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획 부수(23자)
[玄] 검을 현
1. 玄 부수의 구실 : 玄
(1) 글 꼴 : 會 ① 短
(2) 위 치 : 머리
(3) 글자 뜻 :‘亠+幺’→덮이고 멀고 깊음(단독 글자)
(4) 玄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이 자(玄玄)와 무성할 자(茲)는 音은 같고 뜻은 다르다
2. 玄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현→呟 娹 弦 惤 泫 炫 玹 痃 眩 絃 胘 舷 蚿 衒 袨 䝮 誸 鉉 등
3. 玄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솔→摔 蟀 / 자→嵫 滋 鎡 등
4. 玄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玄 玆 玈 率
玄(검을 현) 玆(이 자) 玈(검을 로{노}) 率(거느릴 솔)
5. 初級 千字 中 該當字 없음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玄(검을 현) 玄德 玄妙 玄牝. 妙玄 深玄 天玄// 玆(이 자)//
率(거느릴 솔, 비율 율) 率去 率先 率獸食人. 家率 引率 直率. 百分率 比率 因果律 3字
[玉] 구슬 옥
1. 玉 부수의 구실 : 王(변), 단독자와 발에서는 玉, 全은 예외
(1) 글 꼴 : 象 ④ 短
(2) 위 치 : 변
(3) 글자 뜻 :‘☰+∣’→세 개의 구슬을 꿰다(단독 글자)
(4) 玉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구슬 옥→王은 가로획 3개의 간격이 같고
임금 왕→‘’은 가로획의 위쪽 칸은 좁고 아래쪽 칸은 넓다
玉이 변에서는 ‘丶’이 탈락하고 本字인 ‘王’로 쓰기 때문에 ‘임금 왕 변’이라고 하나 잘못이다 ‘구슬 옥’ 변이다 /
*뜻은 ‘石’과 通, 소리에 관한 글자는 ‘石․金’과 通함
2. 玉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
3. 玉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각→珏 / 반→斑 / 벽→碧 / 보→寶 /
슬→璱 / 전→佺 全 姾 恮 拴 栓 牷 痊 筌 絟 詮 등
4. 玉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玉 玏 玎 玕 玖 玘 玓 玠 玦 玫 玟 외
玉(옥 옥) 玏(옥 비슷한 돌 륵{늑}) 玎(옥 소리 정) 玕(옥돌 간) 玖(옥돌 구) 玘(패옥 기) 玓(빛날 적)
玠(큰 홀 개) 玦(패옥 결) 玫(매괴 매) 玟(옥돌 민) 외 생략
5. 初級 千字 中 該當 8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王]: 임금 왕指 ① 短. ‘(天 地 人)+’(꿰뚫음)→왕 왕→旺 往 汪 枉 㑌 尫 暀 迬 등의音部
[玉]: 구슬 옥象 ④ 短. ‘☰+’→3개의 옥을 꿰다 옥→鈺 砡 莹 鳿 등의音部
[珍]: 보배 진形 ① 短. ‘王+㐱 (音)’→보배. 진귀함
[班]: 나눌 반會,形 ① 短. ‘珏(音)+刀’→옥을 칼로 가르다. 나누다
‘刀’가 ‘刀,刂’일 때 部首이고, ‘リ’일 때는 字部로서 뜻만 갖는다 반 →斑의 音部
[球]: 공 구形 ① 短. ‘王+求(音)’→ 옥. 공, 아름다운 옥
[理]: 다스릴 리形 ② 長. ‘王+里(音)’→다스리다. 이치. 道도. 조리. 결
[現]: 나타날 현形 ③ 長. ‘王+見(音)’→나타나다. 나타내다. 이제. 이승
[環]: 고리 환形 ① 短. ‘王+睘(音)’→고리 옥. 돌다. 두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王(임금 왕) 王建 王公 王權. 國王 女王 帝王// 玉(옥 옥) 玉階 玉昆金友 玉冠. 瓊玉 白玉 紅玉//
珍(보배 진) 珍客 珍寶 珍珠. 嘉珍 袖珍 海珍// 班(나눌 반) 班固 斑白 班婕妤. 同班 武班 兩班//
球(공 구) 球菌 球根 球狀. 籠球 排球 蹴球// 理(다스릴 리) 理氣 理致 理解. 公理 無理 眞理//
現(나타날 현) 現像 現在 現品. 具現 實現 再現// 琴(거문고 금) 琴曲 琴瑟 琴心. 大琴 心琴 彈琴//
琢(쫄 탁) 琢句 琢磨 琢切. 刻琢 磨琢 切磋琢磨// 環(고리 환) 環境 環象 環形. 金環 玉環 花環 10字
[瓜]오이 과
1. 瓜 부수의 구실 : 瓜
*이 부수자는 가운데 획이 2획인 ‘厶’꼴이다. 글자 중앙 획의 오른쪽 삐침은 붓을 떼어 왼쪽으로 벗어나면
삐침이 별도 획이다. 瓦, 禸, 虫 등
그러나 변에서의 삐침은 붓을 떼어도 별도 획이 아니다. 幺 糸 此 政 路 등
(1) 글 꼴 : 象 ① 短
(2) 위 치 : 방
(3) 글자 뜻 :‘𠘨+厶’→오이 덩굴과 열매’(단독 글자)
(4) 瓜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
2. 瓜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고→呱 孤 柧 泒 笟 箛 糕 罛 胍 苽 菰 蛌 觚 軱 鈲 / 과→𠇗 坬 㧓 𤬁 /
와→㧓 溛 窊 / 호→弧 瓠 狐 등
3. 瓜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위 音部 및 窳 등
4. 瓜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瓜 瓝 瓟 瓞 瓠 瓢 瓣
瓜(오이 과) 瓝(외지 포{오이 박}) 瓟(오이 박) 瓞(북치 질) 瓠(표주박 호) 瓢(박 표) 瓣(외씨 판)
*字劃자획에 주의
5. 初級 千字 中 該當字 없음
2.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瓜(오이 과) 瓜葛之親 瓜田不納履. 苦瓜 王瓜 胡瓜
[瓦] 기와 와
1. 瓦 부수의 구실 : 瓦
(1) 글 꼴 : 象 ② 長
(2) 위 치 : 방․혹 발
(3) 글자 뜻 :‘지붕을 이은 기와’(단독 글자)
(4) 瓦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缶’ 부수와 통한다
2. 瓦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와→佤 砙 齀 등
3. 瓦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
4. 瓦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瓦 瓨 瓬 瓰 瓮 瓴 瓸 瓷 甁 瓿 甃 甄 甈 瓽 甇 甌 甍 甋 甎 甐 甒 甑 甏 甔 甓 甕 甖 甗
瓦(기와 와) 瓨(항아리 강) 瓬(오지그릇 방) 瓰(동이 분) 瓮(독 옹) 瓴(동이 령{영}) 瓸(우물 벽돌 백)
瓷(오지그릇 자) 甁(병 병) 瓿(단지 부) 甃(벽돌담 추) 甄(질그릇 견) 甈(항아리 계) 瓽(큰 동이 당) 甇(항아리 앵)
甌(사발 구) 甍(용마루 맹) 甋(벽돌 적) 甎(벽돌 전) 甐(그릇 린{인}) 甒(술 단지 무) 甑(시루 증) 甏(질그릇 팽)
