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축구 드리블 따라하기 원문보기 글쓴이: 섹시한드리블
|
|
라이트 백 |
풀 백 중 오른쪽에 위치하는 선수. 라이트 풀 백 |
라이트 윙 |
포워드 진영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선수. |
라인즈 맨 |
양쪽 터치 라인을 따라 배치된 2명의 심판으로 주심을 보좌한다. |
러닝 점프 헤딩 |
날아오는 볼을 뛰어가서 점프, 헤딩하는 기술 |
러닝 패스 |
달리면서 패스하는 것으로, 뛰고 있는 자기 편의 속도와 방향에 맞추어서 패스하는 것이 중요하다. |
레더 |
골키퍼가 사용하는 무릎대. 무릎 보호 용구 |
레퍼리 볼 |
경기 도중 선수가 부상당하거나 그 밖의 이유로 경기를 중단했을 때 경기를 재개하는 방법으로 레퍼리가 볼을 허리 높이에서 떨어뜨려 땅에 닿으면 인 플레이가 된다. |
레퍼리 |
주심 |
레프트 백 |
풀 백 중 왼쪽에 위치하는 선수. 레프트 풀백 |
레프트 윙 |
워드 진용의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선수. |
로빙 볼 |
느리고 큰 반원을 그리면서 날아가는 볼을 말하며, 흔히 공격할 때 상대 진영으로 띄우거나 상대 팀의 백 라인 뒤로 패스를 보낼 때 사용된다. |
로빙 센터 하프 |
투 백 시스템의 센터 하프를 말하며, 공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동한다. 어태킹 센터 하프라고도 한다. |
로스 타임 |
게임 도중 사고나 선수의부상 등으로 인하여 허비되는 시간을 말하며, 주심의 판단에 따라 그 시간만큼 경기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인주어리 타임(Injury time)이라고 한다. |
롱 패스 어택 |
길게 차서 공격하는 전법 |
리턴 패스 |
우군으로부터 받은 패스를 다시 그 선수에게 되돌려 주는 패스 |
마크 |
상대에게 접근하여 상대방이 자유로운 플레이를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행위 |
매스 드리블 전법 |
19세기 오프 사이드 규정이 엄격할 때 주로 드리블에만 의존하여 공격하던 전법 |
맨 투 맨 |
수비측의 한 선수가 공격측의 한 선수를 전담 수비하는 전법으로 수비의 기본 전술이다. |
메디신 볼 |
트레이닝을 위하여 만든 것으로 표준 볼보다 약간 무겁다. |
멤버 체인지 |
경기에 출전하고 있는 선수를 도중에 교체하는 것으로 경기전에 주심에게 명단을 제출한 교대 요원 중에서는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다. |
미드 필드 |
경기장의 한 가운데 지점. |
바운드 볼 |
땅에 떨어졌다가 튀어 올라오는 볼 |
발리 킥 |
날아오는 볼을 땅에 떨어지기 전에 차는 방법으로 볼의 속도를 이용하는 킥 |
백 넘버 |
선수의 등번호. 예전 골키퍼가 1번, 레프트윙이 11번과 같이 포지션이 정해져 있으나 최근에는 그다지 엄격하지 않다.(1번-Gk, 2번- RB, 3번- LB, 4번-RH, 5번-CH, 6번-LH, 7번-RW, 8번-RI, 9번-CF, 10번-LI, 11번-LW가 원칙) |
백 라인 |
수비수의 방어 진영을 말한다. 스리 백 라인이나 포백 라인 등 방어의 최종 포진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
백 슛 |
뒤로 돌아서면서 차는 슛 |
백 스윙 |
볼을 차기 전에 차는 발 전체를 뒤쪽으로 흔드는 동작 |
백 업 |
