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린도전서 9장
♣ 고전 9:1-23 : 복음을 위한 권리포기/ 자유와 권리 보다 중요한 것.
254장(구)-주의 은총을 입은 종들이/ 구 259장- 빛의 사자들이여/ 새 461장(통 519): 십자가를 질 수 있나/ 330장 / 279장(구 337)- 인애하신 구세주여.
왜, 권리를 포기하는가, 권리를 주장하지 않고.. 권리를 포기할 수 있는가, 왜, 누구를 위하여? 무엇때문에, 그 결과를 알고서 자유, 권리를 포기하는가?
자유와 권리보다 더 귀한 것이 있는가, 그것이 무엇인가?
참 자유와 권리란 무엇이며, 왜 바울은 그렇게 자유와 권리를 포기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는가?
고린도전서 8-9장의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리는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양심의 자유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제의 유익 곧 덕을 세우는 것을 위한 삶이며, 그리스도의 복음을 위한 것이다. 참 자유란 '자신이 자유를 포기하는 자유'다.
♣ 고전 9:1-14 사도의 권리와 사도의 사역
▷ 1-2절 사도직에 대한 변호- 사도의 증거 : 4가지.
1절 내가 자유인이 아니냐,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이 너희가 아니냐
- 자유인이 아니냐: - *자유인 - 자유. 선악과는 자유!
참고. 19절/ 내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로우나,...
바울은 진정한 자유인이며, 강한 자가 어떤 사람인가를 보여준다. 자유(19절)와 권리(4절)을 무엇을 위하여, 누구를 위하여, 어떻게 사용하는가? 자유와 권리보다 더 중요한 것이 무엇ㅇ니가?
바울 사도와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복음의 사람 바울 사도에게서 배운다. 당시의 돈을 위해서 일하는 순회 철학자들과 구별된다.
*- 내가 사도가 아니냐: 사도직의 권리. 사도의 권위에 대한 불신은 곧 복음에 대한 불신과 의심으로 이어진다.
-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부활하신 주님을 만났다! 주님이 만나주셨다.
*-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 전도의 열매, 영혼구원의 열매가 있는가? 열매로 나무를 안다. 사역자는 사역의 열매로 평가받아야 한다.
2절 다른 사람들에게는 내가 사도가 아닐지라도 너희에게는 사도이니 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印)친 것이 너희라.
- 나의 사되 됨을 주 안에서 인친 것이 너희라: 이력서와 박사 학위가 아닌 복음을 통해 변화된 성도들이야말로 주님이 부르시고 보내신 사도임을 입증하는 산 증거다. 이것이 올바른 영적 지도자의 자질과 자격의 판단의 기준이다.
▷ 3-10절(14절) 사도의 권리, 바울의 권리
3절 나를 비판하는 자들에게 변명할 것이 이것이니
- 나를 비판하는 자들: 바울 사도는 당시 철학교사들과 달리 후원을 거절하고, 생업을 병행했기 때문에 고린도 성도 중 일부는 바울이 사도의 자격이 없거나 실력 없는 자라고 비판했다.
*1장의 모든 지식'을 알고 있어도, 영적인 지식이 없다. '분별의 영'이 없다.
4절 우리가 먹고 마실 권(리)가 없겠느냐
*- 먹고 마실 '권리'가 없겠느냐: 헬라어. 사도의 첫 권리.
'권리'- 권한 - 권세가 몇 번이나 나오는가?
자유(1절)와 권리 - 무엇을 위하여 누구를 위하여 어떻게 사용하는가? 그것이 곧 그 사람의 내용이 된다.
5절 우리가 다른 사도들과 주의 형제들과 게바와 같이 믿음의 자매 된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리가 없겠느냐
-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리: 사도직의 당연한 권리도 바울은 사용하지 않았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 게바: = 베드로.
6절 어찌 나와 바나바만 일하지 아니할 권리가 없겠느냐
- (생계를 위하여) 일하지 아니할 권리: 바울이 후원을 받을 권리를 포기하고, 자비량 사역자로 생업에 종사한 일이 그의 사도직을 의심하게 하는 빌미가 되었다.
바울 사도 자격이 없어서 손수 일해서 생계를 꾸리는 의심과 비난, 오해를 받았다. 바울은 '권리 주장' 이 아닌 생계와 가족부양의 '권리마처 포기함'으로 사도됨을 변론한다.
