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四 巽 庚午 己卯 戊子 丁酉 |
九 離 丙寅 乙亥 甲申 癸巳 |
二 坤 戊辰 丁丑 丙戌 乙未 |
三 震 己巳 戊寅 丁亥 丙申 |
五 中央 辛未 庚辰 己丑 戊戌 |
起 七 兌 甲子 癸酉 壬午 辛卯 庚子 |
八 艮 乙丑 甲戌 癸未 壬辰 |
一 坎 丁卯 丙子 乙酉 甲午 |
六 乾 壬申 辛巳 庚寅 己亥 |
라). 득괘비도
坎
震
艮
龍 |
正龍 |
節氣 |
起甲子 |
六甲頭符 |
周易解 |
遁甲 |
吉星 |
無吉星 |
丙子 |
壬 |
大雪 下元局 |
坎 |
甲戌 9離宮 |
澤水困卦 |
陰遁 |
艮. 震巽. 坤乾坎. |
|
庚子 |
子 |
冬至 中元7局 |
坎 |
甲午 3震宮 |
雷水解卦 |
陽遁 |
八方 |
艮坤 巽離 |
丁丑 |
癸 |
小寒 下元局 |
中宮 |
甲戌 乾6宮 |
風水渙卦 |
陽遁 |
坤 震巽艮 |
乾兌 財官貴人驛馬 |
辛丑 |
丑 |
大寒 中元局 |
離 |
甲午 3震宮 |
風山漸卦 |
陽遁 |
乾 離 震 |
|
戊寅 |
艮 |
立春 下元局 |
離坤 |
甲戌 3震宮 |
地山兼卦 |
陽遁 |
坤離 坎乾 |
巽震 |
壬寅 |
寅 |
雨水 中元局 |
乾 |
甲午 |
火山旅卦 |
陽遁 |
坤 兌乾震巽 |
離艮 |
己卯 |
甲 |
驚蟄 上元局 |
坎 |
甲戌 離坤 |
山雷이卦 |
陽遁 |
艮丙 坎坤離巽 |
|
癸卯 |
卯 |
春分 中元局 |
離 |
甲午 3震宮 |
重震卦 |
陽遁 |
八方 |
巽 |
庚辰 |
乙 |
淸明 上元局 |
巽 |
甲戌 中宮 |
震爲雷卦 |
陽遁 |
坤丙 坎震巽乾 |
艮離 |
甲辰 |
辰 |
穀雨 下元局 |
艮 |
甲辰 |
巽爲風卦 |
陽遁 |
乾丙 艮坎兌坤 |
震巽離 |
辛巳 |
巽 |
立夏 上元局 |
巽 |
甲戌 中宮 |
澤風大過卦 |
陽遁 |
坎 坤離 |
艮巽 |
乙巳 |
巳 |
小滿 下元局 |
艮 |
甲子 3震宮 |
雷風恒卦 |
陽遁 |
坎坤 震艮兌離 |
巽 |
壬午 |
丙 |
芒種 上元局 |
乾 |
甲戌 7兌宮 |
風火家人卦 |
陽遁 |
坤震 巽艮乾離 |
兌 |
丙午 |
午 |
夏至 下元局 |
乾 |
甲辰 2坤 |
地火明夷卦 |
陽遁 |
乾兌 艮坎巽離 |
震 |
癸未 |
丁 |
小暑 上元局 |
艮 |
甲戌 7兌 |
離爲火卦 |
陰遁 |
坎坤離 艮震兌 |
乾巽 |
丁未 |
未 |
大暑 下元局 |
巽 |
甲辰 9離 |
雷地豫卦 |
陰遁 |
兌震艮 八方 |
坎 |
甲申 |
坤 |
立秋 中元局 |
中宮 |
甲申 3震 |
坤爲地卦 |
陰遁 |
坎艮離 兌乾 |
震巽坤 |
戊申 |
申 |
處暑 下元局 |
兌 |
甲辰 3震宮 |
澤地 |
陰遁 |
坎離坤 震艮兌 |
巽乾 |
乙酉 |
庚 |
白露 中元局 |
震 |
甲申 1坎 |
雷澤歸媒卦 |
陰遁 |
八方 |
兌 |
己酉 |
酉 |
秋分 上元局 |
兌 |
甲辰 震 |
雷澤歸媒卦 |
陰遁 |
艮 八方 |
坤 |
丙戌 |
辛 |
寒露 中元局 |