甔(항아리 담) 甓(벽돌 벽) 甕(독 옹) 甖(술 단지 앵) 甗(시루 언)
5. 初級 千字 中 該當字 없음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瓦(기와 와) 瓦家 瓦釜 瓦窯. 陶瓦 靑瓦 漆瓦
[甘] 달 감
1. 甘 부수의 구실 : 甘. 발에서의 자부는 曰
(1) 글 꼴 : 指 ① 短
(2) 위 치 : 변․혹 발
(3) 글자 뜻 :‘ꇴ +⁃=甘’→입안에 단 것이 들어 있음(단독 글자)
(4) 甘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旨 香 嗜 등의 글자에서 발에 짜인 ‘日’자 꼴은 모두 ‘甘’字의 변형이다
2. 甘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감→咁 坩 嵌 柑 泔 玵 疳 苷 甝 蚶 詌 酣 /겸→拑 箝 鉗 黚 등
3. 甘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감→勘 墈 嵁 歁 磡 / 담→啿 姏 湛 霮 黮 / 매→媒 楳 煤 禖 腜 /
모→某 謀 / 심→愖 椹 煁 葚 / 향→萫 香 麘 등
4. 甘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甘 甚 甛
甘(달 감) 甚(심할 심) 甛(달 첨)
5. 初級 千字 中 該當 1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甘]: 달감 指 ① 短. ‘口+⁃’→입안에 맛있는 것이 들어있음. 달다. 달게 역이다. 맛이 좋다
감→咁 坩 嵌 柑 泔 玵 疳 苷 甝 蚶 詌 酣 / 겸→拑 箝 鉗 黚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甘(달 감) 甘露 甘藷 甘草. 露甘 言甘 含甘// 甚(심할 심) 甚急 甚深 甚至於. 極甚 恨甚 幸甚 2字
[生] 낳을․살 생
1. 生 부수의 구실 : 生. 다른 글자의 머리에 짜일 때 ‘’는 부수가 아님
(1) 글 꼴 : 象 ① 短
(2) 위 치 : 발․변․혹 방
(3) 글자 뜻 :‘土+屮’→땅 위의 초목이 자람(단독 글자)
(4) 生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生’과 靑의 ‘’은 같은 ‘𤯓 (小篆 꼴)이나 앞은 부수와 音部로 쓰이고
뒤는 자부로 쓰인다
2. 生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생→栍 泩 湦 牲 甥 眚 苼 鉎 鼪 / 성→姓 性 星 煋 猩 瑆 胜 腥 醒 등
3. 生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정→情 精 靚 鼱 / 청→凊 圊 掅 晴 淸 睛 碃 聙 蜻 請 䝼 郬 靜 鶄 등
4. 生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生 甡 産 甥 甤
生(날 생) 甡(모이는 모양 신) 産(낳을 산) 甥(생질 생) 甤(열매 많이 열릴 유)
5. 初級 千字 中 該當 2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
[生]: 낳을 생,살 생象 ① 短. ‘土+屮’→땅위의 초목이 땅에서 자람. 살리다. 나다 생산할 산은 ③ 長
생→牲 笙 栍 泩 湦 眚 苼 貹 鉎 鼪 / 성→性 姓 腥 醒 惺 猩 煋 狌 瑆 胜 鍟 星 / 쟁→崝 / 정→精 情 靖 睛 瀞 婧
箐 聙 腈 靘 靚 鼱 / 청→靑 淸 請 晴 菁 鯖 凊 圊 掅 氰 碃 蜻 䝼 郬 鶄 등의音部
[産]: 낳을 산形 ② 長. ‘生+彦(省略音)’→낳다. 생산하다. 만들어 내다. 자라나다. 출생지. 기를 산은 ③ 長
산→剷 嵼 㦃 㯆 滻 簅 鏟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生(날 생) 生命 生水 生六臣. 更生 死生 學生// 産(낳을 산) 産苦 産業 産月. 生産 不動産 有恒産 有恒心
[用]쓸 용
1. 用 부수의 구실 : 用
(1) 글 꼴 : 會 ③ 長
(2) 위 치 : 발
(3) 글자 뜻 :‘卜+中’→占쳐 맞으면 곧 실천함(단독 글자)
(4) 用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날랠 용‘勇’의 ‘田’ 꼴은 잘못
2. 用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송→誦 / 용→俑 悀 勇 慵 庸 槦 滽 甬 砽 筩 踴 鄘 鱅 鷛 /
통→捅 桶 樋 㷁 熥 痛 筩 蓪 鯒 通 등
3. 用 부수의 子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박→博 搏 薄 / 보→烳 甫 䀯 簠
보→莆 補 蜅 輔 䩉 䩉 黼 鞴 / 부→傅 賻 / 주→周 徟 裯 賙 輖 週 / 포→匍 哺圃捕 浦 脯 蒲 葡 逋 등
4. 用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用 甪 甫 甯
用(쓸 용) 甪(사람 이름 록{녹}) 甫(클 보) 甯(차라리 녕{영})
5. 初級 千字 中 該當 1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用]: 쓸 용會 ③ 長. ‘卜+中’→占쳐 맞으면 곧 실천함.쓰다. 쓰이다. 씀씀이. 하다
용→佣 俑 傭 勇 埇 墉 嫞 庸 恿 悀 慂 慵 槦 涌 湧 滽 甬 甭 甮 砽 筩 蛹 踊 踴 鄘 鏞 鱅 鷛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用(쓸 용) 用務 用財 用品. 公用 私用 社用
[田]밭(논) 전(本音 뎐)
1. 田 부수의 구실 : 田
(1) 글 꼴 : 象 ① 短
(2) 위 치 : 변․발
(3) 글자 뜻 :‘囗 +十=田’→논(밭)길과 경계(단독 글자) 우리나라는[國]田+水=畓을 논 답으로 쓰고 있다
(4) 田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申 由 甹 畏 畚 등은 ‘田’의 뜻이 아니다
*土와 일부 통
2. 田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전→佃 屇 沺 畠 鈿 등
3. 田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뇨→嬲 /뢰→儡 擂 攂 檑 櫑 瓃 癗 磥 礧 蕾 / 루→壘 嫘 攂 累 罍 礨 鼺 /
류→㙧 溜 瓃 鎦 / 비→嚊 嬶 濞 䑄 襣 鼻 /익→翼 𧾰/ 전→傳 甸 囀 塼 嫥 暷 湹 瀍 瑼 甎 磚 纏 縳 膞 躔 輾 轉 등
4. 田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田 甲 申 由 男 甹 甸 町 외
田(밭 전) 甲(첫째 천간 갑) 申(아홉째 지지 신) 由(말미암을 유) 男(사내 남) 甹(말이 잴 병) 甸(경기 전)
町(밭두둑 정) 외 생략
5. 初級 千字 中 該當 12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田]: 밭․논 전象 ① 短. ‘口+十’→논(밭)길과 경계. 곡식을 심는 경작지. [國]→‘밭’으로 [日]의 밭은 ‘畑’
