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삼판서고택은 정도전 아버지 정운경 집이고
정도전 생가 같은곳이다.
현재 구성공원 아래 아카데미 여관이 위치했던 곳이다.
지금 삼판서고택은 서천변(폭포) 구학공원에 조성되어 있다.
정운경(鄭云敬)[1305~1366] 고려말 형부상서
황유정(黃有定)[1343~?] 조선초 공조판서
김담(金淡)[1416~1464]이조판서
봉화정씨(奉化鄭氏), 평해황씨(平海黃氏), 선성김씨(宣城金氏) 세 가문에서 판서
(삼판서고택)이란
고려말부터 조선초까지 세 분의 판서가 연이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주택의 첫 주인은 고려공민왕 때 형부상서(조선시대 형조판서)를 지낸 정운경(1305~1366)으로, 정운경은 사위인 공조판서 황유정(1343~ )에게, 황유정은 다시 사위인 영유현령 김소량(1384~1449)에게 이 고택을 물려주었는데 김소량의 아들 김담(1416~1464)이 이조판서에 올랐다. 이때부터 김판서의 후손들이 이 고택에서 대를 이어가며 살았다. 이 고택은 세분의 판서를 비롯하여 조선개국 일등공신 정도전, 사헌부 지평 황전, 집현전학사 김증 등 수 많은 학자와 명신들을 배출한 곳일 뿐만 아니라 경향각지의 많은 선비들과 교류한 조선시대 명문가로서 명성이 높았다.
삼판서고택은 구성공원 남쪽 (현 영주동)에서 영주선비의 표상으로 수백년을 이어져 오다가 1961년 대홍수로 기울어지고 수년 후 철거 되었다가 2008년 10월 서천이 내려다보이는 이곳 구학공원에 복원되어 ‘선비의 고장’ 영주를 상징하는 명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삼판서 약사정판서 : 정운경 (鄭云敬 1305 ~ 1366)
본관은 봉화이고 사시(私諡)는 염의(廉義)이다. 조선개국공신인 정도전의 아버지로 어려서 영주와 복주(안동)의 향교에서 수학한 뒤 개경에 올라가 십이도와 교유하여 이곡등과 사귀었다. 1326년(충숙왕 13) 사마시에 합격하고, 1330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상주목사로 나갔다. 이 후 전교교감, 주부, 도평의녹사, 삼사도사, 통례문지후, 전의주부, 홍복도감의 판관을 거쳐 1343년 밀성군지사가 되었다.
삼사판관을 거쳐 서운부정 성균사예, 보문각지제교, 양강도안렴사, 교주도안렴사, 전법총량에 이르렀다. 이어 전교사판사로 전주목사 병부시랑, 비서감 보문각 직학사로 옮겨 강릉도(江陵道)와 삭방도의 존무사로 파견되어 백성을 안찰하였으며 형부상서에 초수되었다. 검교밀직제학에 제수 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고향인 영주로 돌아왔다. 문계서원에 영렬공 금의 선생과 배향되었으나 고종때 훼철되고 영주 모현사에 제향되었으며 문집은 “염의선생실기”가 있다.
황판서 : 황유정 1343 ~
본관은 평해로 초휘는 지정, 호는 미균이다. 고려 보문각제학 근의 아들로 영해부사 원로의 손자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로서 문정공 축의 딸이다. 일찍이 문과에 올라 여러 벼슬을 거쳐 예조 형조전서를 지냈다. 1390년(공양왕 2)에 작성된 ‘영주호적대장’에 의하면 ‘그는 48세에 초계군수를 지냈으며 단정 첨렴하여 백성들과 아전들이 오래도록 그 덕을 기렸다 고 한다.’
그는 젊어서부터 논어를 즐겨 읽었으며 시문에 뛰어나 당인의 풍조가 있었다. 그가 열두살에 안동 유림들의 모임인 도회에 나가 병서라는 시를 지었는데 고간이 이 시구를 보고 놀라 장원으로 뽑았다고 한다. 낙향 후 집에 소쇄헌이라는 현판을 걸고 가금 외손자 김담의 집을 찾아 시를 지으면서 유유자적하기도 했다.
김판서 : 김담 (1416~1464)
본관은 선성(예안)이고 자는 거원 호는 무송헌, 시호는 문절이다. 아버지는 현령소량이며 어머니는 평해황씨이다. 1435년(세종 17)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정자. 저작랑. 박사. 승문원 부교리를 지냈다. 이후 이조정랑으로 문과 중시에 급제하고 충주목사, 안동부사, 경주부윤을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특히 이순지와 함께 ‘칠정산내외편’을 만들었는데 이는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최초의 역법으로 역학의 기본이 되었다. 그는 이순지와 더불어 당대에 가장 뛰어난 천문학자로서 세종대의 천문. 역법사업에 크게 공헌 하였다.. 또한 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찬시와 천문도가 전한다. 광해군때 영주 사림에서 향현사와 문계서당을 지어 배향했다. 뒤에 다시 귀강서원과 단계서원으로 승격되어 배향되어 오다가 흥선대원군 때 철폐되었다. 저서로는 ‘김문절공일고’ ‘제가역상집’ ‘무송헌문집’등이있다.
정운경(鄭云敬)[1305~1366]
사위 공조판서 황유정(黃有定)[1343~?]에게 물려주었다.
황유정 사위 김소량(金小良)[1384~1449]
김소량의 아들 김담(金淡)[1416~1464]이 이조판서에 오르면서
봉화정씨(奉化鄭氏), 평해황씨(平海黃氏), 선성김씨(宣城金氏) 세 가문에서 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