볼을 키핑하고 있는 자기 편을 지원하기 위하여 그 뒤쪽이나 주변에 위치하는 일. 또는 자기 편 수비가 뚫릴 때를 대비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일 |
백 차지 |
상대방의 뒤에서 상체를 부딪치는 행위로 직접 프리킥의 반칙이 주어진다. |
백 패스 |
전진하려는 앞쪽에 상대방 선수들이 많아 전진하기 어려울 경우 후방에 있는 자기 편에게 볼을 넘겨주는 것. |
볼 리프팅 |
발, 이마, 어깨 등으로 볼을 퉁기는 일을 계속하는 것으로 올바른 자세가 만들어지며, 또한 워밍업도 된다 |
볼 키핑 |
볼을 자신의 컨트롤 안에 두는 것. |
볼 펜들럼 |
공중에다 볼을 매달아 헤딩 킥 등을 연습하는 기구 |
볼트 시스템 |
수비를 튼튼히 하는 데 목적을 둔 전법으로 맨 앞에 있는 상대방의 센터 포워드를 수비측 선수 2명이 빗장을 걸 듯 뛰어들어 막는 전법 |
불리 |
선수들이 한 곳에 모여 볼을 서로 혼잡하게 몰고 있는 상태 |
블로킹 |
상대 선수를 방해하는 일. 볼에 대한 의도없이 방해하면 오브스트럭션 반칙이 된다 |
사이드 킥 |
볼을 발의 측면으로 차는 킥. 발의 안쪽으로 차는 것을 인사이드 킥, 발등의 바깥쪽으로 차는 것을 아웃프론트 킥이라한다. 일반적으로 인사이드 킥을 말한다. |
사이드 |
진지의 뜻. 하프웨이 라인을 경계로 하여 상대 팀의 사이드, 자기 팀의 사이드라고함. 시합 후반에는 서로 바꾼다. |
삼각 패스 |
공격 시에 많이 이용되는 패스의 기본형이다. 마크해 오는 상대를 떼버리기 위해 한 차례 자기 편에게 넘겨준 다음 상대방 방어진을 뚫은 후다시 패스를 받는다. |
섀도우 드리블 |
볼을 갖지 않고 뛰는 사람의 행동에 따르면서 하는 드리블. 일종의 드리블 연습방법이다. |
섀도우 러닝 |
앞 사람이 여러 가지의 러닝을 하고 뒤에 쫓는 사람은 앞사람을 흉내 내면서 뛴다. 순발력을 기르기 위한 연습의 일종 |
서든 데스 |
연장전 가운데 어느 팀이든지 골을 추가시키면 즉시 경기를 끝내는 새로운 경기 제도(요즘은 국제 경기에서 이 제도를 거의 적용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
선심 |
양쪽 터치 라인을 따라 배치된 2명의 심판으로 주심을 보좌한다. 깃발을 하나씩 들고 그것을 올리고 내림으로써 주심과 선수에게 신호를 한다. |
세이빙 |
골키퍼가 상대 편에게 득점을 주지 않기 위한 하나의 기술로 몸을 던져 볼을 막아내는 것 |
센터 라인 |
하프웨이 라인 |
센터 서클 |
하프웨이 라인 중앙에 그려진 반경 9.15m의 둥근원으로, 킥오프 때 볼을 중심점에 놓는다. |
센터 스포트 |
센터 서클의 중심점. 센터 마크 |
센터 포워드 |
5명의 포워드 중 중앙에 위치하는 경기자이며, 공격의 핵심이 되는 포지션이다. |
센터 하프 백 |
스리백 시스템에서 3명의 센터 백 중앙의 선수를 말하며, 중반의 볼을 주로 다룬다. |
센터링 |
공격측이 터치 라인 가까이에서부터 골 정면으로 볼을 보내서 득점을 노리는 패스를 말한다. |
속공 |
상대방이 수비 태세를 갖추기 전에 재빨리 공격하는 방법. 롱 패스나 킥 앤드 러시가 사용된다. |
쇼트 패스 시스템 |
자기 편끼리 가까운 거리에서 주고받는 패스로 주로 공격할 때 많이 사용된다. |
쇼트 펀트 |
볼을 낮게 공중으로 차 올리는 기술 |
숄더 차지 |
어깨로 상대방의 어깨를 밀면서 몸의 균형을 잃게 하는 방법으로 어깨를 정확히 쓰면 반칙이 되지 않는다. |
슈팅 레인지 |
슈팅에 의한 득점 가능성이 높은 지역. 골 포스트와 그 옆 페널티 에어리어의 모서리를 연결한 구역 |
슈팅 보드 |
차 보낸 볼이 퉁겨 나오도록 실물대로 만든 벽판. 혼자서 킥 연습하는데 편리함. |
스로인 |