- 권리가 없겠느냐: 사도가 권리를 포기하였다면, 고린도교회 교인들은 더욱 더 포기해야 하지 않은가?
7절 누가 자기 비용으로 군(군) 복무를 하겠느냐, 누가 포도를 심고 그 열매를 먹지 않겠느냐, 누가 양 떼를 기르고 그 양 떼의 젖을 먹지 않겠는냐
- 누가 자기 비용으로: 공동체로 부터 그 비용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말한다.
건전한 상식과 율법의 규정(신명기 25:4/ 8절)으로 수고의 대가를 받는 것이 정당하다. 당연하다.
<적용>
그러나, 우리는 사역자에게 헌신과 희생만 강조하지 않는가? 토의
- 군.. 포도를 심고... 양떼를 기르고: 군인, 농부, 목축업- 목자. 세상의 직업을 구분하면 어떤가?
<직업과 소명>
▷ 8-10, 14절. 복음전하는 자 - 복음의 열매를 누리게 하신다. 회심한 사람들이 그 열매이다. 그리고, 복음전도자들이 먹을 양식도 누리게 하셨다.
8절 내가 사람의 예대로 이것을 말하느냐 율법도 이것을 말하지 아니하느냐
- 율법도: 바울 사도는 '일한 만큼' 아닌 '복음의 유익'이 기준이다!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너무 많은 대가나 특별한 대우를 바라는 태도을 알지 못한다.
9절 모세의 율법에 곡식을 밟아 떠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 기록하였으니 하나님께서 어찌 소들을 위하여 염려하심이냐
10절 오로지 우리를 위하여 말씀하심이 아니냐 과연 우리를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밭 가는 자는 소망을 가지고 갈며 곡식 떠는 자는 함께 얻을 소망을 가지고 떠는 것이라.
- 말씀의 적용. 바울 사도의 구약성경(신명기 25:4)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11절 우리가 너희에게 신령한 것을 뿌렸은즉 너희의 육적인 것을 거두기로 과하다 하겠느냐
12절 다른 이들도 너희에게 이런 권리를 가졌거든 하물며 우릴까보냐 그러나 우리가 이 권리를 쓰지 아니하고 범사에 참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福音)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다.
*- 그러나, 우리가: 고린도전서의 저자, 바울 그리고, 아볼로 등의 사역자들.
*- 이 권리를 쓰지 아니하고: 권리. NIV,헬라어.
- 참는 것: '완전히 덮다'는 의미. 다른 사람에게 시험이 되고, 거리낌이 되는 것을 덮는다. 곧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다.
-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다: 복음을 위해서 권리를 포기한 이유가 무엇인가?
<주님과 복음을 위하여> (막10장).
주님은 어떻게 자유와 권리와 특권을 포기하셨는가? 왜, 그 목적이 무엇인가?
복음에 대한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복음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물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거절! 복음을 위해서 조심 또 조심.
그리스도의 복음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바울 사도의 자세와 태도가 드러난다. 나보다 그리스도, 나의 당연한 주님이 허락하신 당연한 권리 대신에 복음.
모든 것이 가하나 덕을 세우는 것이 아니요...
13절 성전의 일을 하는 이들은 성전에서 나는 것을 먹으며 제단에서 섬기는 이들은 제단과 함께 나누는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 알지 못하느냐: 중요한 질문이다. 우리의 세상의 지식은 그 안에 어둠이 있다. 무지(고전1장- 모든 지식) 를 일깨우는 말씀이다.
'나는 모르다는 것을 안다'(무지의 지- 소크라테스).
고전 9:14 이와 같이, 주께서도 복음(福음) 전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명하셨느니라
(마10:10. 눅 10:7-8/ 딤전 5;18/ 갈 6:6 참고)
In the same way, the Lord has commanded that those who preach the gospel should receive their living from the gospel.
- 복음: 고린도전서 9장은 복음이란 무엇인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복음과 함께 복음 안에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마6:33 참고).
-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복음은 살리는 능력이 있다. 십자가에 못박힌 죄인도, 창녀도, 38년 병자도, 문둥병자도, 살린다. 귀신들린자들도 살린다.
예수 믿으면 떡이 나와 밥이 나와? 떡도 밥도 나온다.
* 참고. 마태복음 4장.
▷15-23절 복음을 위한 권리포기
<고전9: 15-23 복음 그 자체가 상급>
15절 그러나 내가 이것을 하나도 쓰지 아니하였고 또 이 말을 쓰는 것은 내게 이같이 하여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차라리 죽을지언정 누구든지 내 자랑하는 것을 헛된 데로 돌리 못하게 하리라.