전→屇 沺 畠 鈿 등의 音部
[甲]: 갑옷 갑象 ④ 短. ‘초목(쌍 떡잎 식물)이 껍질을 쓰고 싹 나는 모양’,껍질. 거북의 등딱지. 시작
갑→岬 鉀 閘 匣 胛 玾 笚 舺 / 압→押 狎 등의 音部
[申]: 펼 신象 ① 短. ‘臼(오그라짐)+丨(펴짐)’→음기가 펴다 줄다 함, 神의 古字. 거듭 펼 신은 ③ 長
곤→坤/ 신→神 伸 紳 呻 妽 抻 柛 榊 珅 眒 砷 胂 등의音部
[由]: 말미암을 유會 ① 短. ‘囗+-+丨由’→東西를 횡, 南北을縱=由(말미암다). 까닭. …에서
유→柚 油 釉 / 주→伷 冑 宙 怞 紬 胄 菗 / 추→抽 등의 音部
[男]: 사내 남會 ① 短. ‘田+力’→사내는 논밭에서 힘씀. 아들. 젊은이. 남작
[界]: 지경 계形 ③ 長. ‘田+介(音)’→경계. 땅의 경계.이승. 온 누리
[留]: 머무를 류形 ① 短. ‘田+𠃢(音)’→그치다. 머물다,남아있다, 지체하다
류→瑠 溜 榴 瘤 㙧 媹 嵧 廇 熘 罶 遛 鎦 霤 飅 餾 騮鰡 鶹 등의 音部
[略]: 다스릴 략形 ④ 短. ‘田+各(音)’→토지를 經略함.줄임. 대강
[異]: 다를 리會 ③ 長. ‘田+ㅈ=畀(주다)+廾(두 손)’→물건을 두 손에 나누다. 주다, 다르다. *‘田+共+異’의
11획은 잘못, 12획이다 이→廙 潩 등의 音部
[番]: 갈마들 번會,形 ① 短. ‘釆(짐승발톱)+田(발바닥)’→갈마들다. 번 들다, 혹 足煩→사람 발이 번 들다
반→潘 蟠 磻 / 번→僠 勫 墦 嬏 幡 旛 橎 㸋 燔 璠 磻 籓 繙 羳 翻 膰蕃 藩 蹯 轓 鐇 飜 鱕 鷭 등의 音部
[畫]: 그림 화會 ③ 長. ‘聿+畵()’→밭의 한계. 그림. 그을획은 ④ 短 획→劃 嫿 繣 의音部
[當]: 당할 당形 ① 短. ‘田+尙(音)’→밭을 서로 대하다. 당하다. 마땅하다. 상당 전당할 당은 ③ 長
당→儅 噹 壋 擋 檔 澢 璫 礑 簹 艡 蟷 襠 鐺 闣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田(밭 전) 田畓 田里 田園. 桑田 茶田 畬田//
甲(껍질 갑, 첫 째 천간) 甲骨書契 甲子 甲蟲. 龜甲 手甲 回甲//
申(펼 신, 아홉째 지지) 申告 申申當付 申請. 內申 上申 鳥申//
由(말미암을 유) 由來 由是觀之 由緣. 緣由 自由 何由//
男(사내 남) 男女 男負女戴 男婚女姻. 得男 善男善女 長男//
界(지경 계) 界面調 界說 界限. 境界 敎育界 政界// 畓(논 답) 畓穀 畓農 畓主. 乾畓 門前沃畓 天水畓//
畏(두려워할 외) 畏敬 畏影惡迹 畏友. 恭畏 君子三畏 後生可畏//
留(머무를 류{유}) 留念 留保 留學. 居留 拘留 滯留//
畜(쌓을 축) 畜産 畜養 畜愛. 家畜 牧畜 人畜// 略(다스릴 략{약}) 略歷 略語 略字. 簡略 大略 下略//
畢(마칠 필) 畢頭 畢意 畢婚. 農功畢 未畢 終畢// 番(갈마들 번) 番國 番地 番番. 當番 順番 地番//
異(다를 이) 異端 異物 異姓. 驚異 怪異 特異// 畫(그림 화) 畵廊 畵六法 畵板. 東洋畵 西洋畵 繪畵/
當(당할 당) 當面 當然 當下. 配當 相當 正當// 畿(경기 기) 畿內 畿伯 畿湖. 京畿 近畿 邦畿// 17字
[疋]짝 필, 발 소
1. 疋 부수의 구실 : 疋은 방․발. 疏소의 변은 4획
(1) 글 꼴 : 象 ④ 短
(2) 위 치 : 변
(3) 글자 뜻 :‘장딴지와 무릎 아래’. 匹과 音(切韻)이 같아서(匹=譬吉切=疋) 짝으로 쓴다(단독 글자)
(4)疋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走․足․辵’ 등과 발 부분 ‘止’가 同字이며, 뜻도 서로 통한다
2. 疋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서→壻 婿 㥠 揟 楈 湑 稰 糈 縃 胥 蝑 諝 醑 / 소→蔬 梳 梳 疏 䖻 䟽 등
3. 疋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의→儗 寲 擬 𥨯 籎 薿 觺 譺 䰯/ 응→凝 등
4. 疋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疋 疏 疑 疐
疋(필 필{발 소}) 疏(트일 소) 疑(의심할 의) 疐(꼭지 체{발끝 채일 치})
5. 初級 千字 中 該當 1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疑]: 의심할 의會,形 ① 短. ‘[匕+矢]+[子+止]’→의심하다 의심컨대. 아마
의→擬 儗 寲 𥨯 籎 薿 觺 譺 䰯 / 치→癡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疏(疎의 本字) 疏開 疏遠 疏通. 密疏 上疏 稀疏// 疑(의심할 의) 疑問 疑心 疑惑. 半信半疑 質疑 懷疑
[疒]병 질, 병들어 기댈 녁
1. 疒 부수의 구실 : 疒
(1) 글 꼴 : 象 - -
(2) 위 치 : 엄
(3) 글자 뜻 :‘병자가 물건에 기댐’(단독 글자로 거의 쓰이지 않음)
(4) 疒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广’․‘爿’ 부수와 일부 통함
2. 疒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3. 疒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매→寐 / 병→寎 / 오→寤 / 침→寢 등
4. 疒 부수에 소속된 글자 : 㽱 疕 疔 疘 疚 疝 𤴱 疙 疥 疧 疪 외
㽱(복통 교{혹 구}) 疕(머리 헐 비) 疔(정 정) 疘(탈항증 공) 疚(오랜 병 구) 疝(산증 산)
𤴱( ) 疙(쥐부스럼 흘) 疥(옴 개) 疧(앓을 저{기}) 疪(다릿병 비) 외 생략
5. 初級 千字 中 該當 3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病]: 병들 병形 ③ 長. ‘疒+丙(音)’→병이 가중함. 질병. 병통. 근심. 나쁜 버릇. 헐뜯다
[疲]: 지칠 피形 ① 短. ‘疒+皮(音)’→피로함. 여위다. 앓다. 힘이 없다
[痛]: 아플 통形 ③ 長. ‘疒+甬(音)’→병. 아프다. 괴로움,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疫(염병 역) 疫鬼 疫病 疫疾. 救疫 防疫 災疫// 病(병 병) 病暇 病苦 病痛. 看病 臥病 疾病//
症(증세 증) 症狀 症勢 症候. 渴症 重症 虛飢症// 疾(병 질) 疾苦 疾故 疾風. 多疾 篤疾 宿疾//
疲(지칠 피) 疲困 疲勞 疲瘠. 氣疲 心疲 力疲// 痛(아플 통) 痛哭 痛烈 痛快. 苦痛 心痛 哀痛
[癶] 걸을 발, 필 발
1. 癶 부수의 구실 : 癶
(1) 글 꼴 : 象 - -
(2) 위 치 : 머리
(3) 글자 뜻 :‘𣥠’→두다리를 뻗친 꼴, 제 자리에서 걷거나 오르는 모양(단독 글자로 쓰이지 않음)
(4) 癶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거의 없음
2. 癶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발→撥 潑 發 襏 蹳 醱 鏺 鱍 등