離 |
甲申 7兌 |
天澤履卦 |
陰遁 |
坎 艮乾震坤 |
巽離兌 |
庚戌 |
戌 |
霜降 下元局 |
中宮 |
甲辰 1坎 |
火天大有卦 |
陰遁 |
巽離艮 乾兌坎 |
震 |
丁亥 |
乾 |
立秋 中元局 |
離 |
甲申 7兌 |
雷天大壯卦 |
陰遁 |
震 |
乾 |
辛亥 |
亥 |
小雪 上元局 |
中宮 |
甲辰 坤 |
地天泰卦 |
陰遁 |
乾兌震 |
坤巽 |
巽
|
離 |
坤 |
震
|
中央 |
兌 |
艮
|
坎 |
乾 |
陽遁 |
月 |
11 12 1 2 3 4 5 |
節 氣 |
冬 小 大 立 雨 驚 春 淸 穀 立 小 芒 至 寒 寒 春 水 蟄 分 明 雨 夏 滿 種 | |
上 中 下 |
一 二 三 八 九 一 三 四 五 四 五 六 四 八 九 五 六 七 九 一 二 一 二 三 七 五 六 二 三 四 六 七 八 七 八 九 | |
陰遁 |
月 |
5 6 7 8 9 10 11 |
節 氣 |
夏 小 大 立 處 白 秋 寒 霜 立 小 大 至 暑 暑 秋 暑 露 分 露 降 冬 雪 雪 | |
上 中 下 |
九 八 七 二 一 九 七 六 五 六 五 四 三 二 一 五 四 三 一 九 八 九 八 七 六 五 四 八 七 六 四 三 二 三 二 一 |
旬 |
六甲 |
三元 |
六甲 |
三元 |
符頭 |
甲子 |
乙 丙 丁 戊 丑 寅 卯 辰 |
上元 |
己 庚 辛 壬 癸 巳 午 未 申 酉 |
中元 |
戊 |
甲戌 |
乙 丙 丁 戊 亥 子 丑 寅 |
下元 |
己 庚 辛 壬 癸 卯 辰 巳 午 未 |
上元 |
己 |
甲申 |
乙 丙 丁 戊 酉 戌 亥 子 |
中元 |
己 庚 辛 壬 癸 丑 寅 卯 辰 巳 |
下元 |
庚 |
甲午 |
乙 丙 丁 戊 未 申 酉 戌 |
上元 |
己 庚 辛 壬 癸 亥 子 丑 寅 卯 |
中元 |
辛 |
甲辰 |
乙 丙 丁 戊巳 午 未 申 |
下元 |
己 庚 辛 壬 癸 酉 戌 亥 子 丑 |
上元 |
壬 |
甲寅 |
乙 丙 丁 戊卯 辰 巳 午 |
中元 |
己 庚 辛 壬 癸 未 申 酉 戌 亥 |
下元 |
癸 |
바). 투지60용 절기 배치도
地盤正針 |
五 氣 脈 |
節 氣 |
비 고 |
자 |
甲子 丙子 戊子 庚子 壬子 |
大雪. 冬至 |
24절기를 투지60용에 배분함 투지60용의 무자정중을 동지 입절로 시작하여 오중에 망종에 이르르고 갑오의 정중에서 하지를 시작하여 자중의 대설에 이른다. 이는 정침의 자초가 되고 인반의 자정중이 되며 352.5° 가 되는 곳이다. |
축 |
乙丑 丁丑 己丑 辛丑 癸丑 |
小寒. 大寒 | |
인 |
丙寅 戊寅 庚寅 壬寅 甲寅 |
立春. 雨水 | |
묘 |
丁卯 己卯 辛卯 癸卯 乙卯 |
驚蟄. 春分 | |
진 |
戊辰 庚辰 壬辰 甲辰 丙辰 |
淸明. 穀雨 | |
사 |
己巳 辛巳 癸巳 乙巳 丁巳 |
立夏. 小滿 | |
오 |
庚午 壬午 甲午 丙午 戊午 |
芒種. 夏至 | |
미 |
辛未 癸未 乙未 丁未 己未 |
小暑. 大暑 | |
신 |
壬申 甲申 丙申 戊申 庚申 |
立秋. 處暑 | |
유 |