- 내가 이것을 하나도 쓰지 아니하였고: 주님은 오병이어의 권능, 물을 포도주로 만드는 권능이 있으시나, 40일을 금식하셨다! 십자가 위에서 기적을 행하지 않으셨다. 표적의 실상이 되시기 위해서다.
- 내 자랑하는 것: 복음 사역은 사명이며 특권이므로 대가를 받지 않고 사역하는 것은 결코 자랑이 될 수 없다. 오히려 자기 권리를 사용하지 않고 값이 복음 전하는 것을 '상'(자랑)이다.
16절 내가 복음을 전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은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禍)가 있을 것이로다
- 복음과 화(禍): 이를 누가 깨달으리요? 대가와 보상에 초연하 수 있는 이유는 소명감에 달려 있다.
-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이로다: 복음과 복... 복음과 화(에스겔 3장).
-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그리스도의 사라이 우리를강권하시는도다 (고후5:14)
17절 내가 내 자의로 이것을 행하면 상을 얻으려니와 내가 자의로 하니한다 할지라도 나는 사명을 받았노라.
- 나는 사명을 받았노라: 복음의 청지기(사도행전 9장/ 22장/ 26장/ 롬1장- 복음에 빚진자/ 고전4:1).
*- 나는 복음에 빚진 자라:
*- 복음은 능력과 주님의 임재와 능력을 주신다.
18절 그런즉 내 상(賞)이 무엇이냐 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복음으로 말미암아 내게 있는 권리를 다 쓰지 아니하는 이것이로다.
- 내 상이 무엇이냐: 복음을 것 자체가 상(급)이다!
복음 전도에는 만족감을 주시니 이는 팁! 바울 사도는 값없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특벽한 복음이 청중에게 대가 없이 전하는 것을 상으로 여겼다! .
- 내게 있는 권리를 다 쓰지 아니하는 이것이로다: 복음을 아는 자는 권리, 특권을 누리는 것 보다 걸림돌을 두지 않고 복음을 전하는데 초점을 둔다. 과연 바울사도의 본이 되는 모습니다.
♣ 고전9: 19-27 자원하여 종이 된 자유인 찬송 450장(통 376장): 내 평생 소원 이것 뿐
▷ 19-22절 스스로 종이 된 자유인
19절 내가 모든 사람에게서 자유로우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
- 내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로우나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놓임'받은 자의 '참된 '매임'의 삶 - 주께 철저히 복종하고, 다른 이들을 사랑으로 섬기는 삶이 가장 자유로운 삶이다.
자유인과 종. 십가가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구속(救贖)된 자유인은 복음을 위하여 스스로를 구속(꺼리낄 구拘 묶을 속束)하여 종이 될 수 있다.
세속 교사들을 고용한 사람들은 교사를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입주 가정 교사의 경우는 더햇다. 바울 사역의 일부가 가정교회를 가진 큰 가문의 틀에 속에서 이루어졌으나 자유로운 활동가라는 사실을 증거한다.
-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기본권리 마저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내 자유보다 다른 사람의 영혼구원!
자신의 탐욕을 채우는 육체의 기회로 삼지 않았다(갈5:13). 모든 사람들에게 복음으로 인도하고 구원하기 위해서다.
- ... 된 것은: 흉내가 아닌 됨이다. 연기가 아닌 진심이다. 주 예수님은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시다. 자기를 낮추어 종의 형체를 가지신 분이시다. 복음 전도의 성육신의 원리, 십자가의 원리를 따를 때 능력이 있다. 복음을 위하여 '된 사람'인가? 그냥 '난 사람'인가?
*-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얻고자 함이라: 영혼구원 중심주의! 얻는다는 것은 곧 구원하고자 함이라 (22절).
- 종이 된 것은: 우리를 구원하시려 예수 우리 구주께서 종이 되셨도다!
20절 유대인들에게 내가 유대인과 같이 된 것은 유대인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에 있는 자 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21절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 있는 자이나 율법 없는 자와 같이 된 것은 율법 없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라.
- 율법없는 자에게는: 전도대상에 대한 이해와 공감하고,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하여 사는 모습이 일관성 없는 모습으로도 보일 수 있었을 것이다.
- 그리스도의 율법: 사랑의 새계명. (요13:34/ 15;10).