볼이 터치 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마지막으로 볼에 닿은 선수의 상대 편이 경기의 재개를 위해 그 지점에서 경기장 안으로 볼을 던져 넣는 기술. |
스로잉 |
골키퍼가 볼을 잡은 다음 자기편에게 던져주는 기술 |
스루 패스 |
상대 팀 선수들 사이를 뚫고 하는 패스로 상대 팀의 방어진을 꿰뚫는 패스의 일종. |
스리백 시스템 |
3인의 센터백을 두는 수비진의 형태이며, 센터 하프가 뒤로 물러서서 스위퍼 역할을 하므로 수비를 튼튼히 하는 전술의 하나이다. |
스위퍼 |
수비진의 최후방을 전문적으로 지키는 선수로 가장 위험한 곳을 커버하는 일을 맡은 풀 백. 볼을 청소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4-2-4 전법에서 발달했다. |
스윙 |
볼을 차기 위해 다리를 흔드는 동작. |
스탠딩 헤딩 |
선 자세에서 하는 헤딩 |
스토퍼 |
상대방의 중심 선수(주로 센터 포워드)를 철저히 마크해서 상대방이 시도하는 공격을 좌절시키는 역할을 맡은 선수 |
스토핑 |
볼을 멈추는 기술뿐 아니라 다음 동작으로 옮겨 가기 위해 볼을 다루는 기술 |
스트라이킹 |
상대 팀의 선수를 치거나 때리려는 행위로 직접 프리킥의 벌칙을 받는다. |
슬라이딩 태클 |
상대가 드리블이나 패스로 공격해 올 때 자기의 몸을 내던져 공을 빼앗는 태클의 한 방법으로 수비진 선수의 최후의 수단이다. |
시스템 |
골키퍼를 제외한 10명 선수의 포진과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기본 개념. 4-3-3 시스템, 4-2-4 시스템, 4-4-2 시스템 등이 있다. |
시저스 패스 |
가위와 같은 모양으로 움직이는 패스법으로 실전에서 많이 이용된다. |
신 가드 |
정강이를 보호하기 위해 스타킹 안에 대는 용구 |
아웃사이드라이트포워드 |
라이트 윙 |
아웃사이드레프트포워드 |
레프트 윙 |
아웃 사이드 킥 |
새끼발가락의 끝 또는 축구화의 바깥쪽 가장 자리로 무릎 아래만을 흔들어 볼을 차는 킥. 아웃 프론트 킥과는 전혀 다르다. |
아웃 오브 플레이 |
볼이 터치 라인을 완전히 넘었을 경우나 주심이 경기의 중지를 명했을 경우 등 경기가 일시적으로 중단된 상태. 그 동안은 정규 경기 시간에 가산하지 않는다. |
아웃 프론트 킥 |
발등의 바깥쪽으로 볼을 차는 킥으로 볼의 코스에 변화를 줄 수가 있다. |
어드밴티지 |
경기의 진행 상태가 반칙을 범한 팀에 불리하게 되었다고 판단될 때에 주심은 그 반칙이나 위반을 벌하기 위해 경기를 중단하지 않고 그대로 경기를 속행하는 규칙. 경기 전체의 진행 상황을 잘 보고 정확한 판단이 필요한 룰이다. |
어소시에이션 풋볼 |
축구, 즉 사커의 정식 명칭이다. 세계 축구 연맹을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FIFA)라고 하며, 대체로 풋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어택 |
일반적으로 공격이나 태클을 가리키는 것이며, 상대 편 골을 목표로 공격한다는 뜻으로 해석이 된다. |
어택커 |
공격자 |
에어리어 |
일정한 지역이라는 뜻으로 골 에어리어, 페널티 에어리어, 코너 에어리어 등이 있다. |
엔드 라인 |
골 라인 |
엔드 |
사이드 |
엠티 스페이스 |
상대방에게 마크되지 않는 자유로운 장소. |
연장전 |
규정된 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때 이를 결정하기 위해 경기 시간을 연장하는 것. |
오버 스탭 |
워킹과 마찬가지로 골키퍼가 공을 가진 채 5보 이상 걸으면 상대방에게 간접 프리 킥이 주어진다. 캐링(Carrying)이라고도 한다. |
오버헤드 킥 |