3. 癶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규→揆 楑 湀 葵 鄈 / 등→墱 嬁 嶝
櫈 𣰆 璒 磴 簦 膯 蹬 邆 鐙 霯 䳾 / 증→撜 證 등
4. 癶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癸 癹 登 發
癸(열째 천간 계) 癹(짓밟을 발) 登(오를 등) 發(쏠 발)
5. 初級 千字中 該當 2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登]: 오를 등會 ① 短. ‘癶+豆’→수레에 오르다. 높은 곳에 오르다. 이루다. 등용되다
등→凳 噔 墱 嬁 嶝 橙 櫈 㲪 𣰆 燈 璒 磴 簦 膯 蹬 邆 鄧 鐙 霯 䳾 / 증→證 / 징→澄 瞪 등의 音部
[發]: 쏠 발,필 발會,形 ① 短. ‘弓+癹(音)’→화살을쏘다. 펴다. 피다. 흩다
발→撥 醱 潑 襏 蹳 鏺 鱍 / 폐→廢 櫠 癈 䉬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癸(헤아릴 계, 열째 천간) 癸卯 癸水 癸酉 癸丑. 庚癸 天癸//
登(오를 등) 登降 登記 登熟. 攀登 先登 秋登// 發(쏠 발) 發達 發展 發表. 開發 連發 興發
[白] 흰 백
1. 白 부수의 구실 : 白
(1) 글 꼴 : 指 ④ 短
(2) 위 치 : 변
(3) 글자 뜻 :‘入+二’→陰과 西. 해질 때의 物色(단독 글자)
(4) 白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皆 魯 者 㿧 智 百 書 皇등에 짜인 ‘白’자는 ‘自’자의 체, ‘백 박 벽’ 音部는 ‘白’. ‘맥’ 音部는 ‘百’이 원칙이다
2. 白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개→皆 勓 喈 堦 揩 湝 稭 蝔 鍇 鶛 / 로→魯 櫓 鑥 /
박→拍 泊 狛 珀 箔 胉 舶 迫 鉑 / 백→伯 帛 洦 瓸 竡 粨 絔 苩 魄 / 면→婂 棉 檰 綿 緜 矊 / 자→者 啫 赭 䰇 /
저→著 猪 箸 楮 渚 躇 藷 儲 櫡 櫧 櫫 瀦 㶆 翥 藸 蝫 蠩 褚 豬 陼 등
3. 白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습→嶍 槢 熠 謵 / 호→澔 / 황→凰 偟 堭 徨 煌 遑 등
4. 白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白 百 皁 的 皆 皇 皐 皎 皕 皓 皖 皙 皚 皜 皞 皝 皛 皤 皦 皪 皫 皭
白(흰 백) 百(일백 백) 皁(하인 조) 的(과녁 적) 皆(다 개) 皇(임금 황) 皐(부르는 소리 고) 皎(달빛 교)
皕(이백 벽) 皓(흴 호) 皖(샛별 환) 皙(살결 흴 석) 皚(흴 애) 皜(흴 호) 皞(밝을 호) 皝(엄숙한 모양 황)
皛(나타날 효) 皤(머리 센 모양 파) 皦(옥석 흴 교) 皪(흰 모양 력{역}) 皫(흰빛 표) 皭(흴 작)
5. 初級 千字 中 該當 3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白]: 흰 백會 ④ 短. ‘入+二’→陰과 西. 해질 때의 物色을 희다고 본 것에서 희다 의 뜻 말할 지는 ③ 長
박→舶 迫 拍 泊 箔 珀 粕 啪 胉 萡 鉑/ 백→伯 柏 魄 帛 岶 苩 萡 金白/ 벽→碧 碧등의 音部
[百]: 일백 백會 ④ 短. ‘一+白’→十의 十, 곧 一百. 온갖 백→ 佰(=百의 갖은자) / 맥→ 絔 貊 陌 蛨 맥등의音部
[的]: 과녁 적形 ④ 短. ‘日(本)+勺’→밝다. 과녁. 희다. 확실하다. 적중하다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白(흰 백) 白圭之詩 白色 白磁. 潔白 告白 黑白// 百(일백 백) 百年大計 百折不屈 百尺竿頭. 一當百 千百 萬百//
的(과녁 적) 的當 的實 的中. 公的 私的 標的// 皆(다 개) 皆骨山 皆勤 皆旣月蝕 皆動. 擧皆 悉皆//
皇(임금 황) 皇考 皇姑 皇帝. 敎皇 三皇 太上皇
[皮]가죽 피
1. 皮 부수의 구실 : 皮
(1) 글 꼴 : 會 ① 短
(2) 위 치 : 방
(3) 글자 뜻 :‘ㄕコ+又’→손으로 가죽을 벗김(단독 글자)
(4) 皮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韋’․‘革’과 일부 통함
2. 皮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파→𠴸 坡 婆 岥 櫇 波 玻 破 碆 簸 菠 蚾 跛 錃 頗 /
피→帔 彼 披 疲 翍 詖 鈹 陂 鞁 骳 髲 등
3. 皮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위 참고
4. 皮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皮 皰 皵 皸 皺 皻 皽 皾
皮(가죽 피) 皰(여드름 포) 皵(주름 작) 皸(틀 군) 皺(주름 추) 皻(여드름 사) 皽(박막 전) 皾(매끄러울 독)
5. 初級 千字 中 該當字 없음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皮(가죽 피) 皮骨相接 皮膚 皮相. 桂皮 鷄皮 草根木皮
[皿] 그릇 명
1. 皿 부수의 구실 : 皿
(1) 글 꼴 : 象 ② 長
(2) 위 치 : 발
(3) 글자 뜻 :‘그릇 꼴’, 그릇의 몸, 그릇바닥(단독 글자)
(4) 皿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
2. 皿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맹→勐 猛 盟 蜢 艋 錳 등
3. 皿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감→礛 鑒 / 개→瓂 磕 / 람→嚂 㜮 擥 攬 欖 灆 爁 籃 藍 襤 覽 /
려→廬 臚 / 합→廅 榼 溘 熆 篕 등
4. 皿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皿 㿻 盂 盆 盈 盅 惠 盋 盎 昷 盌 益 盍 盉 盓 盒 盔 盚 盜 盛 盝 盟 盞 監
皿(그릇 명) 㿻(쟁반 간) 盂(바리 우) 盆(동이 분) 盈(찰 영) 盅(빌 충) 惠(은혜 혜) 盋(사발 발) 盎(동이 앙)
昷(어질 온) 盌(주발 완) 益(더할 익) 盍(덮을 합) 盉(조미할 화) 盓(물 소용돌이쳐 흐를 우) 盒(합 합)
盔(바리 회) 盚(대야 구) 盜(훔칠 도) 盛(담을 성) 盝(다할 록{녹}) 盟(맹세할 맹) 盞(잔 잔) 監(볼 감)
5. 初級 千字 中 該當 5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益]: 더할 익․넘칠 일會 ④ 短. ‘☵(물)+皿’→그릇에 물이 넘침. 더하다. 돕다. 풍부하다
익→嗌 獈 膉 艗 鷁 齸 / 일→鎰 溢 등의 音部
[盜]: 훔칠 도會 ③ 長. ‘㳄(침)+皿’→그릇의 음식에 침흘림. 음식을 훔침
[盛]: 담을 성會,形 ① 短. ‘成(音)+皿’→그릇에곡식을 담다. 제상에 차린 음식 성할 성은 ③ 長. 세차다. 왕성하다
[監]: 볼 감形 ① 短. ‘䘓(省略音)+臥’→보다. 거울삼다 살필 감은 ③ 長. 감찰하다.
