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명리의 요점을 설명한다.
우선 일주를 상세히 살피고 일지에서 관성과 인성의 쇠왕을 가늠한다.
계절의 절기가 왕성한 월령을 제강이라고 부른다.
관성은 순수해야하며 관살혼잡은 오히려 무정하다.
정관이 투출하고 칠살이 암장되면 복이 되지만,
칠살이 투출하고 정관이 암장되면 화근이 된다.
관살이 모두 투출하면 혼잡하므로 제복하여 맑게 하고
재성을 취할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정관이 왕성하면 정관도 흉살이 된다.
정관은 형충을 기피하고 정관이 가벼우면 재성을 보아야 복이 된다.
년에 상관이 있으면 조상덕을 보지 못하고 상관을 거듭 보면 재난이 두렵다.
상관은 재성이 상해도 복이 되며 재성이 절되고 정관이 쇠약해도 역시 복이 된다.
탐합망관은 영화롭지 못하지만 탐합망살은 복이 된다.
신약하면 재성이 많은 것을 두려워하며 다시 관운으로 흐르면 재앙이 따른다.
재다신약인데 식신이 오면 식신이 흉살이 되고 반드시 재앙이 된다.
천간이 합하고 지지가 합해도 형극이 있으면
명리에 통달한 자라도 마땅히 세밀하게 추단해야 한다.
무공 서재
첫댓글 감사합니다 선생님
학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