상반신을 뒤로 젖히면서 자기의 머리 너머로 볼을 뒤로 차 보내는 방법 |
오브스트럭션 |
볼과 상관없이 상대에게 방해만을 하는 것으로 간접 프리 킥이 주어진다. |
오프 사이드 트랩 |
고의로 상대방을 오프 사이드 되게 하기 위하여 쓰이는 전법으로 매우 지능적인 플레이이다. 잘못 사용하면 자기 편에게 절대 위기가 온다. |
오프 사이드 |
상대방 진영 안에 들어가 있는 선수와 상대방 골라인 중간에 수비측 선수가 없거나 한 사람밖에 없을 때 그 선수는 오프 사이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럴 때 자기 편으로부터 패스를 받거나 이 볼을 플레이 하면 반칙이 되어 상대 팀에게 간접 프리킥이 주어진다. |
오픈 스페이스 |
자기 편도 상대 팀도 없는 빈 곳으로 패스의 코스가 된다. 패스를 받는 자는 마크를 벗어나서 이곳으로 뛰어 들어야 한다. |
오픈 플레이 |
볼을 길게 차서 선수들이 모이지 않는 곳으로 범위를 넓히는 플레이 |
올 멘 디펜스 |
전원수비의 형태. 공격을 맡은 포워드까지 수비에 가담한다. |
올 멘 어택 |
전원 공격의 형태. 포지션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공격에 참가하는 형태. |
옵셔널 플랙 |
하프웨이 라인 바깥쪽에 세우는 기 |
와일드 차지 |
위험한 행동 |
워밍 업 |
휴식의 타성을 이겨내기 위한 준비 운동이다. |
워킹 |
오버 스텝 |
원 사이드 커트 |
마크할 때 그 상대가 패스를 보낼 수 있는 방향을 제한하는 수법. 특히 3:2와 같이 공격하는 팀의 선수의 수가 많을 때 그 공격을 막는 데 중요하다. |
월 |
볼의 위치에 따라 포지션을 바꾸는 일을 말하며, 라이트 윙이 센터로 들어오거나 이너가 사이드 하프로 바뀌는 일이 많다. |
웨이스트 타임 |
로스 타임 |
윙 전법 |
터치 라인을 따라 드리블로 볼을 운반하여 골 라인 부근에서 센터링을 하는 전법. |
윙 하프 백 |
스리백 시스템에서 3명의 하프 백 중 좌우의 경기자를 말한다. 좌우 윙백. |
윙 |
포워드의 양쪽 끝에 위치하는 선수 아웃 사이드 포워드 |
이너 |
인사이드 포워드 |
인 플레이 |
경기 시간 중 직접 볼이 플레이 되고 있을 때의 상태 |
인다이렉트프리 킥 |
간접 프리 킥 |
인사이드 라이트 포워드 |
라이트 이너 |
인사이드 레프트 포워드 |
레프트 이너 |
인사이드 스톱 |
발의 안쪽 넓은 부분으로 볼을 받아 멈추는 기술 |
인사이드 킥 |
볼을 발의 안쪽에 대고 차는 키킹의 방법으로 정확한 것이 특징이다 |
인스텝 스톱 |
발등으로 볼을 받아 멈추는 기술. 숙달하기까지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
인스텝 킥 |
볼을 발등에 대고 차는 키킹의 방법이며, 강하게 멀리 차는데 적합하다. |
인터벌 트레이닝 |
연습 중간에 휴식할 수 있게 하거나 또한 강한 연습과 가벼운 연습을 섞어서 하도록 짜여진 연습 방법 |
인터셉트 |
상대팀의 패스 코스를 간파하여 중간에서 볼을 가로채는 것 |
인프론트 킥 |
발등의 안쪽에 볼을 대고 차는 방법으로, 주로 엄지발가락을 써서 볼을 차는 킥 방법 |
점프 발리킥 |
옆으로 오는 높은 볼을 점프하여 몸을 옆으로 넘어뜨리면서 차는 킥으로, 긴급할 때 사용하면 큰 위력을 나타낸다. |
점프 헤딩 |
공중으로 날아오는 볼을 점프하여 헤딩하는 일 |
점핑 애트 |
상대에게 덤벼드는 행동으로 직접 프리킥의 벌칙이 주어진다. |
존 디펜스 |
특정한 상대를 정해서 마크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수비해야 할 지역을 미리 정해놓고 방어하는 방법. 지역방어라고 한다. |
주심 |