감→鑑 鑒 尶 礛 / 람→嚂 囕 㜮 擥 攬 欖 濫 灆 灠 爁 爦 籃 纜 藍 蘫 襤 覽 등의 音部
[盡]: 다할 진形 ② 長. ‘𦘔(音)+皿’→그릇이 비다. 다하다. 진→儘 嚍 嬧 濜 등의 音部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益(더할 익) 益壽 益者三友 益鳥. 公益 有益 弘益// 盜(훔칠 도) 盜掘 盜癖 盜跖. 强盜 寇盜 竊盜//
盛(담을 성) 盛年不再來 盛德 盛族. 强盛 旺盛 豊盛/ 盟(맹세할 맹) 盟誓 盟友 盟休. 結盟 同盟 會盟//
監(볼 감) 監督 監査 監獄. 大監 令監 學監// 盡(다될 진) 盡力 盡心 盡終日. 無盡 打盡 殫盡//
盤(소반 반) 盤古 盤石 盤桓. 基盤 玉盤 原盤//
[目]눈 목
1. 目 부수의 구실 : 目은 부수․혹 자부
(1) 글 꼴 : 象 ④ 短
(2) 위 치 : 변, 혹 머리
(3) 글자 뜻 :‘사람의 눈을 세운 꼴’(단독 글자) *見과 통
(4) 目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着 睾 算 등. 罒은 머리에서 ‘眔’ 외에는 그물(网)의 변형이다. 자부에서는 눈이다.
2. 目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목→䀲 苜 鉬 등
3. 目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모→冒 媢 帽 𢝌 毷 瑁 艒 蝐 /몽→ 懵 瞢 /
미→堳 嵋 楣 湄 煝 瑂 蝞 郿 鶥 / 상→廂 湘 灀 緗 霜 / 촉 →矗 / 치→値 寘 置 등
4. 目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目 盯 盰 盲 盱 直 看 眄 眊 眇 등
目(눈 목) 盯(똑바로 볼 정) 盰(눈 부릅뜰 간{멀리 볼 천}) 盲(소경 맹) 盱(쳐다볼 우)
直(곧을 직) 看(볼 간) 眄(애꾸눈 면) 眊(눈 흐릴 모) 眇(애꾸눈 묘) 등
5. 初級 千字 中 該當 9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目]: 눈 목象 ④ 短. ‘사람의 눈을 세운 꼴’→보다. 조목. 빈 틈. 우두머리 목→䀲 苜 鉬 등의 音部
[直]: 곧을 직會 ④ 短. ‘十+目+ㄴ(숨기다)’→아무리 숨겨도 열 사람의 눈으로 보는 바 드러나지 않음이 없음. 곧
다, 정직하다. 곧다. 바르다 값 치는 ③ 長
직→稙 犆 䐈 / 식→植 殖 埴 / 덕→德 㥁 悳 㯖 / 치→置 値 등의音部
[看]: 볼 간會 ① 短. ‘目+手’→눈 위에 손을 얹고 보다
[相]: 서로 상會 ① 短. ‘目+木’→살펴 봄. 서로 도울․재상 상은 ③ 長. 돕다. 상생
상→想 箱 霜 湘 廂 孀 灀 礵 緗 驦 등의 音部
[省]: 살필 성,줄일 생會 ② 長. ‘屮+眉(省略)’→보다. 싹 나는 것까지 봄. 살피다. 반성하다. 줄이다.
*살필 성은 息井切, 줄일 생은 史梗切이다
[眞]: 참 진會 ① 短. ‘匕(化의줄임)+目+ㄴ+’→신선의 승천. 참, 천성. 땅이름(元朝鮮의 郡名 ‘眞番’)
신→愼 / 전→塡 顚 癲 傎 厧 巓 搷 攧 槇 㰜 滇 瘨 磌 窴 蹎 闐 鷆 齻 / 진→鎭 嗔 瞋 縝 瑱 禛 稹 䐜 謓 鬒 黰 등의 音部
*“眞人(선대의 仙=鮮人). 眞番(雲南=滇:애로담이족=元朝鮮族)”의 지명 ‘耳’부수 참고
[眼]: 눈 안形 ② 長. ‘目+𥃩(音)’→눈 보다. 고동
[着]: 붙을 착形聲④ 短. ‘(本字:著, 드러날 저)’→붙다. 입다, 착복, 착의. 이르다, 도착, 안착
[督]: 살펴볼 독形 ④ 短. ‘目+叔(音)’→살펴보다. 감독. 통솔하다. 꾸짖다. 기독교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目(눈 목) 目睹 目的 目標. 科目 種目 品目// 盲(소경 맹) 盲聾 盲人 盲從. 文盲 色盲 靑盲//
直(곧을 직) 直角 直球 直旨. 剛直 垂直 正直// 看(볼 간) 看書 看破 看護. 愁看 臥看 坐看//
眉(눈썹 미) 眉間 眉目 眉壽. 白眉 秀眉 蛾眉// 相(서로 상) 相見 相對 相反. 觀相 手相 宰相//
省(살필 성, 줄일 생) 省墓 省問 省察. 省略 省力 省約. 各省 歸省 人事不省//
盾(방패 순) 盾戈 盾鼻. 甲盾 矛盾 五盾 圓盾// 眠(잠잘 면) 眠期 眠睡 眠食. 甘眠 冬眠 熟眠//
眞(참 진) 眞假 眞價 眞性. 純眞 天眞 淸眞// 眼(눈 안) 眼球 眼目眼花. 開眼 老眼 千里眼//
着(붙을 착{저}, 著의 俗字) 着念 着床 着想. 倒着 到着 衣着//
督(살펴볼 독) 督勵 督促 督學. 監督 基督 提督// 睦(화목할 목) 睦友 睦族 睦親. 敦睦 親睦 和睦//
睡(잘 수) 睡眠 睡寢 睡昏. 假睡 午睡 昏睡// 瞬(눈깜작일 순) 瞬間 瞬時 瞬息間. 倏瞬 一瞬 轉瞬 16字
[矛] 창 모
1. 矛 부수의 구실 : 矛
(1) 글 꼴 : 象 ① 短
(2) 위 치 : 변
(3) 글자 뜻 :‘兵車에 세우는 장식 창’(단독 글자). 대체로 戈는 兵器, 弋은 狩獵(수렵), 矛는 장식용이다
(4) 矛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戈’․‘弋’ 부수와 일부 통함
2. 矛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모→罞 茅 蓩 蝥 蟊 鶜 / 무→務 堥 婺 懋 暓 楙 橆 袤 鍪 霧 鞪 騖 /
유→㑱 媃 揉 柔 楺 煣 糅 䋴 葇 蝚 蹂輮 鍒 鞣 韖 騥 鰇 鶔 등
3. 矛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귤→橘 / 율→噊 燏 繘 霱 驈 鱊 등
4. 矛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矛 矜 矟 矞 矠
矛(창 모) 矜(불쌍히 여길 긍) 矟(창 삭) 矞(송곳질할 율) 矠(창 색)
5. 初級 千字 中 該當字 없음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矛(창 모) 矛端生火 矛盾 矛矢. 戈矛 衛矛 利矛
