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DMS82산악회(대구등산학교 정규반 82기)
 
 
 
카페 게시글
지도/독도법 관련자료 스크랩 지형도의 정보(내,외도곽에 있는정보들)
엄영식(정82) 추천 0 조회 22 10.07.19 16:1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이번 시간에는 지형도의 내,외도곽에 있는 정보들을 알아 보겠습니다

학습용으로는  도엽명 대율 1:25,000 지형도 로써 알아 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의 붉은색은  내도곽 입니다

 당연이 붉은색 바깥쪽이 외도곽 이구요

그러면 내,외도곽에는 어떠한 정보가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로,철도 도달의 주기의 위치는 지형도 마다 바뀝니다 이는 내도곽에 있습니다

그러나 도엽명 도엽번호 수치번호의 위치는 언제나 그자리를 꿋꿋이 지키고 있습니다 외도곽에 있습니다

우선 위의 네곳을 확대 하여 어떠한 정보가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로 철도 도달주기의 확대 사진 입니다

위 사진의 내도곽 안에 갑현 1.6Km 가 보이지요

이말은 이도로를 따라서 1.6Km 를 가면 갑현이라는 마을이 나온다는 말 입니다

역시 내도곽 안의 신녕역 5.8Km 는 이철도를 따라 5.8Km 를가면 신녕역이 나온다는 말 입니다

이 도로 철도의 도달주기의 지형도에서의 위치는 항상 유동적 입니다

도로와 철도는 그자리를 지키지 않고 항상 움직이가 때문 입니다

 

다음은 도엽 번호 입니다 이는 외도곽에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1:25,000 지형도 란 말은 1:25,000의 축적의 지형도를 가리키는 말 입니다

그리고 도엽 번호 NJ 52-14-25-4 란 것이 도엽 번호 입니다

이 영문 및 숫자의 의미는 생략 하겠습니다

여기는 전문적인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닌 생활속의 독도법을 지향하고 등산의 독도법을 위한

공간으로써 도엽 번호 NJ 52-14-25-4 의 구성요소까지 아실 필요가 없다고 판단 되기 때문 입니다

참고로  이문서를 보시는 분이 지형도를 구입 하실 때  지형도 NJ 52-14-25-4 를 주세요

하던지 다음에 나올 도엽명으로 주문 하셔도 구입하실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도엽명으로 주문합니다 그것이 더 편하니까요!

 

독도법을 처음 배우시는 분은 축적. 도엽 등등 생소한 용어를 많이 접하실 것 입니다

이러한 생소한 용어는 계속되는 문서로써 설명을 대처 하겠습니다

 

다음은 도엽명 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는 지형도의 상단 외도곽 중앙에 위치 하고 있어며 통상적으로 지형도의 최대 도시명으로

도엽명을 정 합니다 그러나 드물게도 저명한 문화적 또는 지리적 지형지물의 이름을 따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은 수치 번호 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수치 번호도 도엽번호와 유사 합니다

수치 번호의 용도는 한국의 국토 지리 정보원에서 현재의 지형도를 정리하면서 현 추세에 ?추어

모든 것을 디지털화 하여 새로운 이름을 부여 한 것 입니다

즉 디지털 지도를 구입 하실려면 이 수치번호로 주문 하셔야 합니다

 

다음은 직각 좌표 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붉은색의 색체 안에 직각좌표가 돌아가며 1:25,000의 지형도에는 4Cm 1:50,000의 지형도에는 2Cm

간격으로 가는선(티크:tick)을 긋고 3자리의 아라비아 숫자가 매겨져 있습니다

 

 


 

 

한번 확대 해 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편의 3개의 예시에 3자리 아라비아 숫자가 평면 직각 좌표 입니다

이 직각 좌표는 사실 지형도에서 위치를 ?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하여 이직각 좌표에 대한 설명이 상세 하여야 하나 우리는 위치를 찾는데

평면 직각좌표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고저 합니다

그래서 설명을 생략 합니다(사실 굉장이 복잡하고 설명하려면 어렸습니다)

그러나 다음 기회에 분명히 정리 하여 올리겠습니다

 

!! 그리고 3자리 숫자의 간격의 사이는 25,000지형도는 4Cm이고 이는 1Km 를 나타냅니다

당근 50,000지형도는 2Cm이고 이도 1Km 를 뜻 합니다

 

 


빨간선의 동그라미 부분이 경도 및 위도의 위치를 표시한 부분 입니다

파란선과 노란선은 임의로 그은 선 이고 파란선은 경도선 이라하며 노란선은 위도선 입니다

경도선 이라 함은 본초자오선(그리니치)에서 0도로 기준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180도의

숫자을 붙여 동경 00도라 읽어며 서쪽으로는 역시 180도의 숫자를 붙여 서경 00도라 읽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127 128 129도 의 경도선에 위치 해 있습니다

그리고 동경은 “E” 서경은 “W” 라는 기호를 붙여 구분 하여야 합니다

 

위도선은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북쪽으로 90도 남쪽으로 90도의 숫자를 붙여  북위 00

남위 00도 라 읽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35 36 37 38 (이상 남쪽 기준)의 선상에