선심의 도움을 받아 경기의 원활한 진행에 힘쓰고 쟁점을 해결하고 경기 결과에 대해서 최종 판정을 내리는 사람으로 절대적인 권한을 갖는다. |
중반 |
하프웨이 라인을 중심으로 폭 40~50m의 지역을 말한다. 이 지역에서의 공방전을 중반전이라 한다. |
지그재그 패스 |
패스 연습의 기본적인 방법이며 지그재그 형으로 패스해 간다. |
직접 프리 킥 |
키커(Kicker)가 찬 볼이 다른 경기자에 닿지 않고 그대로 골인되어도 득점으로 인정되는 프리 킥이다. |
직진 패스 |
자기 편에 종으로 패스를 보내고 그 앞으로 대시해가서 패스를 받는 식의 패스 |
차지 |
상대방의 어깨를 자기 어깨로 밀어서 상대의 자세를 무너뜨리는 방법으로 볼이 플레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 |
찬스 메이커 |
적절한 판단으로 효과적인 패스를 하거나 득점으로 연결되는 패스를 보내는 선수를 말한다. |
칩 킥 |
볼 밑을 비스듬히 깍듯이 차는 킥. 볼이 역회전하면서 낙하하므로 키커 앞으로 되굴러오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
캐링 |
골키퍼가 볼을 가지고 5걸음 이상 걷는 것으로 이 경우 상대 팀에게 간접 프리 킥이 주어진다. |
캐칭 |
골키퍼가 상대편이 슛한 볼을 두 손으로 잡는 기술 |
커트 |
상대편의 패스를 중간에서 가로채는 것으로 인터셉트와 같은 뜻 |
코너 에어리어 |
골 라인과 터치 라인이 마주치는 모서리에 그려진 4분의 1짜리 둥근 원안의 지역 |
코너 킥 |
볼이 마지막으로 수비측 선수의 몸에 맞고 골 라인 밖으로 나갔을 경우 공격 팀에 주어지는 프리 킥. 코너 에어리어 안에 볼을 놓고 킥한다. |
코너 플랙 |
각 코너에 세워진 깃발로서 길이 1.5m 이상되는 깃대에 단다. |
콘덕트 바이얼렌트 |
심판에게 폭언을 하거나 욕설을 하는 행위로 퇴장을 당하게 된다. |
콤비네이션 패스 |
2명 이상이 드리블, 쇼트 패스, 롱 패스, 센터링 등을 결합하여 패스하면서 공격하는 전법 |
콤비네이션 플레이 |
패스가 여러 가지로 결합된 일정한 형의 플레이로 골 킥, 코너 킥, 프리 킥, 스로인, 킥오프 등에서 사용된다. |
크로스 패스 |
공격을 좌우로 바꾸어 변화를 가져오게 하고 상대 수비가 허술한 방향으로 공격할 수 있게 하는 패스 |
크로스바 |
두개의 골포스트 위를 가로지르는 것. 골을 두 개의 골포스트와 크로스바로 이루어진다. 길이 7.32m, 폭 12cm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
클리어링 |
수비측의 경기자가 골 앞의 위험 구역에서 볼을 크게 차내어 상대 팀의 공격을 지연시키거나 막아내는 것을 말한다 |
클린 슛 |
네트에 박히는 듯한 뚜렷하고 깨끗한 슛을 말한다. |
키퍼 차지 |
골키퍼에 대하여 가하는 부당한 행위 |
킥 앤드 러시 |
상대방이 없는 장소에 볼을 길게 차 주면 포워드가 쫓아가 스피드로 공격을 전개하는 방법으로, 체력이 강한 팀이 사용하는 전법이다. |
킥오프 |
시합 개시, 후반전 개시, 득점 후의 시합 재개 때 볼을 그라운드 중앙에 놓고 경기를 시작하는 것. 이때 상대 편은 센터 서클 안에 들어오지 못한다. |
타임 업 |
시합의 종결. 타임 아웃 |
태클 |
상대가 가지고 있는 볼을 빼앗기 위하여 직접 뛰어드는 기술. 슬라이딩 태클 |
터치 라인 |
경기장 양쪽에 그어진 90 ~ 120m의 선으로 볼이 이 선 밖으로 나가게 되면 스로인이 된다. |
터치 아웃 |
볼이 터치 라인 밖으로 나가는 경우를 말한다. |
토스 |
어느 쪽이 킥 오프를 하느냐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전 같은 것을 던져 그 면에 따라 결정하는 것. |
