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멈춘 청춘의 상징 교외선, 대곡~의정부 다시 달린다. 변경된 운행시간표 [출처] |작성자 국토교통부
https://blog.naver.com/mltmkr/223719665370
https://blog.naver.com/mltmkr/223719665370
20년 전 멈춘 청춘의 상징 교외선, 대곡~의정부 다시 달린다
경기 북부의 대표 철도 교통 노선이었던 교외선이 20여 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더욱 안전하게 재탄생합니...
blog.naver.com
20년 전 멈춘 청춘의 상징 교외선, 대곡~의정부 다시 달린다. 변경된 운행시간표
경기북부 동서철도의 재탄생
20여 년 만에 운행 재개 “다시, 교외선”
- 11일 06시 첫 차 운행… 왕복 8회·단계적 확대, GTX-A 연계 편의
- 전 구간 기본요금 2,600원, 1월 한 달간 전 구간 운임 1,000원 행사 진행
□ 경기북부의 대표 철도교통노선이었던 교외선이 20여 년 만에 새로운 모습
으로 더욱 안전하게 재탄생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경기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를 잇는 중추
동서 철도인 교외선의 대곡역*~의정부역(1호선) 구간에서 1월 11일(토)
06시 의정부발 무궁화호 열차를 첫 차로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 광역전철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운정~서울), 교외선 등 5개 노선 경유
□ 1961년 개통한 교외선은 고양, 양주, 의정부를 이동할 수 있는 경기 북부
대표 교통수단으로, 서울 도심지에서 송추계곡, 장흥수목원 등 주요 인근
관광지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동서 철도 교통이었다.
ㅇ 하지만, 서울외곽순환도로 개통과 같은 도로교통의 발달, 수도권 광역
전철 도입 및 노선 확대 등으로 인해 이용객이 점차 감소하였고 결국
’04년 4월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 ’21년 8월 지자체(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은
교외선 운영 재개에 대한 지역의 염원이 계속됨에 따라, 운행 재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ㅇ 이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시설물에 대한 개·보수와 함께 안전성 향상을
위해 국가철도공단 주도 아래 선로 보수 및 점검, 노반·궤도·통신·신호
전반에 걸쳐 49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약 38개월(’21.10~’24.12)간
시설 개량을 진행하였다.
ㅇ 또한, 교외선을 운행하게 될 무궁화호 열차는 과거의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 차량 내부 시설과 외장도 새롭게 단장하였다. 디자인 콘셉트는
‘뉴스텔지어’로, 기성세대의 지난 추억(노스텔지어)과 엠제트(MZ)세대의
과거에 대한 새로운 해석(뉴트로)을 결합하였다.
<교외선 개조모형 및 시험운행 중인 열차 >
□ ’04년 왕복 6회 운행했던 교외선은 ’25년 1월 11일(토)부터 대곡역, 원릉역,
일영역, 장흥역, 송추역, 의정부역 등 6개 역에 무궁화호 열차를 왕복 8회*
운행할 계획이다. 대곡에서 의정부까지 약 50분 가량 소요된다.
ㅇ 개통 초기에는 과거 운행횟수 수준(왕복 6회)을 고려하여 왕복 8회 수준으로
운영하고, 향후 안정화 단계를 거쳐 단계적으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ㅇ 전 구간 기본요금은 2,600원이며, 기존 코레일톡 또는 역사 창구에서
자유롭게 예매할 수 있다. 1월 31일까지 전 구간 운임 1,000원 행사를
진행하여 이용을 적극 장려할 계획이다.
교외선(대곡~의정부) 열차 운행계획
◦ (구간/횟수) 대곡~의정부 30.5㎞/ 왕복 8회(상 4, 하 4)
◦ (정차역) 6개역 (대곡, 원릉, 일영, 장흥, 송추, 의정부)
◦ (운행차종) 무궁화호 3편성 (운행 2, 예비 1 / 4400호대 DL 양방향 연결)
구분 열번 출발 도착 정차역
하행
2601 대곡 06:06 의정부 06:56
원릉, 일영, 장흥, 송추
2603 대곡 07:22 의정부 08:12
2615 대곡 18:19 의정부 19:09
2617 대곡 19:35 의정부 20:25
상행
2602 의정부 06:00 대곡 06:51
송추, 장흥, 일영, 원릉
2604 의정부 07:16 대곡 08:07
2616 의정부 18:13 대곡 19:04
2618 의정부 19:29 대곡 20:20
보도자료 - 상세보기
첫댓글 왕복 20회 편도 10회운행인데
이것도 대폭 줄여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에 2회씩 운행은 국토부의 횡포라고 본다.
이게 무슨 관광 청춘상징 열차인가!
낮 시간 운행이 이루어져야 관광객이 이용할 수 있지 않은가!
3개시는 무엇을 하였는가!
이 지역 국회의원들의 역량이 이렇게 허접한가
한탄스럽다
국토부 블로그에 아래와 같이 댓글 달았습니다.
"갑자기 20회 운행계획이 8회로 아침 저녁 출퇴근시간에 겨우 2회운행으로 무슨 청춘상징 교외선이라 할수 있는가!
이는 국토교통부의 난맥상이라고 본다.
이래가지고 어찌 관광객이 이용을 할 수 있는가!
다시 재고하여 최소한 편도 10회운행은 당초계획대로 시행하기 바란다.
[출처] 20년 전 멈춘 청춘의 상징 교외선, 대곡~의정부 다시 달린다|작성자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