癸酉 乙酉 丁酉 己酉 辛酉 |
白露. 秋分 | |
술 |
甲戌 丙戌 戊戌 庚戌 壬戌 |
寒露. 霜降 | |
해 |
乙亥 丁亥 己亥 辛亥 癸亥 |
立冬. 小雪 |
사). 투지60용 성숙 배치도
東方七宿 : 角(12度) 亢(19度) 氐(15度) 房(5度) 心(5度) 尾(18度) 萁(11度)
北方七宿 : 斗(26度) 牛(8度) 女(12度) 虛(10度) 危(17度) 室(16度) 壁(9度)
西方七宿 : 奎(16度) 婁(12度) 胃(14度) 昻(11度) 畢(16度) 觜(2度) 參(9度)
南方七宿 : 井(33度) 鬼(4度) 柳(15度) 星(7度) 張(18度) 翼(18度) 軫(17度)
이십팔숙의 도수는 전하는 문헌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서에서는 홍연진결을 인용하였다. 위의 28숙은 모두365도25분으로 양력(태양기준)으로 360도 선상에서천성이 일 주천하여 일 년을 이루어 가는 이치에 맞추어 놓은 것이다.
아). 28宿 五行
28숙을24방위에 배치하여 火(갑경병임. 자오묘유) 水(인신사해) 木(건곤간손)金(진술축미) 土(을신정계) 배치하였으며 사정 방에는 일월을 동궁 시키어서 천성의 강림을 인반중침에 귀속 시키고 사격을 육친으로 대조하고 좌산과 좌의 혈성의 생극 관계를 가리는 것이다.
人盤中針 |
獸 形 |
星宿五行 |
壬 |
제비 燕 (연) |
火 |
子 |
쥐 鼠 (서) |
火 |
癸 |
박쥐 蝠 (복) |
土 |
丑 |
소 牛 (우) |
金 |
艮 |
게 蟹 (해) |
木 |
寅 |
범 虎 (호) |
水 |
甲 |
여우 狐 (호) |
火 |
卯 |
토끼 兎 (토) |
火 |
乙 |
담비 狢 (학) |
土 |
辰 |
용 龍 (용) |
金 |
巽 |
교룡 蛟 (교) |
木 |
巳 |
뱀 蛇 (사) |
水 |
丙 |
사슴 鹿 (록) |
火 |
午 |
말 馬 (마) |
火 |
丁 |
노루 獐 (장) |
土 |
未 |
양 羊 (양) |
金 |
坤 |
들개 豻 (한) |
木 |
申 |
원숭이 猴 (후) |
水 |
庚 |
까마귀 烏 (오) |
火 |
酉 |
학 鶴 (학) |
火 |
辛 |
꿩 雉 (치) |
土 |
戌 |
개 狗 (구) |
金 |
乾 |
이리 狼 (랑) |
木 |
亥 |
돼지 猪 (저) |
水 |
갑경병임은 화에 해당한다.
8). 天盤縫針
지반정침을 선천팔괘인 하도를 체로 하였다면 천반봉침은 후천팔괘 낙서를 용으로 사용하였다. 선천은 남북을 360도 선상에서 자오 중으로 정하였지만 천반봉침은 지자기를 중심하여 자편각을 사용하였다.
가). 구성수법
12운성의 장생법을 구성에 배치하면 장생을 시작점으로 하고 포는 절에 해당하여 무한공간의 점멸된 기운으로 간주한다. 구성에서의 12운성과 구성수의 특성을 양공 구빈수법가를 인용한다.
(1). 탐랑성(養生)
양생방에서 물이 흘러 향앞에 이르면 장남장손이 부귀하며 충성하고 현량한 인물이 난다.
