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단행본+논문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권영식 外, 지형분석, 교학연구사, 1995.
김상태, 한반도 출토 흑요석기와 원산지 연구현황, 한국구석기학보 제6호, 2002.
김주용·이헌종·양동훈, 남한의 구석기유적의 제4기 지층 형성환경 및 시기연구, 한국구석기학보 제6호, 2002.
김주용·이동영·최성길,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제4기학회지 12, 한국제4기학회, 1998.
김주용 外, 진주 집현 장흥리 유적 제4기 퇴적층 형성 및 식생환경 연구, 제4기학회지 제16권 제2호, 한국제4기학회, 2002.
박영철, 한국의 구석기문화-유적의 현황과 편년문제-, 한국고고학보 28, 한국고학회, 1992.
박영철, 한국 중기구석기 문화의 석기 분석연구, 한국구석기학보 제5호, 2002.
배기동, 구석기유적의 형성과정, 한국구석기학보 제1호, 2000.
배기동, 쐐기형 문양의 형성과정에 대한 일고, 수양개와 그 이웃들, 단양 향토문화연구회, 2001.
배기동 外, 全谷里遺蹟의 地質學的 形成過程과 東亞細亞舊石器, 漢陽大學敎文化財硏究所, 2003.
성춘택, 세석인 제작기술과 세석기, 한국고고학보 38, 한국고고학회, 1998.
성춘택, 석기 이론 연구와 한국 구석기, 한국구석기학보 4, 한국구석기학회, 2001.
성춘택, 한국 중기구석기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고고학보 46, 한국고고학회, 2002.
성춘택,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구성의 양상과 변화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제51호, 한국상고사학회, 2006
성춘택, 한국 후기구석기 문화 유형론, 한국고고학보, 제59집, 한국고고학회, 2006.
손보기, 한국 구석기학연구의 길잡이, 연세대학교출판부, 1988.
손보기, 석장리 선사유적, 동아출판사, 1993.
손보기 外, 상뮤룡리 유적의 층위와 퇴적, 상무룡리, 강원대학교박물관, 1989.
연세대학교박물관, 한국의 구석기, 연세대학교출판부, 2001.
오경섭·김남신,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제4기학회지 제8권 제1호,제4기학회, 1994.
이동영, 선사유적지층의 형성시기와 고환경 해석을 위한 지질연구, 한국상고사학보 제20호, 한국상고사학회, 1995
이동영, 韓國第四紀學硏究, 고이동영박사추모집간행위원회, 1999.
이선복, 동북아시아 구석기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이선복, 고고학개론, 이론과 실천, 1999.
이선복, 신발견 구석기유적소개, 고고인류학논총(손보기박사 정년기념론총), 지식산업사, 1988.
이융조 外, 우리의 선사문화Ⅰ, 지식산업사, 1994.
이융조, 단양 수양개 후기구석기 시대의 배 모양 석기의 연구, 古文化 35, 韓國大學 博物館協會, 1985.
이재경, 석기조합의 평가를 위한 기호체계, 한국구석기학보제2호, 한국구석기학회, 2000.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문화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보 39, 한국고고학회, 1998.
장호수, 동아시아의 좀돌날몸돌 석기 제작 기술, 博物館紀要 10,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5.
정영화 外, 한국사 2, 국사편찬위원회, 1997.
정혜주·이화종·배기동, 고강동과 대야미 토기 박편 예비 분석, 제4기학회지 제16권 제1호, 한국제4기학회, 2002.
趙由典, 軍事保護區域內의 先史遺蹟(Ⅰ), 韓國上古史學報 제10호, 韓國上古史學會, 1992.
조태섭, 제4기 젖먹이짐승의 팔·다리의 변화와 적응, 제4기학회지 제16권 제2호, 한국제4기학회, 2002.
최복규, 강원지역의 구·중석기유적, 우리나라의 구석기문화,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최복규, 한국에 있어서의 중석기문화의 존재 가능성, 백산학보 16, 1974.
최복규, 한국의 중석기문화, 동아시아의 구석기문화, 문화재관리국 문화재보호재단, 1994
최성길,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제4기학회 제7호, 한국제4기학회, 1993.
최성길, 한국의 해안단구, 한국의 제4기 환경,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최승엽, 우리나라 중부 동해안 구석기유적의 연대설정 문제, 한국구석기학보 제8호, 한국구석기학회, 2003.
최승엽·홍성학, 중부동해안 구석기유적의 분포범위 확산을 위한 노력, 박물관지 제8호, 강원대학교박물관, 2001
한국상고사학회, 전환기의 고고학 Ⅰ, 학연문화사, 2002.
한창균·김기태·손기언, 포천군의 선사유적, 포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단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포천군, 1998.
홍영호·김상태, 동해안지역에서 새로 발견된 구석기유적 1, 박물관지 제6호, 강원대학교박물관, 1999.
홍영호·김상태, 동해안지역에서 새로 발견된 구석기유적 2, 박물관지 제7호, 강원대학교박물관, 2000.
홍천군, 홍천군지, 홍천문화원, 1989.
홍천군, 洪川郡의 歷史와 文化遺蹟, 江原文化硏究所, 1996.
○ 학위논문
공수진, 금굴 구석기 격지의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7.
박희현, 제원 창내 후기구석기문화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9.
김상태, 상무룡리 구석기문화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2.
朴成鎭, 임진-한탄강지역의 구석기시대 몸돌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미술사 전공 석사학위 논문, 1998.
서인선, 석장리유적 출토의 좀돌날 계열 유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윤용현, 화순 대전 구석기 문화의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0.
이한용, 전곡리유적의 형성과정과 구석기 공작에 대한 견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해용, 동해 발한동 구석기유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8.
최승엽, 홍천 하화계리 '도둔'중석기시대 유적의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홍영호, 상무룡리 구석기유적의 석기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