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대 |
한 국 (고조선지역) |
중 국 |
홍 적 세
(빙하기)
10,000
년전 - |
무리사회 (band society)
사회성격 : 소수 혈연집단의 이동
생활 , 완전 평등
경제형태 : 사냥, 고기잡이, 채집
고고학적 명칭 : 구석기시대,
중석기시대 |
무리사회 (band society)
사회성격 : 소수 혈연집단의 이동
생활 , 완전 평등
경제형태 : 사냥, 고기잡이, 채집
고고학적 명칭 : 구석기시대,
중석기시대 |
8,000
년전 -
|
부족사회 (tribe society)
사회성격 : 정착생활, 혈연집단의
부락 형성, 질서있는 평등, 부락이
정치.경제의 사회 기본 단위
경제형태 : 농경과 목축
고고학적 명칭 : 신석기시대 전기 |
부족사회 (tribe society)
사회성격 : 정착생활, 혈연집단의
부락 형성, 질서있는 평등, 부락이
정치.경제의 사회 기본 단위
경제형태 : 농경과 목축
고고학적 명칭 : 신석기시대 전기 |
3,000
B.C. -
|
추방사회 (chiefdom society)
사회성격 : 경제적.사회적 계층
분화, 종교적 권위자 등장, 전쟁의
출현, 부락의 연맹 형성, 전문 직업인
출현, 조직적인 장거리 교역 출현.
경제형태 : 기본적으로 농경과 목축
고고학적 명칭 : 신석기시대 후기 |
추방사회 (chiefdom society)
사회성격 : 경제적.사회적 계층
분화, 종교적 권위자 등장, 전쟁의
출현, 부락의 연맹 형성, 전문 직업인
출현, 조직적인 장거리 교역 출현.
경제형태 : 기본적으로 농경과 목축
고고학적 명칭 : 신석기시대 후기 |
2,400
B.C. -
|
- 청동기시대의 개시
古朝鮮의 출현, 국가단계의 사회 |
|
2,000
B.C. - |
|
- 청동기시대의 개시 |
18 C B.C. -
|
|
- 商王朝의 건립
국가단계의 사회 진입 |
11C
B.C. 경 - |
|
- 西周王國의 건립 |
|
철기시대의 개시연대 불확실
(10C B.C. ?) |
철기시대의 개시연대 불확실
(10C B.C.?) |
9C B.C. -
|
- 古朝鮮은 넓은 疆域의 國家단계
에 이미 진입하여 있었다. 古朝鮮
임금의 西周王室 방문, 頂上會談,
청동기문화가 비파형동검단계에
진입하였다. |
|
770 B.C. - |
|
- 春秋時代의 개시. |
403 B.C. -
|
- 철제농구의 일반화
|
- 戰國時代의 개시.
철기의 일반화. |
280
B.C. 경 -
|
- 燕國의 장수 秦開가 古朝鮮의
서방을 침략하였다가 후퇴, 그 결과
古朝鮮의 서쪽 국경선이 지금의
中國 河北省 동북부에 있는 난하의
서부연안으로 부터 그 동부 연안으로
이동하였다. 燕國의 장수 秦開가
古朝鮮을 침략 하였다가 후퇴
한 후 古朝鮮이 燕國의 동부지역을
침략하였다.
(정확한 시기는 불확실) |
- 燕國의 全盛期로서 昭王時代
|
221 B.C. -
|
- 箕子國이 中國의 통일세력에
밀려 난하의 서부연안으로부터 그
동부연안 즉 古朝鮮의 서부 변경으로
이동하여 古朝鮮의 諸侯國이 되었
다. 古朝鮮이 두 번째 도읍이었던
白岳 山阿斯達(지금의 中國 河北省
昌黎 부근에 있었던 險瀆)로부터
세번째 도읍이었던 藏唐京 (지금의
中國 遼寧省 北鎭에 있었던
險瀆)으로 遷都하였다. |
- 中國의 통일, 秦帝國의 출현.
|
206 B.C. -
|
|
- 漢 (劉邦)과 西漢 (項羽)의 抗爭
이 시작 되었다. |
201 B.C. -
|
- 西漢帝國은 지금의 난하 동부유역
에 있었던 古朝鮮과의 국경선이 너무
멀어 지키기 어려우므로 秦開의
古朝鮮 침략 이전에 난하의 서부연안
에 설치되어 있었던 국경 초소를
다시 수리하여 국경의 방어선을
그곳으로 옮기고 국경을 浿水 즉 지금
의 난하로 하였다. 따라서 古朝鮮의
서쪽 국경선은 秦開의 침략 이전과
동일하게 되었다. |
- 西漢帝國의 建立.
