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는 08년 12월 대표적인 이색 직업군은 보도한바 있다. 새로운 이색직업이 생겨 나고 있는 있는 것은 현대인들의 문화패턴이 바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서 이색직업의 담당 업무와 수입이 어느 정도 되는지 살펴 보기로 한다.
1. 기상 컨설턴트 : 기업 등에 맞춤형 날씨정보를 제공(입사 3년 3천오백만원 이상)
2. HCI 컨설턴트 : 인간친화형 컴퓨터 환경 연구와 분석 및 개선방안(일반 IT 회사 수준)
3. 검색 기획 전문가 : 특정 웹문서의 좁보검색 및 제공(산업 기준 2500~3000만원)
4. 키워드 에디터 : 광고를 정보로 제공-검색광고 및 검색정보전문가(2500~3000만원)
5. 영화예고편 제작자 : 영화의 특정적인 면을 소개하는 영화광고 제작(2000~5000만원)
6. 메이킹필름 제작자 : 영화 만드는 과정을 촬영(월 150만원~200만원)
7. 폴리아티스트 : 영화 속에서 사람의 목소리와 음악을 제외한 모든 소리를 진짜처럼 창조(2000~3500만원)
8. 버블리스트 : 비눗방울로 공연하는 비눗방울 전문 예술(20~30분 공연당 100~200만원)
9. 불꽃 연구가 : 불꽃 놀이를 전문적으로 기획하고 연출(2000~3000만원)
10. 포크아티스트 : 각국의 전통 그림을 활용하여 생활용품에 다양한 색갈과 장식을 추가하는 민속공예(학원 운영시 월 300~800만원)
11. 웃음 치료사 : 웃음을 도구로 심리 치유(시간당 10~100만원)
12. 애완동물 장의사 : 애완동물 장례와 관련한 모든 것(월 150~200만원)
13. 퍼스널 쇼퍼 : 개인 맞춤형 쇼핑 도우미(경력에 따라 다름)
14. 매장음악 전문가 : 매장 음악 선곡을 담당하는 일종의 DJ(일반 기업 수준)
15. 산업 잠수사 : 바닷속에서 산업적 가치가 있는 것들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바다 사업가(1일 약 30만원)
자료 출처 : 한국고용장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