- 율법이 없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라: 삶의 이유... 자유와 권리포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22절 약한 자들에게 내가 약한 자와 같이 된 것은 약한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내가 여러 사람에게 여러 모습이 된 것은 아무쪼록 몇 사람이라도 구원하고자 함이니
- 약한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 미신을 섬기는 사람들에게는 꺼져가는 심지를 끄지 아니하신 주님 처럼 대하였다.
- 아무쪼촉 몇 사람이라도 구언하고자 함이니:
▷ 23-27절 복음을 위한 자기 절제
23절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복음에 참여하고자 함이라.
- 내가 복음을 위하여: 주님과 복음<막10장)을 위하여 못할 일, 못될 일이 무엇이랴!
. '종'이 되기까지 하는데... (19절). 못갈 곳이 없다
*- 복음에 참여하고자함이라: 자유와 권리를 포기하고, 오직 복음을 위하여 행동하였다.
복음이 주는 복 - 구원에 동참하는 하는 것을 말한다. 바울 사도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하는 이유 중 하나가 무엇인가?
9:24-10:13 달음질과 넘어지지 않음
24절 운동장에서 달음질 하는 자들이 다 달릴지라도 오직 상을 받는 사람은 한 사람인 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너희도 상(賞)을 받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딤후2:5)
- 달음질하는 자들 NIV: <소경 바디메오>
동행하는 자 - 달음질하는 자.
당시 고린도에서는 올림픽 경기 다음으로 큰 규모인 이스트미안 Istmian경기를 매 2년마다 한다.
앉은 사람.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시편 1편). 이스머스대회의 운동경기에 대한 비유다.
- 너희도 ... 상을 받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
*- 상을 받도록: = '이기다'는 의미다. '꽉지어 붙들다'는 의미다.
"자신의 선천적이고 육신적인 욕망을 이기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본성 밖에 있는 악부터 극복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바울 말의 힘을 시험해보려면 먼저 세상의 경기 규칙과 훈련을 배워야 합니다"(요한네스 카시아누스. 초대교부들과 함께하는 말씀묵상 365일. 7.9)
<바울 사도의 상(급)>
* 25절 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모든 일에 절제하나니 그들은 썩을 승리자의 관을 얻고자 하되 우리는 썩지 아니할 것을 얻고자 하노라(빌3:13-14/ 딤후4:7).
- 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바울의 권리를 양보하고, 자유를 섬김을 위한 자유로 사요아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두번째 이유다.
우리는 '이김'을 위하여 부름 받은 사람이다. 경쟁상대는 '어제의 나'이며, 쳐서 복종시켜야 할 상대(27절)도 '옛 자아'이다. 목표는 세상의 영광이 아니요, 썩지 않을 영원한 영광(구원)이다.
'마다': 우리도 우리의 자유와 권리 조차도 주님과 복음 전하는데, 사람을 구원하는데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 모든 일에 절제(헬. 엥크라튜에타이) 하나니: 고대 그리스 운동경기자들이 사용한 전문용어다. 음식 먹는것, 잠자는 것, 노는 것 등 절제 하며 고된 훈련을 10개월 한다. 이스트미안 대회에 참가하려는 선수들.
* 참고. 갈5;22의 절제와의 관계.
절제하며 고된 훈련을 '자기 절제와자기 부정'이 요구된다. 자만, 방심, 교만하지 말고, 주님을 높이고 나를 낮추라.
- 썩을 승리자의 관: 월계수로 만든 화관.
26절 그러므로 나는 달음질하기를 향방 없는 것 같이 아니하고 싸우기를 허공을 치는 것 같이 아니하며
- 나는 달음질 하기를 : '나를 따르라' 주님의 초청 앞에. 어떤 선택을 하는가?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은 사람(시편1편). 소경 바디메오 처럼 비전 없이 앉아 있는 사람, 주님과 동행하는 에녹, 엘리야 처럼 성령님의 권능으로 달려가는 사람.
- 향방없는 것 같이 아니하고 ... 허공을 치는 것 : 웅변가들은 군중 앞에서 자신의 수사학적 기량을 과시한다. 그러나 실제 토론에서는 나서지 않아아서혼자 연습하는 권투선수라고 조롱을 받았다.
- 싸우기를:
27절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신이 도리어 버림을 당할까 두려워함이로다.
-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 바울은 허공을 치지 않고 무엇을 누구를 쳤는가? 성령님의 도움으로 상대가 아닌 자기 몸. 성적인 유혹 등의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자신의 욕망을 쳐서 복종시키는 훈련을 한다. 악을 버리지 않으면 넘어진다!
