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殿陵 名 |
定 日 |
享 祀 日 |
奉行主管 所在地 |
崇惠殿 |
春分 |
(음2.30) 3.21 |
(사)新羅崇惠殿陵保存會 경주시 포석로 1050번길 39-11 |
景德王陵 |
陽4月10日 |
(음윤2.20) 4.10 |
경주 內南宗親會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산8 |
雞林世廟 |
陰3月 初丁日 |
(음3.10) 4.29 |
(사)新羅崇惠殿陵保存會 경주시 포석로 1050번길 39-3 |
眞平王陵 |
陰3月 初丁日 |
(음3.10) 4.29 |
(사)新羅崇惠殿陵保存會 경주시 보문동 608 |
興德王陵 |
陰3月 中丁日 |
(음3.20) 5.9 |
경주 安康宗親會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 42 |
元聖王陵 |
陽 4月 30日 |
(음3.11) 4.30 |
경주 外東宗親會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산17 |
文武大王陵 |
陽 5月 5日 |
(음3.16) 5.5 |
文武大王陵享奉行會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30-1 (이견대 : 동해안로 1480-12) |
法興王陵 |
陰3月24日 |
(음3.24) 5.13 |
경주 水西宗親會 경주시 효현동 산63 |
神武王陵 |
陰4月 1日 |
(음4.1) 5.20 |
慶州金氏釜山廣域市宗親會 경주시 동방동 660 |
巡廻茶禮 |
5 月中 |
時叅奉團 | |
味鄒王陵 |
秋分 |
(음8.9) 9.23 |
(사)신라숭혜전릉보존회 경주시 황남동 89-2 |
奈勿王陵 |
秋分 |
(음8.9) 9.23 |
(사)신라숭혜전릉보존회 경주시 교동 14 |
善德女王陵 |
秋分 |
(음8.9) 9.23 |
(사)신라숭혜전릉보존회 경주시 보문동 산79-2 |
太宗武烈王陵 |
秋分 |
(음8.9) 9.23 |
(사)신라숭혜전릉보존회 경주시 서악동 842 |
敬順大王陵 |
陽10月3日 |
(음8.19) 10.3 |
경주김씨中央宗親會 경기 연천군 장남면 장남로 288 |
殿廟名 |
定 日 |
享 祀 日 |
主管部處 |
崇慕殿 |
陰3月15日 |
(음3.15) 5.4 |
大邱 符仁寺 |
崇恩殿 |
陰4月4日 |
(음4. 4) 5.23 |
榮州崇恩殿保存會 경북 영주시 광복로 23번길 59-1 |
永慕殿 |
陰4月4日 |
(음 4.4) 5.23 |
忠南 保寧 종친회 충남 보령시 남포면 창동리 12-7 |
溟州郡王陵祭 |
陰4月20日 |
(음4.20) 6.8 |
江陵金氏大宗會 (033-648-9268) 강원 강릉시 성산면 삼왕길 204-39 |
崇安殿 |
陰9月9日 |
(음9. 9) 10.23 |
茶禮委員會 경북 포항시 신광면 상읍길 266-19 |
敬天廟 |
陰2월 中丁 陰9月 9日 |
(음2.13) 3.10 (음9. 9) 10.23 |
경천묘보존회 경남 하동군 청암면 청암몰길 27 원주시향토유적보호위원회 강원 원주시 귀래면 미륵산길 200 |
崇仁殿 |
陰9月19日 |
(음9.19) 11.2 |
江原 平昌(진부종친회, 향교) 강원 평창군 진부면 호명리 49 |
첫댓글 안녕 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몇가지 여쭙고 제안 합니다
1. 상기 향사표를 보면 장소가 추가 되었으면 합니다
2. 향사에 참가 하려면 어떤 절차나 누구에게 질의하여 안내를 받아야 하는지를 안내 하면 좋겠습니다
3. 앞으로 경순왕 대왕릉에서 치러지는 향사의 경우는 대대적 안내가 있으면 합니다
1) 방법으로는 기존에 갖고 있는 종친회 지방 이사님들에게 전하여 참려 독려를 하면 좋겠습니다
4. 향후 큰 행사에정시에는 각 매스미디어에 팩스를 보내든지 각 방솔 신문사의 행사 안내 담당자에게 행사 소식을 미리 알리면 큰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1) 이런 매스컴을 타면 선전이 되어 이런 행사를 모르던 젊은이도 알게 될것이고
2) 은퇴자 장년층에서도 참여 의지가 발동 할 것입니다
5. 여하간 방송이나 신문잡지사에서 의 참견 은 도덕재생산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6. 대관(방송 신문) 상대를 소인께 일임 해주시면 감히 행하리오다.
kokimm@daum.net 기억 62세손 올림
그리고 꼭 상기 향사 일정 만이 아니고 종친회 전체 매년 반복되는 행사 외 공게 회의 일정이 있으면
코끼리 다리만 보는 것이 아닌 코끼리 전체를 보고 아는 모임 과 조직이 되었으면 합니다.
의정부 회룡산도 오르면 좋겠습니다.
원술랑의 이야기를 알고 계신 문무태왕님의 후손이셨던 의성김씨의 김세영 선생님께서는 13도창의군 독립전쟁 당시 효를 핑계로 전선에서 물러난 이인영 선생님의 행동에 대해 효를 잘못 배워서 행한 행동이라고 하시며... 특히 안향의 후손인 순흥안씨 가문의 사람들에게 대오각성하라 요구하셨다 합니다.
이에 순흥안씨 가문에 시집오시고 자녀를 낳은 분들은 절대 공감하며 여성으로서 어머니로서 충효예에 대한 자식 교육을 문무태왕님의 어머니이신 문명황후 문희 할머니와 원술랑의 어머니 지소공주님를 본보기로 삼으려 노력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