐구요?

위의그림에서  숫자 100, 200, 이란 글을 보고 압니다

그러면 숫자 100, 200,이라는 것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다음의 그림을 보겠습니다

 

그림 예시 :8

 

 굵은 선의 숫자가 보이시지요

1:50,000 지형도에서 등고선에 굵은선 쪽을 보면 곳곳에  400, 500, 등등의 글씨가 새겨저 있을 것입니다

이숫자의 의미는 고도(높이)를 나타냅니다

(우리나라의 고도높이를 축정하는 기준은 인천만의 평균 해수면이며 측정하는곳의 위치는 인천

인하대 내에있어며 수준 원점의 높이 26.6871 m입니다)

 

1:50,000의 지형도 에서는 매 5번째의 굵은선에 100의 단위로 숫자가 매겨지며 굵은선 안쪽의 가는선이

매 20 m를 나타내며 이러한 것을 읽으면서 우리는 지형도에서 확인 하고저 하는곳의 높이를 알 수 있습니다

즉 굵은선 의 높이가 100 m 단위 이면 1:50,000 지형도라고 아시면 됩니다

굵은선 의 높이가 50 m 단위 이면 1:25,000 지형도라고 아시면 되구요

그러나 1:50,000 지형도니 1:25,000 지형도이니 하는 것은 이것보다 도엽 번호(참고:지형도의 정보들)

에서 확인이 더욱더 쉽지요

참고로 이러면 1:25,00 지형도가 됩니다 (그림은 같으나 숫자만 다릅니다)

그림 예시 :9

 

그리고 1:50,000 지형도에서는 선 한칸의 높이는(주곡선의 높이) 20 m 이며 1:25,000 에서는 10 m입니다

(여기서 선 한칸의 높이라 하면 등고선을 말 하며 굵은 선 가는선 구분 없이 모든 선을 말 합니다)

그러면 가는선과 굵은 선의 명칭을 알아 봅시다

그림 예시 :10

 

굵은곳은 계곡선 이며 가는곳은 주곡선입니다

계곡선은 고도 "0" m에서 시작 하여 매 다섯 번째 등고선 마다 굵은 선으로 그려져 있어며

선의 중간 중간에 아라비아 숫자가 기록되어 있어 쉽게 고도를 알 수 있습니다

해발의 표고를 계산 하기 위한 등고선이란 의미에서 계곡선 이라 하며 표준이 된다는 뜻에서

지표등고선 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계곡선과 계곡선 사이의 5등분한 4개의 등고선으로 계곡선 보다 가는선으로 그려져 있어며

가장 많이 쓰는 등고선입니다  이등고선은 기복 표현의 중심이 된다 하여 주곡선 이라

하기도 하며 중간 등고선 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간곡선, 조곡선, 저하등고선, 근사등고선 등등이 있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 합니다

 

다음에는 등고선을 보고 경사도를 아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다음의 그림을 보시겠습니다

 

그림 예시 :11

 

그림이 좀 조잡 합니다 전문적인 놈이 아니니 이해 해 주세요

위 그림의 조그마한 부분이 정상이라 생각 합시다

정상을 오르는 것이 힘들다는것은 익히 알고 계시지요 ?????

정상에서 계곡과 능선은 구분 되시지요 모르시면 이문서의 처음을 보세요

어찌 되었던 이러한 모양의 등고선 있습니다

다음은 급경사 (절벽) 입니다

그림 예시 :12

 

동그란? 곳이 절벽을 표시 한 부분입니다

조잡한 그림이 아닌 원본을 한번 볼까요

그림 예시 :13

 

빨간선 안쪽이 급경사(절벽) 지역입니다 아마 이쪽을 가실 려면 코가  바로 땅에 닿을 것입니다

그리고 굻은선은 완만한 경사 입니다

 

또다른 허접한 그림을 보겠습니다

그림 예시 :14

 

완만한 등고선입니다  등고선 간의 간격이 넓지요!

 다음의 그림과 비교 해 보세요

그림 예시 :15

 

위의 그림과 비교 하여 등고선의 간격이 확연히 차이가 나지요!

즉 등고선의 간격이 넓으면 완만한 경사이며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급격한 경사(절벽)입니다

 

그러면 이것을 보고 경사도 는 어떻게 아는냐 하는 것을 배워 보겠습니다

경사도의 측정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경사도에 의한 산출

 1.삼각함수에 의한 경사도 산출

 1.대략적인 경사도 산출

 1.계곡선에 의한 경사도 측정 등등

이상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만은 우리는 마지막 부분 "계곡선에 의한 경사도 측정"

이 방법 으로써 경사도를 측정 하겠습니다

사실 이방법은 정확한 산출 방법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는 실지 산의 축량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냥 저 산을 오를 때 체력이 얼마나 소모될까 하는 것을 알기위한 측정 이기에 정밀을 요하는

측정법은 필요 없지 않나 생각 합니다

그러면 예시 그림부터 시작 합니다

그림 예시 :16

 

이것의 경사각은 30도 입니다

그림 예시 :17

 

 이것의 경사각은 20도 입니다

 그림 예시 :16,17에서 보듯이 여러분이 독도법을 하시면 필히 가지고 다니시는 나침반으로

지형도의 특정 위치 혹은 산행중에 앞에 나타난 경사진 곳의 경사도를 측정하려면 먼저 지형도의

계곡선과계곡선 사이의 길이를 나침반의 변에 있는 자로써 잽니다(측정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 있는 근사치를 찾아서 대략적인 경사도를 알아 볼 수 있습니다

 

계곡선 1칸 (1:25.000은 50m 1:50,000 은 100m) 에 대한 경사각도 조견표

경사각도

지도상의거리

45 도

2.0 mm

40 도

2.4 mm

35 도

2.9 mm

30 도

3.5 mm

25 도

4.3 mm

20 도

5.5 mm

15 도

7.5 mm

10 도

11.3 mm

5 도

22.5 mm

4 도

28.6 mm

그림 예시 :18  **이표를 복사하여 가지고 운행 하십시요**

 

여기서 1:25.000  과 1:50,000 의 계곡선의 길이로 잰 경사도는 두 곳이  동일합니다

단 계곡선과 계곡선간의 거리는 각각 50m와 100m 입니다

 이상으로 등고선의 이해에 대한 허접한 강의를 마치고  다음은 나침반과 자북선 기입에

대한 것을 내가 아는 범위 내에서 기술 하고저 합니다

이문서를 보시는 여러분께서는 만약 오류가 있다면 또한 보충 할 것이 있다면 저에게 기탄없이

충고 해 주시면 즉각 반영 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