-큰물이 구불구불 굽어서 향 앞으로 흘러들면 관직이 높아지고 작은 물이 감싸고돌면 오래장수하며 복되게 살아간다.
-지지로 들어오는 것은 겁낸다. 젊은이가 죽고 장남의 후손이 끊어진다.
-양생방으로 물이 흘러나가면 자손이 끊어지는 화가 있으니 젊은 과부가 외롭게 빈방을 지키리라.
(2). 문곡성(목욕)
-목욕 방에서 물이 들어오면 여자들이 음란하게 되고 강물에 투신자살 또는 목매여 자살하는 일이 있고
-남의 꼬임에 빠지는 일을 당하게 되며 중병을 앓고 관재로 집안이 망가진다.
-자나 오방에서 흘러들어오면 사업에 실패하고 묘나 유방에서 흘러들어오면 도박과 사치하며 탕아가 된다.
-만약 목욕 방에서 수가 들어와서 생방으로 흘러나가면 살림은 망가지고 색정으로 파탄과 수감생활을 면치 못하리라.
-지지 방으로 흘러나가면 부끄러운 줄을 모른다.
(3). 문창(문곡)성 (관대)
-관대방의 수가 흘러서 향 앞으로 들어오면 자손이 총명하다.
-풍류를 좋아하며 도박과 사치도 좋아한다.
-칠세의 어린아이가 시를 지을 정도로 똑똑하며 문장으로 만인에게 자랑한다.
-만약 물이 흘러나가면 가장 흉하니 어린 아동이 죽는 이유가 되고 집안 아녀자들이 피해를 입게 되리라.
-이 방위에서는 물이 흘러나가지 않고 멈추면 길하다.
-병 사방에서 흘러와서 충 하면 두려운 것이다.
-주색으로 음탕하여 늙은 부모의 애간장을 끊인다.
(4). 무곡성(임관)
-임관 방에서 물이 모여들면 녹마가 되니 기쁘기 새로워라. 젊은 나이에 청운에 길을 가고 임금을 보필하는 어진 재상이 되리라.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이 방위로 산과 물이 함께 나가는 것이다.
-장성한 자손이 저승길로 행하고 집안에는 과부의 곡소리가 끊이지 않고 재물은 없어지고 자손은 찾아보기 어려워라.
-병사수가 임관 방을 충 하면 피를 흘리며 토하고 고상한 재주일수록 실패하며 둘째가 먼저 화를 입는다.
(5). 무곡성(宰旺)
-제왕방의 수가 향 앞으로 흘러오면 명당의 왕성한 기운으로 재물은 모이고 벼슬은 높아지고 이름을 날리며 풍성한 곡식과 돈이 쌓이리라.
-가장 겁나는 것은 생방에서 물이 들어오지 않고, 死 絶 방위 에서 물이 들어와서 왕방으로 나가는 것이니 살림이 뿌리까지 뽑히니 먹을 식량조차 없어지니 하늘을 우러러 가난을 원망하리라.
-갑 경 병 임 방위에서 수가 흘러들어오면 모든 자손이 다 잘되리라.
만약지지에서 들어오면 작은 아들은 발달이 부족하리라.
(6). 거문(쇠)
-衰 방위를 거문성이라고 하며 학당이 된다. 여기에서 물이 흘러오면 총명한 자손이 난다.
소년으로 급제하고 문장가가 나온다. 장수하고 금전도 가득하다.
-왕방에서 물이 들어오거나 나가도 좋다.
-단지 구불구불 굽어서 들어오거나 고여 있으면 가장 정답다.
-쇠 방위로 수가 비스듬히 흘러나가면 사치와 음란이 그치지 아니한다. 벼슬은 하여도 내시와 환관이다. 도심이 발동하리라. 이 방위에 도로가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7). 염정(병사)
-병사방의 수는 절대로 들어오지 말아야 한다. 득과 파가 되지 않는다면 시험에 합격하여 벼슬이 높아지리라.
-물이 이 방향으로 비스듬히 흘러나가면 큰 재앙을 입으리라. 재혼을 하게 되며 음독자살과 총칼의 화가 닦치고 다리를 절게되고 낙태를 하리라.