|
195 B.C. -
|
- 衛滿이 西漢의 燕地域으로부터
箕子國으로 망명하였다. 箕子國의
準王은 衛滿을 博士로 삼고 국경선인
浿水 (지금의 난하) 동부연안에 봉지
를 주어 그곳에 거주하며
西漢의 침략을 방어하도록 하였다. |
- 西漢의 侯王이었던 燕王 노관이
서한에 모반하였다가 匈奴로 도망
하였다.
|
194
B.C. 경 -
|
- 衛滿이 準王으로부터 정권을 탈취
하여 衛滿정권이 성립되었다. 準王은
지금의 渤海로 도망하였다. |
- 처음으로 長安城을 쌓았다.
|
180
B.C. 경 -
|
- 衛滿은 西漢帝國의 外臣이 될 것을
遼東 太守를 통하여 약속하였다.
衛滿은 西漢 帝國으로부터 군비와
경제의 지원을 받아 古朝鮮의 서부를
침략하여 들어왔다.
終局에는 衛滿이 지금의 遼河에
조금 못 미치는 지역까지를 차지함
으로써 명실상부한 衛滿朝鮮이 건립
되었다. 그 결과 古朝鮮과 衛滿 朝鮮
은 東西로 대치하여 병존하게 되었
다. 古朝鮮은 도읍을 藏唐京 (지금의
中國 遼寧省의 北鎭에 있었던
險瀆)으로부터 阿斯達 (지금의
中國 遼寧省 沈陽 동남)로 옮겼는데
그곳은 古朝鮮의 첫 번째
도읍 이었던 平壤城이기도 하였다. |
- 陳平.周勃이 呂氏 세력을 誅殺하였
다.
群臣이 代王 恒을 맞아들이니 이
사람이 文帝이다.
|
128 B.C. -
|
- 衛滿朝鮮의 濊君이었던 南閭 등
28만명이 右渠王을 배반하고 西漢에
항복 하니 西漢은 창해군을 설치하였
다. |
- 匈奴가 西漢을 침략하였다.
|
110 B.C. -
|
- 朝鮮相 歷谿卿이 諫하였으나
右渠王이 그 것을 듣지 않으므로
동쪽의 辰國으로 갔는데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2천여 호나 되었다. |
- 平準法을 제정하였다.
|
109 B.C. -
|
- 西漢 武帝가 군사를 일으켜
衛滿朝鮮을 침략하였다. |
- 武帝가 東萊에 巡行하여 泰山에
제사지냈다. 진을 평정하고 益州郡를
설치하였다. |
108 B.C. -
|
- 尼谿相 參이 사람을 시켜 衛滿朝鮮
의 右渠王을 살해하고 西漢에 항복하
였다. 衛滿朝鮮이 멸망되고 그 지역
에 樂浪.眞番.臨屯 등
西漢의 3郡이 설치 되었다. |
|
107 B.C. -
|
- 西漢은 衛滿朝鮮을 멸망시키고
그 餘勢를 몰아 古朝鮮의 서부 변경을
침략 하여 지금의 遼河까지를 차지하
고 새로 복속된 遼河 서부연안 지역에
현토군을 설치하였다. 衛滿朝鮮과
古朝鮮의 서부 변경 거주인들이
西漢의 침략에 항거 하며 遼河 동쪽
으로 이동하였다. 衛滿의 高朝鮮
침략, 西漢의 衛滿朝鮮과 古朝鮮
침략 두 차례에 걸쳐 지금의 遼河
서쪽의 原住地로부터 遼河 동쪽의
滿洲와 한반도 북부로 이동한 집단은
원래 古朝鮮을 구성했던 부족이었는
데 이제 古朝鮮 왕실이 그들을 통제할
능력을 상실하자 그들은 각각 독립
된 정치세력으로 등장하였다.
그들은 원래의 부족명이나 거주지
의 명칭을 국명으로 삼았는데 高句麗.
濊貊.夫餘.沃沮.樂浪 등이 그것이다.
이로써 한국 고대사는 列國時代가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
- 匈奴가 使臣을 파견하였다. 匈奴가
변경을
침략하니 郭昌을 朔方에 주둔시겼다.
|
첫댓글 좋은 계시물 스크랩 해갑니다 ^^*
고조선의 건국 년도는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고 있는 C14공법으로 기원전 3006(2993)년에 건국됨이 밝혀졌습니다. 북한학계에서도 이렇게 되어있구요. 바꿔야 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