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B1akEQhqst0&feature=youtu.be
수어뉴스 촬영 당시의 기준으로 제작된 영상입니다.
오늘 업로드 기준으로 하여 공영방송 뉴스내용에 다를 수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국농아방송 담당자
한국농아방송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7lV-1pINvjayeZ8CyvAG0Q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
카카오톡채널 링크 : http://pf.kakao.com/_dyYVxb
다음카페 : https://cafe.daum.net/deafon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dbn_deafkorea/
틱톡 : https://www.tiktok.com/@dbndeafkorea?lang=ko-KR
#수어뉴스 #뉴스 #한국수어 #수어 #수화 #Deaf #농인 #청각장애 #한농방 #한국농아방송 #한농협 #한국농아인협회 #DBN #산불 #특보 #특보뉴스 #긴급속보 #속보 #긴급 #농인가족절규 #절규 #경북대규모 #경북 #대규모 #재난 #산불재난 #재난방송 #정부 #방송사 #한국수어방송 #폐쇄자막방송 #수어통역
안녕하세요? 한국농아방송 김예진 앵커입니다
2025년 3월 22일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초대형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51km 떨어진 영덕에까지 불이 번지며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었습니다 전체 소실 면적은 약 995㎢로 추정되는데 이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 발생한 단일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 중 최대 규모입니다
대규모 산불로 한 달 동안 경북 영덕군, 영양군, 안동시, 청송군, 의성군에서 총 28명이 사망하고 3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36,674명이 피난을 했습니다
농인 가정에서도 상당한 재산 피해가 있었는데요 안동시 3건, 영덕군 4건, 영양군 1건, 의성군 2건, 청송군 10건 등 총 20건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농인 가정이 산불로 집을 잃거나 농작물, 비닐하우스, 창고 등이 전소되거나 소실되는 재산 피해가 있었지만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
산불 당시 재난방송에서 수어통역이 일부 제공됐다 해도 24시간 상시적인 수어통역이 아니어서 이 지역에 사는 농인들에게 TV 뉴스에서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정보는 ‘불이 났다’는 사실뿐이었습니다
이번 산불 사망자·실종자 대부분이 60~90대 노인, 장애인, 환자 등으로 나타나 ‘고령화 주민들의 정보 접근성’에서 가장 큰 문제가 노출됐습니다 경북 의성, 안동, 영덕, 청송 등은 산간 지역이면서 동시에 모두 고령 인구 비율이 전국 최고 수준인데 이들은 스마트폰이나 유튜브보다는 여전히 TV가 거의 유일한 정보 소통로입니다
하지만 KBS를 비롯한 재난 주관 방송사들은 산불 발생 당시 특보나 속보를 실시간으로 내보내지 않고 주요 시간대에 특보 뉴스 형태로 방송했습니다 뉴스 시간 외에는 평소처럼 예능이나 스포츠 중계가 흘러나왔고 긴급 자막 하나 없이 방송이 이어졌습니다
결국 경북 각 마을 이장은 마을회관에게 모여있는 주민들에게 “불났대요. 빨리 대피하세요”라고 입소문으로 재난정보를 전달해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청인은 재난 소식을 바로 들을 수 있지만 농인은 듣지 못해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습니다 고령층 재난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미흡한 것도 문제지만 더욱 심각한 것은 고령 농인의 경우 재난 소식을 듣지 못하는 바람에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농아인협회는 오래전부터 재난방송을 비롯한 모든 정규방송에서 ‘방송 전문 수어통역사 자격 제도’ 도입을 요구하는 등 정부를 향해 농인 정보접근권을 보장하라고 수없이 외쳤음에도 정부와 방송사는 산불 재난 소식을 한국수어방송 및 폐쇄자막방송으로 제대로 알리지 않은 바람에 농인들의 삶은 절규와 눈물바다로 변했습니다
수어뉴스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