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시 한 편, 영상 한 편] 백암성총의 시 <숨어 살면서(幽居)>, 동명스님의 선시에서 길 찾기 <낭만을 회복하자>
숨어 살면서(幽居)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
높은 나무에는 아름다운 새 깃드는데
사립문으로는 속세의 나그네 찾질 않네
맑게 갠 창가에 적막하게 앉았더니
푸르고 흰 구름만 유유히 떠가는구나
喬木有佳禽 柴門無俗客 晴窓坐寂寥 只管雲靑白
시냇가에서 뜯은 푸성귀 천천히 익히고
자고 일어나면 진하게 차를 달인다네
참선하는 마음 물처럼 맑은데
항하사 같은 경전 뭐 하러 읽으리
嬾煮澗邊蔌 濃煎睡後茶 禪心淸似水 不必誦恒沙
[감상]
사람이란 참 묘합니다. 사람을 너무 많이 만나는 이는 사람들 사이에서 벗어나고 싶어하지만, 사람을 만나기 힘든 이는 사람이 그립습니다. 오두막 같은 암자에서 혼자 사는 선승도 사람이 그립겠지요. 그래서 그는 나무에 새들이 날아와 앉는 것을 보며, 암자에는 사립문 밀고 들어서는 이 한 명 없구나 하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선사가 맑게 갠 창가에 앉아 하늘을 보니, 구름이 유유히 떠서 어디론가 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극히 심심하게 선사의 하루가 시작됩니다.
선사는 시냇가에서 뜯은 푸성귀를 천천히 익혀 식사하고, 낮잠 한숨 자고 일어나 머리가 맑아지지 않으면 진한 차를 달여 마십니다. 차를 마시고 나서 참선하면 마음이 물처럼 맑은데, 마음이 맑아짐으로써 선사에게 수행은 이미 끝인 것일까요? 선사는 굳이 갠지스 강의 모래알처럼 많은 경 읽을 필요 없다고 말합니다. 하기야 경을 읽어야 한다는 생각도 마음을 분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선시를 많이 쓴 옛 선사들은 이렇게 한가하게 산 경우가 꽤 있습니다. 그들은 대체로 “한 병의 물에 한 냄비의 차”만 있으면 되고, 목마르면 손수 차를 끓여 마시고, “대지팡이 하나에 부들 방석 하나/ 걸어가도 선이요 앉아서도 선”(복암충지, 「산중의 즐거움(山中樂)」)이며, “배고프면 먹고 곤하면 자며,/ 무심하여 어떤 대상 만나든 한가하여”(백운경한, 「다시 12수의 송을 짓다(又作十二頌呈似)」) 언제나 여유만만입니다.
선사들의 시를 읽으면서 나 자신의 삶을 되돌아봅니다. 제게는 참 많은 과제가 주어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마음만은 한가해지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몸은 바빠도 되지만 마음만은 언제나 한가해야 합니다. 도심사찰에서 오히려 산사에서처럼 고요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영상 한 편] “낭만을 회복하자” - 선시에서 길찾기(2)
https://youtu.be/gNB_Iw9Eo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