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치료 매체와 기법 : 사례 적용 지침서
저자 : Ellen G. Horovitz
역자 : 김현영, 강민구 공역
발행일 : 2019년 08월 20일
ISBN : 9791162262238
페이지 : 248면
판형 : 신국판
제본형태 : 반양장
가격 : 15,000원
저자/역자 소개
<저자>
뉴욕주 로체스터에 있는 나자렛칼리지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설하였고, 현재 개인 임상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다. 8권의 책을 저술하였고 학술지에 50번 이상 기고하였다. 국제적으로 강의와 워크숍을 시행하며, 그녀의 작품은 수많은 개인 소장품 전시회에서 전시되었다.
<역자>
김현영
대구대학교에서 ADHD 청소년을 위한 정서조절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주제로 재활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술치료사, 가족상담전문가, 재활심리사이며, 정서·행동·발달장애 등 다양한 문제를 가진 유아동, 청소년, 성인, 가족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20여 년째 꾸준히 임상을 해오고 있다. 현재는 김포의 로뎀미술심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강민구
캐나다의 OCAD University에서 광고디자인을 전공하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시점에 BMW, King’s Crown 등의 광고 프로젝트를 맡았으며, 졸업 이후 미술치료에 관심을 갖고 미술치료사와 영어미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저자서문(본문 일부 소개)
이 책은 종합적인 지침서로서 기본적인 미술 재료부터 고급 재료와 재활용품들을 어떻게 치료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다루고 있다. 재료의 안정성 및 그 외의 정보와 임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세한 단계별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많은 사례 연구가 소개되고 있고, 각 재료를 사용할 때 유익한 점과 주의할 점이 포함되어 있다. 초보자부터 숙달된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집필되었기 때문에 이 책을 모든 정신건강상담사가 미술 재료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다. 전문적인 미술치료사에게도 제1장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안전과 장비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나는 확신하던 생각들이 바뀌는 경험을 하였다. 그래서 전문적인 치료사에게도 제1장은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제2장은 미술치료/요가치료사/정신건강전문가로서 내가 어떻게 일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이다. 이 장에서는 평가, 문화, 신념체계, 신체적 문제, 내담자의 전체적인 이해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제3장은 치료실을 어떻게 꾸밀 것인지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시간 관리, 휴가, 복장, 청소, 치료실 관리, 규칙 정하기, 그룹에서의 에티켓 등을 다룬다. 초보치료사나 좀 더 경력이 있는 치료사에게 앞서 말한 이런 것들은 임상의 틀을 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장 기초적인 재료들과 DIY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다. 사례 연구와 각 재료에 대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대상과 주의할 점이 이 장부터 소개된다.
제4장에서는 내가 사용해온 재료들에 대해 소개한다. 미술치료사가 되기 전에 다양한 미술 관련 령력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많은 아이디어를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많은 DIY 방법과 적용, 연구 결과 등을 사례 연구와 유익한 점, 그리고 주의할 점을 통하여 소개한다. 여기에는 여러 아이디어와 연구 결과가 농축되어 있다. 이 장은 경험 많은 미술치료사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모든 독자가 이것을 따르고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임상과 상상력의 도약대로 삼기를 기대한다. 제4장의 마지막 부분은 디지털 적용과 이 새로운 도구를 둘러싼 윤리적 이슈에 대해 다루고 내 치료실에서 사용했던 사례에 대해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여러 부산물들과 재활용 재료를 미술 분야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사례 소개와 유익한 점 및 주의할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장을 포함시킨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미술 재료에 대해 임기웅변적 생각을 갖는 것에 대한 중요성, 세상에서 차별성을 갖는 것 등등이 그 중 일부이다. 당신의 환자에게 그것을 적용하면 존경과 감사를 받게 될 것이다. 당신이 환자만 돌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사는 세상도 소중히 여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