-반드시 이러한 해를 만나 뼈골이 앙상하리라.
-병사방위에서 들어오는 물은 흉하지만 묘향을 한다면 무방하다. 풍병이 들긴 하지만 부귀는 든든하다.
(8). 파군성(묘)
-묘고에서 수가 들어오는 것은 마땅치 않으나 흘러나가는 것은 도리어 기쁘니 진중에서도 이름을 날리며 문무에 귀를 누린다.
-못이나 웅덩이가 이곳에 있으면 갑부가 날것이지만 탕연하게 흘러나가면 진안의 재물은 쇠하여지니 마침내 부체로 인하여 명을 다하지 못하리라.
-수가 들어오면 천리밖에 군병으로 차출되고 많은 자식들이 시들어지리라.
-묘방에 수가 있으면 횡재를 잡으리라. 부귀하고 인물도 흥한다. 지지를 충사하면 세아들 중 하나는 흉하리라.
(9). 녹존(절태)
-절 태수가 들어오면 임신방위가 충이 되니 후손이 끊어진다.
-아이가 있어도 기르기가 어렵고 부자간에 혜여지고 부부도 이별수로다.
-많은 물이 흘러들면 음란하여 도망가고 작은 물이라면 천천히 음란하다.
-지지로 흘러들어오면 장차남 모두가 재앙을 받는다.
나). 오행생왕사절봉생봉왕론
무극의 천지에서 태극이 생기고 태극은 일동하여 음양을 잉태하고 음양은 사상과 팔괘를 낳으니 선천의 체와 후천의 용으로 분류하였고 오행이 24방위로 분류되어 생생불식으로 互換되고 있음에 사방의 방위에서 주재하는 신이 있으니 이 신이 오행인데 토만은 중앙을 관장하는 신이라 방위가 없이 네 개의 신이 원활하게 이어지도록 중매 역할을 한다.
이는 오행이지만 사경오행이라 한다.
동방은 목신이 주재하고 서방은 금신이 주재하고 서방은 금신이 주재하고 남방은 화신이 주재하고 북방은 수신이 주재한다. 자신이 주재하는 방위에서는 자신이 가장 왕성하여 주인의 위치로 군림한다.
동방의 목은 남방을 지나면서 목신은 절멸의 상태에 이른다. 목의 절지에서 수는 장생하니 목의 대를 이어주는 수를 절처자생이라 한다.
고로 오행은 자신을 있게 해준 원신을 그리워하며 생왕휴수의 이치에 조금도 차질없이 운행하게 된다. 하늘에는 천간의 음양이 있고 땅에도 지지의 음양이 있다.
하늘의 사계절 사방위의 양간 갑경병임의 천간은 지지의 사생지(인신사해)에서 함께 생하고 사왕지(자오묘유)에서 왕하고 사묘지(진술축미)에서 갈무리 한다.
이렇게 사경오행은 태어나고 성장하여 결실하는 순환의 이치를 질서 정연하게 호리의 오차도 없이 이루지고 있다.
풍수학에서는 이를 적용하여 천간 중 양이 동하는 기운을 보아서 납수와 향에 두어 천반 봉침으로 판별하도록 하였다. 천간 중 음이 정하는 기운을 보아서 산용과 입수에 두어 이기를 격정하는 것이다.
다). 사국별생왕호용
천성인 천간을 음양으로 구분하여 갑경병임은 양이니 양간이 땅에 내리면 양이 동하는 수가 되니 천반봉침으로 수의 득 파인 水路를 측정하고, 을신정계는 음이니 정한 지반정침으로 산용의 左․右旋과 삼입수(入首. 入手. 入路)를 격정 한다.
계와 갑의 영은 사귀어 합한다.
천간의 양인 갑목은 천간의 음인 계와 지지의 해묘미의 목국으로 합한다.
목국의 수구는 정미이니 지반정침에서 정미 곤신 경유의 글자상 방위가 파구를 이룰 때 계와 갑이 교구하는 목국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파구에 개념은 수의 흐름으로 사대국을 정할 때 수가 점멸하는 곳 즉 당내의 기운이 흘러나가서 절멸한 상태에서 수가 자생하는 곳이 된다. 이러한 목국에서의 용맥을 향으로 사용 할 수 있는 향법이 있다.