[矢] 화살 시
1. 矢 부수의 구실 : 矢
(1) 글 꼴 : 象 ② 長
(2) 위 치 : 변
(3) 글자 뜻 :‘화살 모양’, 화살, 맹세, 바르다(단독 글자)
(4) 矢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사→塮 射 𥛖 謝 등 ‘寸’은 ‘矢’의 변형이다
2. 矢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사→俟 涘 / 예→嫛 瑿 瞖 䃜 繄 翳 蘙 鷖 黳 /
의→疑 擬 儗 寲 毉 㿄 醫 籎 薿 觺 譺 䰯 / 이→肄 / 지→知 智 蜘 踟 / 치→痴 癡 등
3. 矢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
4. 矢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矢 矣 知 矧 矩 短 矬 矮 矯 矰 矱 矲
矢(화살 시) 矣(어조사 의) 知(알 지) 矧(하물며 신) 矩(곱자 구) 短(짧을 단) 矬(키 작을 좌)
矮(키 작을 왜) 矯(바로잡을 교) 矰(주살 증) 矱(자 확) 矲(키 작을 패)
5. 初級 千字 中 該當 2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知]: 알 지會 ① 短. ‘ㅁ+矢’→말(詞)이 빠르다. 알다. 去聲 長音은 슬기 ‘智’와 같음
지→智 蜘 潪 踟 등의 音部
[短]: 짧을 단會 ② 長. ‘矢+豆’→길고 짧음을 화살로 정하다. 짧다
*長音과 短音의 ‘短’字는 上聲 長音으로 긴소리
‘長’字는平聲 短音으로짧은소리이다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矢(화살 시) 矢石 矢詩 矢人. 弓矢 飛矢 投矢// 矣(어조사 의) 矣夫 矣哉 矣乎//
知(알 지) 知名 知識 知止. 告知 熟知 通知// 短(짧을 단) 短句 短命 短筆. 凡短長短 志大才短//
矯(바로잡을 교) 矯角殺牛 矯正 矯革. 匡矯 騰矯 烝矯
[石]돌 석
1. 石 부수의 구실 : 石
(1) 글 꼴 : 象 ④ 短
(2) 위 치 : 변
(3) 글자 뜻 :‘厂+ㅁ’언덕과 돌(단독 글자)
(4) 石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石’의 口는 입‘ꇴ ’ 이 아닌 돌‘口’이다 礴 등은 돌의 뜻이 아니다
2. 石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력→砳 磿 / 석→祏 䄷 鉐 鼫 / 척→坧 拓 跖 등
3. 石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획→湱 騞 등
4. 石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石 乭 矻 矽 矹 砍 砎 砅 砆 砑 외
石(돌 석) 乭(이름 돌) 矻(돌 골) 矽(석비레 석) 矹(돌비알 올) 砍(벨 감) 砎(단단할 개)
砅(징검다리 례{예}) 砆(옥돌 부) 砑(갈 아) 외 생략
5. 初級 千字 中 該當 6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石]: 돌 석象 ④ 短. ‘厂+ㅁ’→언덕 아래의 돌. 굳다. 석→ 佦 沯 祏 䄷 鉐 등의 音部
[破]: 깨뜨릴 파形 ③ 長. ‘石+皮(音)’→부수다. 깨뜨리다. 무너지다. 악곡의 이름
[砲]: 대포 포會,形 ③ 長. ‘石+包(音)’→돌쇠 뇌,대포 (‘礮’와 같음)
[硏]: 갈 연形 ① 短. ‘石+幵(音)’→갈다. 닦다. 연구 벼루 연은 ③ 長
[碑]: 돌기둥 비形 ① 短. ‘石+卑(音)’→돌을 세움. 돌 비
[確]: 굳을 확形 ④ 短. ‘石+隺(音, 본음 각)’→굳다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石(돌 석) 石刻 石城 石築. 硬石 寶石 玉石.// 破(깨뜨릴 파) 破壞 破損 破題. 看破 論破 打破//
砲(돌쇠뇌 포) 砲擊 砲臺 砲手. 發砲 銃砲 火砲// 硏(갈 연) 硏究 硏修 硏學. 窮硏 精硏 鑽硏//
硬(굳을 경) 硬骨 硬性 硬化. 强硬 石硬 手硬// 硯(벼루 연) 硏石 硯滴 硯池. 端硯 陶硯 石硯//
碑(돌기둥 비) 碑碣 碑文 碑石. 古碑 石碑 苔碑// 碧(푸를 벽) 碧谿 碧巖 碧波. 丹碧 靑碧 翠碧//
確(굳을 확) 確固 確率 確實. 明確 正確 精確// 磨(갈 마) 磨光 磨滅 磨杵作針. 茶磨 硏磨 鍊磨//
礎(주춧돌 초) 礎盤 礎石 礎材. 階礎 基礎 柱礎
[示]보일 시, 제사 시
1. 示 부수의 구실 : 示. 변에서 4획의 ‘礻’는 잘못이다
(1) 글 꼴 : 指 ③ 長
(2) 위 치 : 변
(3) 글자 뜻 :‘二→(上)+小’→日 月 星이 길흉을 보임. 지신, 제사(단독 글자)
(4) 示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2. 示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시→沶 狋 視 등
3. 示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숭→崇 / 신→榊 / 제→傺 漈 穄 際/
종→倧 婃 孮 宗 徖 悰 棕 淙 琮 粽 綜 䑸 䝋 賨 踪 錝 鬃 賨 등
4. 示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示 祁 祀 社 礿 祇 祗 祅 祉 祊 祛 祔 외
示(보일 시) 祁(성할 기) 祀(제사 사) 社(토지의 신 사) 礿(봄 제사 약) 祇(토지의 신 기{마침 지})
祗(공경할 지) 祅(재앙 요) 祉(복 지) 祊(제사 이름 팽) 祛(떨어 없앨 거) 祔(합사할 부) 외 생략
5. 初級 千字 中 該當 10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示]: 보일 시指 ③ 長. ‘二→(上)+小’→日 月 星이 길흉을 보임. 지신, 제사 시→沶 狋 視등의 音部
[社]:사직 사會 ② 長. ‘示+土’→土地의 주 신. 사직, 사당.