퇴장 |
난폭한 행위나 현저하게 부정한 행위를 할 때, 욕설을 하거나 혹은 경고를 받고도 부정한 행위를 계속할 경우에 주심은 퇴장을 명할 수 있다. 퇴장한 선수에 대한 보충은 인정하지 않는다. |
투 백 시스템 |
2FB형. 포진은 풀 백 2명, 하프 3명, 포워드 5명이며, 1930년까지 일반적인 포진이었다. |
트래핑 |
스토핑의 응용 동작으로 상대방을 속이거나 공격을 피하는 방법. |
트리핑 |
상대방의 발을 걸어 넘어 뜨리거나 상대의 앞이나 뒤에서 몸을 움츠려 상대를 넘어뜨리거나 넘어뜨리려 할 때의 반칙 행위로 직접 프리 킥의 벌칙을 받는다. |
트릭 플레이 |
프리킥 등에서 득점을 목표로 상대 팀의 판단을 혼란시키는 속임수의 콤비네이션 플레이 |
파울 스로 |
스로인 할 때 행해지는 부정 행위. 이 때에는 상대 편에게 스로인이 주어진다. |
파울 플레이 |
부정 행위, 반칙 |
파울 |
경기 규칙에 정해진 부정 행위나 반칙 행위. |
파이널 |
결승전 |
팔로우 업 |
볼을 가지고 있는 자기 편 선수의 후방이나 가까이에 위치하여 지원하는 일 |
팔로우 |
볼을 따라 쫓아가는 것. |
패스 앤드 고우 |
자기 편에게 패스한 뒤 즉시 비어있는 곳으로 달려가 리턴 패스를 받기 쉽도록 준비하는 것. 패스 앤드 런, 패스 앤드 러시 |
패스워크 |
패스로 공격의 체계를 잡아가는 기술 |
패싱 앵글 |
상대 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기 편에게 패스를 보낼 수 있는 각도. 상대가 접근할수록 각도가 좁아진다. |
펀칭 |
골키퍼가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골을 향해 날아오는 볼을 잡기 어려울 경우 볼을 주먹으로 쳐내는 동작 |
펀트 킥 |
골키퍼가 사용하는 킥으로 잡았던 볼을 땅에 떨어지기 전에 차는 킥의 방법. |
페널티 에어리어 |
골 앞에 설정된 가로 40.33m, 세로 16.5m 되는 지역. 이 안에서 수비진이 직접 프리 킥에 해당하는 반칙을 범하면 상대 팀에게 페널티 킥이 주어진다. |
페널티 킥 마크 |
페널티 킥을 실시하는 지점으로 미리 골 터치라인으로부터 11m 떨어진 지점에 표시해둔다. 페널티 스포트, 페널티 마크 |
페널티 킥 |
자기 진영의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직접 프리킥에 해당하는 반칙을 범했을 경우 상대 팀에게 주어지는 킥 |
페이크 |
상대 선수를 속이기 위한 몸놀림 |
페인트 |
상대 팀 선수의 판단을 잘못하게 하려는 속임수의 동작이며, 킥 하는 모션을 취했다가 드리블 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포메이션 |
공격이나 수비에 대한 팀 특유의 대형이나 움직임을 말한다. |
포스트 플레이 |
상대 골문 근방에서 자기 편으로부터 패스를 받아 멈추지 않고 그대로 슈팅을 하거나 머리로 헤딩, 득점을 올리는 것이다. |
포워드 라인 |
포워드들이 구성하는 공격의 포진. W자형으로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
포워드 |
팀의 맨 앞줄에 위치하는 경기자들로 공격을 담당한다. 4~5명이 보통이다. |
포인트 |
골인된 득점 |
포지션 체인지 |
시합 중에 선수가 위치를 서로 바꾸는 일로 상대 팀 선수의 마크를 교란시키는 효과가 있다. |
포지션 플레이 |
시합의 진행 중 각 선수가 가장 효과적인 포지션으로 움직이는 일. 각 포지션 특유의 움직임을 말하는 때도 있다. |
포지션 |
각 선수들이 맡은 역할에 따라 차지하는 위치. 실전에서는 이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수시로 바뀐다. |