을과 병은 사귀어 교구한다.
라). 14진신 수법
정생향. 정왕향. 정묘향. 정양향. 절처자생 자왕향(절처자생 문고자생 생향절파 절처자왕 문고자왕) 태향태류 쇠향태파. 위의 진신수법은 각 향마다 특수한 법칙이 있으니 본국과 향상을 양용한다.
향상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향상오행을 논하여 본다.
쌍산오행을 향상에서 찾아내는 것이 향상오행이다.
간인 손사 곤신 건해는 사생이 되고 갑묘 병오 경유 임자는 사왕이 되고 계축 을진 정미 신술은 사묘가 된다.
고로 향상에서 12운성을 일으키니 진신수법의 특수성을 알아보자.
첫째 : 정 생향은 수구를 관별 하여 장생의 향을 하게 되려면 분명히 우수가 좌측으로 흘러 묘 고방으로 나가야 한다.
(천간자7. 지지자3이 가장 이상적이다)
둘째 : 정 왕향은 수구를 관별 하여 정왕의 향을 하게 되려면 분명히 좌수가 우로 흘러 묘방으로 나가야 한다.
셋째 : 정 묘향은 좌수가 우로 흘러 분명히 절 방으로 나가야 한다.
(이때 수구가 아주 가깝고 혈장이 휼륭 하다면 묘방으로 나감을 허용한다.)
넷째 : 정양향은 우수가 좌로 흘러 분명히 절방으로 나가야 한다.
다섯째 : 사절 처에서의 자생과 자왕향은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차고 소수 절처 자생향
수구를 판별하여 본국오행이 절방이 되면 다시장생을 얻는 오행이 있다고 위에서 논하였다. 이는 분명히 절처에서 만이 자생할 수 있다.
즉 절멸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오행으로 대물림 되는 것이다.
우수가 좌로 흘러 묘고방으로 소수하여야 한다.
-문고소수 절처 자생향
문고란 12운성을 구성으로 분류하면 목욕과 대가 문곡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목욕의 방위로 소수되면 문곡을 고로 삼게 되니 문고가 된다.
절처에서 자생향을 하게 되고 좌수가 우로 흘러 향상에 목욕방으로 나가야 한다.
즉 구성법으로 이향을 녹존 소수라 하는데 12운성을 구성으로 분류하면 절태방이 녹존에 해당된다. 녹존소수라함은 본국에서 태방으로 소수됨을 이르는 말이다.
고서인용(祿存流盡佩金魚)
-생향 절파 자생향
절처에서 생향을 하고 수가 당면인 절방으로 나가는 수법인데 이때에는 분명히 우수가 크게 득수 되어서 나가야 한다. 만약 좌수가 크면 沖生이 되며 수가 흘러들어오는 것보다 나가는 파구가 길거나 멀어도 이 향을 허용할 수가 없으며 진용진혈을 요한다.
-차고소수자왕향
향상에서 宰旺을 얻고 수는 수구의 본국 묘 고방으로 消水되는 법이다. 즉 향상에서의 재왕향을 하고 본국에 庫를 빌리는 방법이다. (惟有衰方可去來)
-문고소수자왕향
-이 방위의 수는 나가는 것이 마땅하니 여기로 흘러나가면 조정의 관복을 입은 벼슬을 하리라.
쌍산 임자를 봉침에서는 천간자 임으로 얽혀 있으니
- 天卦를 中心하여 分金을 나열한다.
- 地盤正針을 基準하여 水法 境界의 限界를 表示한 곳임
- 向을 세울 때 使用하고 水의 得 破 및 來 去를 보는 곳이다.
- 元 觀 竅 法=三中 向法=天人地 三合法 等으로 다르게 불리 우나 최종마무리 段階라 할 수 있다.
9). 120分金
분금은 12지지에 오운갑순을 적용하여 천간12방위와 지지12방위를 합하여 120등분으로 나누어 120분금이라 칭한다.