社日“春社日(입춘 ‘양2/4일경’ 후 5번째 戊日”/ “秋社日(立秋 ‘양8/7일경’ 후 5번째 戊日“
[神]: 귀신 신形 ① 短. ‘示+申(音)’→上帝. 하느님. 조상신. 신기로움. 신성함. 신묘함
[祖]: 조상 조形 ② 長. ‘示+且(音)’→始廟. 조상, 사당.선조. 할아비. 본받다.
[祝]: 빌 축會 ④ 短. ‘示+’ 주. 神 섬김을 업으로 하는 사람. 빌다. 사내무당. 예를 익히는 사람. 축배드림
[祭]: 제사 제會 ③ 長. ‘月(고기)+又+示’→손에 고기를 들고 신에게 제사함. 제사 드리다. 갚다
제→傺 漈 穄 際 蒢 鰶 등의 音部
[票]:우듬지 표會 ① 短. (本 熛)火+票(音)→불똥이 튀다. 쪽지 표는 ③ 長. 빠르다
표→僄 剽 勡 嘌 墂 嫖 幖 彯 慓 摽 旚 標 檦 漂 熛 瓢 瘭 瞟篻
縹 翲 膘 蔈 薸 螵 褾 謤 醥 鏢 顠 飄 驃 魒 鰾 등의音部
[禁]: 금할 금形 ③ 長. ‘示+林(音)’→길흉을 꺼림. 금하다 금→僸 噤 澿 襟 등의 音部견딜 금은 ① 短
[福]: 복 복形 ④ 短音. ‘示+畐(省音)’→갖추다. 복되다. 오복
[禮]: 예도 례會,形 ② 長. ‘示+豊(音)’→사람이 행해야 할 중요한 도리. 예절. 교양. 상식. 거동. 사례. 오례
豊(례,音部)는 례→醴 澧 鱧 / 체→體 軆 䪆 등의 音部다
豐(풍,音部)은 풍→灃 蘴 酆 麷 등의 音部로 풍(豐)을 ‘豊’으로 기록함은 잘못이다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示(보일 시) 示達 示唆 示現. 開示 揭示 訓示// 祀(제사 사) 祀孫 祀典 祀天. 社祀 祭祀 享祀//
社(토지신 사) 社說 社稷 社會. 結社 入社 會社// 祈(빌 기) 祈求 祈禱 祈祝//
神(귀신 신) 神技 神妙 神仙. 穀神 女神 風神// 祖(조상 조) 祖考 祖上 祖訓. 古祖 高祖 太祖//
祝(빌 축) 祝慶 祝祭日 祝賀. 慶祝 心祝 自祝// 祥(상서로울 상) 祥氣 祥瑞 祥風. 古祥 瑞相 消詳/
祭(제사 제) 祭祀 祭需 祭享. 冠婚喪祭 告祭 時祭// 票(불똥 튈 표) 票決 票輕 票然. 開票 記票 投票//
禁(금할 금) 禁錮 禁書 禁煙. 拘禁 通禁 解禁// 祿(복 록{녹}) 祿俸 祿仕 祿爵. 官祿 福祿 食祿//
福(복 복) 福祿 福過災生 福利. 家福 冥福 轉禍爲福//
禍(재화 화) 禍福同門 禍色 禍害. 家禍 災禍 轉禍爲福//
禪(봉선 선) 禪家 禪客 禪宗. 內禪 坐禪 解脫禪// 禮(예도 례{예}) 禮記 禮度 禮煩則亂. 家禮 四禮 婚禮//
[禸]짐승발자국 유
1. 禸 부수의 구실 : 禸
(1) 글 꼴 : 象 ④ 長
(2) 위 치 : 발
(3) 글자 뜻 :‘땅에 찍힌 짐승의 발자국’(단독 글자로 거의 쓰이지않음)
(4) 禸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禸’의 본 획수는 5획이나 [說文]편성은 4획이다
2. 禸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구→(‘九’가 音이다)→
우‘禸’→偶 喁 堣 寓 㝢 嵎 愚 㬂 楀 耦 腢 萭 踽 鄅 鍝 齲 齵 등
3. 禸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리→攡 樆 漓 璃 瞝 䍦 离 篱 籬 縭 䍦 蘺 螭 褵 謧 醨 離 / 만→萬 등
4. 禸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禹 禺 离 卨 禽
禹(하우씨 우) 禺(긴 꼬리 원숭이 우) 离(산신 리{이}) 卨(사람 이름 설) 禽(날짐승 금)
5. 初級 千字 中 該當字 없음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禽(날짐승 금) 禽獸 禽鳥 禽獲. 家禽 野禽 六禽
[禾] 벼 화
1. 禾 부수의 구실 : 禾 (小篆 확인)
(1) 글 꼴 : 象 ① 短
(2) 위 치 : 변
(3) 글자 뜻 :‘丿+木’→이삭이 드리워진 좋은 곡식(단독 글자)
(4) 禾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𥝌 :나무 끝 구부러져 올라가지 못할 계’는 禾의 뜻이 아닌 ‘계, 稽’이다
(小篆 확인)
2. 禾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위→委 崣 犩 痿 萎 蜲 諉 踒 逶 餧 / 화 →和 姀 盉 訸 鉌 龢 등
3. 禾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겸→傔 兼 嗛 槏 歉 蒹 / 과→犐 蝌 / 름 →凜 廩 懍 檁 澟 䕲 /
병→棅 / 추→愀 湫 蝵 鞦 등
4. 禾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禾 禿 私 秀 秉 秈 秄 秔 科 외
禾(벼 화) 禿(대머리 독) 私(사사 사) 秀(빼어날 수) 秉(잡을 병)
秈(메벼 선) 秄(북돋울 자) 秔(메벼 갱) 科(과정 과) 외 생략
5. 初級 千字 中 該當 12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私]: 나 사形 ① 短. ‘禾+厶(音)’→사사. 개인. 홀로. 사처. 사통
[秀]: 빼어날 수會 ③ 長. ‘禾+人’→뛰어나다. 빼어나다 수→琇 綉 / 투→透 綉 등의 音部
[科]: 과정 과會 ① 短. ‘禾+斗’→곡식을말로 나눔 정도. 과정. 과목 떨기로 날 과는 ③ 長. 무성하다
과→嵙 犐 萪 蝌 등의 音部
[秋]: 가을 추會,形 ① 短. ‘火+龜(省略音)+禾’→벼가 익다. 가을. 때. 年歲
수 →愁 / 추→秋 楸 鰍 湫 僽 啾 萩 秌 瞅 䐐 蝵 鞦 鶖 등의 音部
[秘]: 숨길 비形 ③ 長音. ‘(本 祕)+必(音)’→神秘함. 숨김. 향기로울 발은 ④ 短
[移]: 옮길 이會,形 ① 短. ‘禾+多(音)’→벼가 서로 의지하여 옮기다. 변하다
이유 있을이는 ③ 長이→熪 簃 簃 謻 등의音部
[稅]: 구실 세,벗을 탈形 ③ 長. ‘禾+兌(音)’→구실. 징수. 기쁠 열④ 短. 벗을 탈④ 短. 검은 상복 수③ 長
[程]: 법 정形 ① 短. ‘禾+呈(音)’→ 一寸의 十分의 一. 법. 한도. 길. 헤아리다. 一村의 10분의 1~100분의1.