위치해 있어며 북위 37도 등으로 읽습니다

또한 위와 마찬가지로 북위는 “N”  남위는 “S” 라는기호를 붙여 사용 합니다

지형도의 윗 부분도 똑 같이    42’30”   40’00”로 되어 있습니다

지형도의 경,위도 부분이 이렇게 내도곽 내에 위치하여 앞으로 배울 나의 위치를 ?아야 할

경우 그리고 나의 위치를 알려줄 때 의 지표 역할을 합니다 우선은 이장에서는 이런한 정보들이

내도곽에 있다는 것 만 알고서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다음으로 내도곽 에는 아주 중요한 정보가 있습니다

독도법을 하실려면 다음의 설명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빨간선의 동그라미 부분이 경도 및 위도의 위치를 표시한 부분 입니다

파란선과 노란선은 임의로 그은 선 이고 파란선은 경도선 이라하며 노란선은 위도선 입니다

경도선 이라 함은 본초자오선(그리니치)에서 0도로 기준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180도의

숫자을 붙여 동경 00도라 읽어며 서쪽으로는 역시 180도의 숫자를 붙여 서경 00도라 읽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127 128 129도 의 경도선에 위치 해 있습니다

그리고 동경은 “E” 서경은 “W” 라는 기호를 붙여 구분 하여야 합니다

 

위도선은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북쪽으로 90도 남쪽으로 90도의 숫자를 붙여  북위 00

남위 00도 라 읽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35 36 37 38 (이상 남쪽 기준)의 선상에

위치해 있어며 북위 37도 등으로 읽습니다

또한 위와 마찬가지로 북위는 “N”  남위는 “S” 라는기호를 붙여 사용 합니다

 

지형도의 경,위도 부분이 이렇게 내도곽 내에 위치하여 앞으로 배울 나의 위치를 ?아야 할

경우 그리고 나의 위치를 알려줄 때 의 지표 역할을 합니다 우선은 이장에서는 이런한 정보들이

내도곽에 있다는 것 만 알고서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그러면 위의 동그라미부분을 확대 하여 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형도 좌측 윗 부분 입니다                                                지형도 좌측 아래 부분 입니다

 

 

지형도 우측 상 부분 입니다                                             지형도 우측 하 부분 입니다

 

지형도 우측의 변 부분 입니다                                           지형도 우측의 변 부분 입니다

지형도의 좌측 부분도  똑 같이  02’30”    05’00”로 표기 되어 있습니다

 

 지형도 아래측 입니다                                                   지형도 아래측 입니다

지형도의 윗 부분에도 똑같이 42’30”   40’00” 으로 표기 되어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는 난외 주기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이 난외 주기에는 다음의 정보들이 있습니다

지도를 볼수 있는 각종 기호, 지도 제작 년 월일,  축적(도표척도),  인접 도엽표   편각도표 등등

이 외에도 여러가지 있어나 나머지는 생략 하고 위에 기술한 것에 대한 대략적인 것을 강좌 하고저 합니다

 

먼저 지도 제작 년 월 일 입니다 위 기준 사진에 이색갈로 표현 하였습니다

 

될 수 있어면 최근에 수정 된 것을 구입 하시기 바랍니다

간혹 지도 판매처에서 오래된 것을 판매 하는 경우가 있어니 꼭 확인 하세요

 

다음은 축적 입니다  위 기준 사진에 이색갈로 표현 하였습니다

지형도의 외도곽 하부 중앙에 위치 해 있어며 미터(m)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도상거리(지도상의 거리)를 지상거리(실제 지형의 거리)  환산하기위한  일종의 자 입니다

이 축적은 분수로 나타내며 지상거리에 대한 도상거리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이는 도표 척도로 읽습니다

 

Gps 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위의 도표척도 란에 1번 측량의 기준이 무엇인지를 필수적으로 파악 하여야 합니다

 

위의 도표 척도란의 맨 윗쪽에 (1cmm=250m) 가 보이지요

말 그대로 도상거리(지도상의 거리) 1cm는 실제 거리 250m란 말 입니다

 

 

다음은 인접 도엽표 입니다 위 기준 사진에 이색갈로 표현 하였습니다

이의 사용용도는 지도 구입시 동,,,북등

각각의 위치를 파악 하여 구입을 용이 하게 하며 인근의 도엽명을 알수 있개 합니다

 

다음은 편각 도표 입니다 위 기준 사진에 이색갈로 표현 하였습니다

 


지도상의 방위를 명확 하게 하기 위하여

진북, 도북, 자북의 방향과 각각의 편차각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독도법을 하실려면 자북으로 방위각을 측정시 자북과 도북의 편차각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각종 기호 입니다 위 기준 사진에 이 색갈로 표현 하였습니다

      

 

말 그대로 각종 기호 입니다

  

 

다음은 보너스로 난외주기 난의 다른정보 4가지를 사진으로 올립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허접한 그러나 나로서는 최선을 다한 내,외도곽 문서를 꾸며 보았습니다

이문서를 보시고 잘 못 되었거나 수정할 부분이 있어면 연락 주십시요

감 사 합니다

 

대문으로

목록으로

   한국 독도 학교 16기 영원한 초보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