- '치다'(휘포피아조) : '눈 밑의 얼굴을 때리다'라는 뜻이다. 상대의 얼굴 부위를 공격하는 것을 표현한다. - 절제와 훈련.
'경주하는 자(24절)의 비유, '권투선수의 은유는 남이 아닌 자기 자신을 혹독하게 다루어 복종시키는 훈련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버림을 방할까: 믿음의 경주를 다 달려갈 수 있을까를 우려한다. 성화(聖化)와 사명을 이루는 길이 내가 사는 길이다. 구원과 사명은 한 순간에 이루어지지 않고 완성을 향해가는 여정이다.
- 두려워함이로다: 경건한 두려움. 경외신앙.
바울 사도의 여호와 경외신앙을 살펴볼 수 있다.
우리는 바울이 두려워하는 것을 두려워하는가? 오늘날 겁없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복음을 위한 용기는 두려움에서 오는 것이 아닌지!
바울 사도의 자유과 권리의 포기를 하는 이유와 목적이 다른 사람을 위하여, 자기 자신을 위하여 한다. 그 중심에 복음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며, 터가 된다.
참고도서
1. 매일성경 2015년. 11월 / 2020. 6/
2. 레노바레 성경
3. 독일성서공회해설 성경
4. IVP 성경배경주석
New International Version
1st Corinthians 🌛 Chapter 9
9:1 Am I not free? Am I not an apostle? Have I not seen Jesus our Lord? Are you not the result of my work in the Lord?
9:2 Even though I may not be an apostle to others, surely I am to you! For you are the seal of my apostleship in the Lord.
9:3 This is my defense to those who sit in judgment on me.
9:4 Don't we have the right to food and drink?
9:5 Don't we have the right to take a believing wife along with us, as do the other apostles and the Lord's brothers and Cephas?
9:6 Or is it only I and Barnabas who must work for a living?
9:7Who serves as a soldier at his own expense? Who plants a vineyard and does not eat of its grapes? Who tends a flock and does not drink of the milk?
9:8 Do I say this merely from a human point of view? Doesn't the Law say the same thing?
9:9 For it is written in the Law of Moses: "Do not muzzle an ox while it is treading out the grain." Is it about oxen that God is concerned?
9:10Surely he says this for us, doesn't he? Yes, this was written for us, because when the plowman plows and the thresher threshes, they ought to do so in the hope of sharing in the harvest.
9:11 If we have sown spiritual seed among you, is it too much if we reap a material harvest from you?
9:12If others have this right of support from you, shouldn't we have it all the more? But we did not use this right. On the contrary, we put up with anything rather than hinder the gospel of Christ.
9:13Don't you know that those who work in the temple get their food from the temple, and those who serve at the altar share in what is offered on the altar?
9:14 In the same way, the Lord has commanded that those who preach the gospel should receive their living from the gospel.
9:15But I have not used any of these rights. And I am not writing this in the hope that you will do such things for me. I would rather die than have anyone deprive me of this boast.
9:16 Yet when I preach the gospel, I cannot boast, for I am compelled to preach. Woe to me if I do not preach the gospel!
9:17 If I preach voluntarily, I have a reward; if not voluntarily, I am simply discharging the trust committed to me.
9:18 What then is my reward? Just this: that in preaching the gospel I may offer it free of charge, and so not make use of my rights in preaching it.
9:19 Though I am free and belong to no man, I make myself a slave to everyone, to win as many as possible.
9:20To the Jews I became like a Jew, to win the Jews. To those under the law I became like one under the law (though I myself am not under the law), so as to win those under the law.
9:21To those not having the law I became like one not having the law (though I am not free from God's law but am under Christ's law), so as to win those not having the law.
9:22 To the weak I became weak, to win the weak. I have become all things to all men so that by all possible means I might save some.
9:23 I do all this for the sake of the gospel, that I may share in its blessings.
9:24 Do you not know that in a race all the runners run, but only one gets the prize? Run in such a way as to get the prize.
9:25Everyone who competes in the games goes into strict training. They do it to get a crown that will not last; but we do it to get a crown that will last forever.
9:26 Therefore I do not run like a man running aimlessly; I do not fight like a man beating the air.
9:27 No, I beat my body and make it my slave so that after I have preached to others, I myself will not be disqualified for the pr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