푸싱 |
손이나 발로 상대방을 밀거나 찌르거나 하는 행위로 반칙이 되며 상대방에게 직접 프리 킥이 주어진다. |
풀 백 |
골 바로 앞에 자리잡고 수비진의 최후방을 지키는 선수로 보통 2~3명이다. 현재 풀백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프라이라우펜 |
상대방의 마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패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로 뛰는 동작 |
프론트 태클 |
정면에서 상대방을 막는 태클 |
프리 킥 |
반칙 행위가 있을 때 벌칙으로 상대팀에게 주어지는 킥. 그 지점에 볼을 놓고 차며, 직접 프리 킥과 간접 프리 킥이 있다. |
프리 |
마크에서 벗어나 패스를 받기 쉬운 상태 |
플라이 볼 |
공중으로 날아 오는 볼 |
플레이 온 |
경기를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 경기 중 반칙이 있었으나 어드벤티지 룰을 적용하여 주심이 경기를 중단시키지 않고 속행하는 일 |
플레이스 킥 |
킥 오프 등 정지해 있는 볼을 차는 일 |
플레이어 |
경기자, 즉 선수를 말한다. |
피드 |
볼을 공급한다는 뜻으로 특히 전방에 있는 자기 편에게 좋은 패스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
피스팅 |
펀칭 |
피파 |
국제 축구 연맹. Federation International de Football Association의 약칭으로 스위스에 본부가 있다. |
필드 오브 플레이 |
경기 구역 |
필드 |
경기장. 그라운드(Ground)라고도 한다. |
하프 발리킥 |
볼이 그라운드에 떨어져 바운드 하는 순간을 잡아서 차는 킥의 방법 |
하프 타임 |
전반과 후반 사이의 휴식 시간. 국제시합에서는 규정상 15분이다. |
하프웨이 라인 |
두 터치 라인의 중간 지점을 연결하여 경기장을 양분하는 선으로 양 팀 진지의 경계선이 된다. 센터 라인이라고도 한다. |
하프웨이 플랙 |
하프웨이 라인과 터치 라인의 교차점에서 바깥쪽으로 1m 떨어진 곳에 세우는 깃발. 높이1.5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 |
해트 트릭 |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3점을 득점하는 것을 말한다. |
핸드 킥 |
손에 든 볼을 땅에 떨어뜨리고 그 볼이 땅에 닿기 전에 차는 킥. 골키퍼가 사용하는 킥 방법이다. |
핸들링 |
골키퍼만이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만 손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선수들은 어떠한 경우에도 손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를 어기게 되면 핸들링 되어 상대 팀에게 직접 프리 킥이 주어진다. |
헤딩 |
날아오는 볼을 이마로 받아 보내는 일. 축구에서만 사용되는 독특한 기술이다. |
홀딩 |
손이나 팔로 상대방을 잡거나 당기거나 하여 자유로운 경기를 할 수 없게 하는 행위로 상대 팀에게 직접 프리 킥이 주어진다. |
휘슬 |
주심이 경기의 진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부는 호각 |
힐 백 |
발뒤꿈치로 받아 뒤로 넘기거나 또는 머리 너머로 패스하는 킥 방법이다 |
출처:한국프로축구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