분금은 장사를 지내는데 지사가 인위적으로 취흉피길 하는 공법이라 할 수 있다.
분금은 입수맥의 연장선이라 한다.
입수맥은 천조지설이기에 사람의 눈으로 가려져야 하고 이때120분금을 적용 길흉을 구별 하여야 하고 분금은 입수맥의 연장선인 태골용과 라성 사수를 연결한다.
伏 起 龍 落 入首 坐 得 破로서의 형기법과 이기법으로 穴板을 찾고 혈판의 善惡은 일기법에 분금을 擇一하여 결정한다.
분금의 의의와 120분금
선천팔괘의 정위는 건은 하늘 곤은 땅으로 건은 순양 곤은 순음으로 분류하고 건금이 일양을 시생함으로 만물이 생성 할 수 있는 기원이 시작되며 24산에 오운으로 120등분하여 일양 즉 일금씩 나누게 되니 일산 오등분하여
24개 방위가 1개 방위 마다 5등분하면 모두가 120으로 나누어지니 120분금이 되고
24개의 방위를 1방위마다 10등분으로 나누면 240이 되니 240분금이 된다.
240수는 후천낙서의 구궁수로 15수를 얻어 종횡으로 16방위의 마방진이 되니 240이 된다. 24산은 매산마다 15도씩을 차지하고 120분금은 일금3도씩으로 분배되고 240분금은 1.5도씩에 공히 배속된다. 분금의 등분을 아래에서 논한다.
3․7분금과 2․8
1산을 10등분으로 쪼개어 내면 24산은 모두240등분으로 나누어진다.
360도를 240으로 나누면 1등분은 1.5도가 된다.
분금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느냐를 따져서 3․7또는 2․8또는 4․6분금이라 하며 천산과 투지도 이에 준하여 분수를 논한다.
자의 정중 좌우로는
분금의 고허 왕상과 살요
분금을 사용함에 천산용과 고허용의
분금을 사용함에 있어서 정침의 분금을 봉침에 引從하여서 사용함이 가장 원칙이다.
(정침분금참조)
정침분금을 천지자연의 근원적 조화의 본체로 삼고 봉침분금은 근원에서 화생된 변화의 유동적 이치라 할 것이다.
- 人間의 靈이 天國을 到來하는데 使用하는 秘法이다.
- 三元大卦 를 이루며 天. 人. 地를 區分한다.
天은 120分金=貴=子. 午. 卯. 酉
人은 120分金=孫=寅. 申. 巳. 亥
地은 120分金=富=辰. 戌. 丑. 未
- 分金 法은 最終 葬事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함.
- 分金은 內 分金(穿山72龍) 外 分金(120分金)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外分金은 3度를 管掌하여 生旺氣線을 納音 五行으로
適用하여 亡命과 坐와 入路 水口 子孫의 生年 等에 의해 適用
된다.
카. 천반봉침
천반봉침은 청낭경에서 자세하게 논하였는데 이를 인용하여서 서술하겠다.
靑囊經(청낭경)은 現存(현존)하는 最高(최고)의 原典(원전)인 欽定四庫書(흠정사고서)를 引用(인용)하여 正法(정법)에 대한 眞理(진리)를 楊均松(양균송)이 평생을 통해 완성한 大作(대작)이라고 말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공혼자서 완성한 것은 아니다. 그 부족한 부분을 증공이 성가를 했다.
天盤縫針(천반봉침)은 水法(수법)을 다루는 것이다.
雌雄(자웅)이란 곧 산수를 말한다.
수는 양이면서도 雌(자)가 되고 산은 음이면서도 雄(웅)이 된다.
또 一說(일설)에는 左旋(좌선)하는 산수는 양으로서 雄(웅)이 되고 右旋(우선)하는 산수는 음이라 雌(자)가 된다는 학설도 있다.
이와 같은 음양론에 있어서는 제서의 주장이 모두 같지가 않다.
그러나 첮 번째의 주장은 動靜(동정)과 高低(고저)를 혼합하여 음양을 분한 사례가 되므로 양면이다 타당한 예가 된다.
그래서 산을 음이라 한 것은 산은 靜(정)하기 때문이요 수를 양이라 한 것은 수는 動(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는 動(동)이면서도 雌(자)라하고 산은 靜(정)이면서도 雄(웅)이라 한 점은 수는 비록 動(동)이나 그 位(위)는 低下(저하)하고 산은 靜(정)이지만 그 位(위)가 高峻(고준)하기 때문에서 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제서마다 위전을 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오직차서만이 진전일 뿐이다.
이는 수법을 원초적인 유래를 밝힌 말로서 이는 곽 경순이가 음양지술을 득한 뒤에 이로서 성현이 남긴 제경들의 뜻을 바로 세웠으니 이것이 곧 현공 수법인 것이다.
현자란 묘한 뜻을 담고 있으며 공이란 용이 그 향을 쫓지 않는 것을 말한 곧 불종용이 종향야라고 한말의 뜻이 그것이다.
용종천이요 성향유인입이라 했으니
용은 하늘을 향할 뿐이고 사람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주작은 향을 말하니 수는 반드시 생왕묘를 거처서 다시금 나누어지는 것이므로 수의 발원지는 향가의 생기를 쫓는 길방이 되기에 래원이 생방이 되게 하는 것이다.
장서에 이르기를 朱雀原於生氣(주작원어생기) 破於未盛(파어미성) 朝於大旺(조어대왕) 澤於將衰(택어장쇠) 流於水射也(유어수사야)라 한뜻이다.
주작은 그 근원이 생기에서 유래되지만 그것이 향에 이르기 전까지는 흩어져서 미미하게 흐르다가 향에 이르러서야 왕세를 형성하고 마침내 커다란 택지를 이루었다가 차츰 쇠지를 지나 사수지방을 거쳐서 마지막으로 귀거하는 곳이 묘방이 되는 것이니 이것이 곧 정고소수법으로 대개의 이와 같이하여 정해지는 것이니 이것은 천연이 아닌 인유로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人爲的(인위적)으로 消納(소납) 歸庫(귀고)하게 하는 것을 玄空(현공)이라 하고
이때 雙山五行(쌍산오행)을 使用(사용)한다.
龍(용)은 雙山(쌍산)의 行步(행보)로서 立向(입향)을 하기 때문이다.
구궁수법
탐랑성(양생)
양생방에서 물이 흘러 향 앞에 이르면 장남 장손이 부귀하며 충성하고 현량한 인물이 난다. 큰 물이 구불구불 굽어서 향 앞으로 흘러들면 관직이 높아지고 작은 물이 감싸고돌면 장수하며 복되게 살아간다.
양생방으로 물이 흘러나가면 자손이 절손되는 화를 당하며 젊은 과부가 애처로이 빈방을 지키게 된다.
문곡성(목욕)
목욕 방으로 물이 흘러들어오면 여자들이 음란하게 되고 강물에 투신자살하는 일이 있고 꾀임에 빠지는 일을 당하고 중병을 알고 관재구설로 집안이 망한다.
자 오방에서 흘러오면 사업에 실패하고 묘 유방에서 흘러오면 도박과 사치를 하며 탕아가 된다. 목욕 방에서 수가 흘러 들어와서 생방으로 흘러나가면 살림이 망가지고 색정으로 파탄하며 수감생활을 면치 못하리라.
문창성(관대)
관대방의 수가 흘러서 향 앞으로 들어오면 자손이 총명하다.
풍류를 좋아하며 도박과 사치도 좋아한다.
칠세의 어린아이가 시를 지을 정도로 똑똑하며 문장으로 만인에게 자랑한다.
그러나 물이 흘러나가면 어린아이가 죽게되고 집안 아녀자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
이방위에서는 물이 흘러나가지 않고 머므르면 길하게 된다.
무곡성(임관)
임관 방에 물이 모여들면 녹마가 되니 기쁘기 새로워라. 젊은 나이에 청운의 길을 가고 임금을 보필하는 재상이 된다.
그러나 이방위로 산과 물이 함께 나가는 것은 장성한 자손이 저승길로 행하리니 집안에는 과부의 곡소리가 끊이지 않고 재물은 사라지고 자손은 찾아 보기어려우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