[種]: 씨 종,形 ② 長. ‘禾+重(音)’→볍씨. 종류. 무리 심을 종은 ③ 長
[稱]: 일컬을 칭形 ① 短. ‘禾+爯(音)’→. 일컫다. 명성. 칭찬 저울 칭은 ③ 長
[穀]: 곡식 곡會,形 ④ 短. ‘禾+殼(省音)’→백곡. 곡식. 녹
[積]: 쌓을 적形 ④ 短. ‘禾+責(音)’→모으다. 쌓다. 저축할 자는 ③ 長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禾(벼 화) 禾穀 禾本科 禾黍. 嘉禾 麥禾 黍禾// 私(사사 사) 私利 私用 私語. 公私 公平無私 便私//
秀(빼어날 수) 秀麗 秀眉 秀而不實. 閨秀 優秀 俊秀// 科(과정 과) 科擧 蝌蚪文字 科文. 工科 文科 學科//
秋(가을 추) 秋思 秋霜 秋夕. 九秋 三秋 春秋// 租(구실 조) 租課 租稅 租借. 免租 稅租 田租//
秩(차례 질) 秩高 秩序 秩次. 祿秩 爵秩 品秩// 移(옮길 이) 移動 移籍 移住. 歸移 轉移 回移//
稅(구실 세) 稅關 稅金 稅政. 課稅 納稅 財産稅// 程(단위 정) 程里 程門立雪. 科程 過程 旅程//
稀(드물 희) 稀貴 稀少 稀罕. 古稀 依稀 漸稀// 穉(어릴 치. 稚의 本字) 穉氣 穉幼 穉拙. 拏穉 幼穉//
種(씨 종) 種瓜得瓜 種子. 芒種 純種 播種// 稱(일컬을 칭) 稱家有無 稱讚. 假稱 愛稱 呼稱//
稿(볏짚 고) 稿料 稿本 稿草. 舊稿 原稿 遺稿// 穀(곡식 곡) 穀物 穀食 穀倉. 九穀 五穀 六穀//
稻(벼 도) 稻粱 稻作 稻田. 晩稻 水稻 陸稻// 積(쌓을 적) 積極 積年累月 積滯. 露積 散積 堆積//
穫(벼 벨 확) 穫稻 穫斂 穫刈. 耕穫 收穫 一攫千金//
[穴]굴 혈
1. 穴 부수의 구실 : 穴
(1) 글 꼴 : 會 ④ 短
(2) 위 치 : 머리
(3) 글자 뜻 :‘宀+八’→좌우로 갈린 굴. 굴 집(단독 글자)
(4) 穴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宀과 부분적으로 通함
2. 穴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혈→岤 泬 𥄴 등
3. 穴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공→悾 控 椌 涳 硿 箜 鞚 / 궁→藭/
돌→堗 湥 葖 鶟 鼵 / 와→溛 漥 / 왈→挖 / 천→瑏 등
4. 穴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穴 穵 究 空 穹 穸 穻 宏 突 窀 窂 穽 穿 窌 窉 窊 窈 窋 窆 窐 窏 窕 窖 窘 䆡 窗 窙 窠
窟 窞 窞 窣 窫 窪 窩 窬 窨 窮 窴 窱 窺 窶 窸 窵 窾 窿 竀 竅 竄 竇 竈 竊
穴(구멍 혈) 穵(구멍 알) 究(궁구할 구) 空(빌 공) 穹(하늘 궁) 穸(광중 석) 穻(창 우) 宏(클 굉) 突(갑자기 돌)
窀(광중 둔) 窂(우리 로{노}) 穽(허방다리 정) 穿(뚫을 천) 窌(움 교) 窉(삼월 병) 窊(우묵할 와) 窈(그윽할 요)
窋(구멍 안에 있는 모양 줄) 窆(하관할 폄) 窐(구멍 규) 窏(낮을 오) 窕(정숙할 조) 窖(움 교) 窘(막힐 군)
䆡(구멍 랑) 窗(창 창) 窙(높은 기운 효) 窠(보금자리 과) 窟(굴 굴) 窞(광 바닥의 작은 구덩이 담) 窴(메일 전)
窣(구멍에서 갑자기 나올 솔) 窫(큰 굴 알) 窪(웅덩이 와) 窩(움집 와) 窬(협문 유) 窨(움 음) 窮(다할 궁)
窱(아득할 조) 窺(엿볼 규) 窶(가난할 구{높고 좁은 곳 루}) 窸(소리 불안한 모양 실) 窵(그윽할 조) 窾(빌 관)
窿(활꼴 륭{융}) 竀(똑바로 볼 탱) 竅(구멍 규) 竄(숨을 찬) 竇(구멍 두) 竈(부엌 조) 竊(훔칠 절)
5. 初級 千字 中 該當 4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究]: 궁구할 구形 ③ 長. ‘穴+九(音)’→다하다. 궁구함
[空]: 빌 공形,會 ① 短. ‘穴+工(音)’→비다. 다하다. 하늘 공→倥 崆 悾 涳 硿 箜 鞚 椌 등의音部
[窓]: 창문 창象 ① 短. ‘(本字 囱→窗)’→집의 창. 굴뚝 총은 ① 短
창(囱)→牕 窓 窗 / 총→傯 怱 愡 悤 憁 摠 棇 楤 熜 璁 𥡥緫 總 聰 葱 蔥 濍 蟌 謥 鏓 驄 등의 音部
[窮]: 다할 궁形 ① 短. ‘穴+躳(音)’→다하다. 궁색 다하다. 끝. 불행하다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穴(구멍 혈) 穴居 穴農 穴穽. 孔穴 墓穴 虎穴// 究(궁구할 구) 究考 究厥心腸 究察. 講究 探究 學究//
空(빌 공) 空谷 空寂 空手來空手去. 高空 太空 航空// 突(갑자기 돌) 突擊 突然變異 突進. 唐突 煙突 衝突//
窗(창 창, 窓의 本字) 窗口 窗門. 客窗 同窗 學窗// 窮(다할 궁) 窮極 窮僻 窮餘一策. 困窮 無窮 貧窮
[立]설 립
1. 立 부수의 구실 : 立
(1) 글 꼴 : 會 ④ 短
(2) 위 치 : 변․혹 머리
(3) 글자 뜻 :‘大+一’→땅 위에 선 사람 꼴(단독 글자)
(4) 立 부수의 他意(본뜻과 다름) : 竟 章 童 贛 競, (新 親) 등의 머리 ‘立’은 매울 신‘辛’ 의 머리 꼴이다
2. 立 부수가 音으로 구실하는 경우 : 랍→拉 啦 柆 翋 菈 鞡 / 립→岦 砬 笠 粒 苙 雴 鴗 / 읍→泣 湇 湆 등
3. 立 부수의 字部(다른 글자의 부분) 구실 : 경→競 / 동→僮 㠉 憧 曈 朣 橦 동→犝 膧 艟 蕫 / 병→竝 /
산→産 / 안→顔 / 익→翊 翌 / 장→傽 墇 嫜 嶂 慞 樟漳 獐 璋 瘴 瞕 鄣 障 / 종→蹱 鐘 등
4. 立 부수에 소속된 글자 : 立 竑 竘 竝 站 竟 章 童 竦 竣 竫 竭 端 竮 䇓 竵 竷 競
立(설 립{입}) 竑(넓을 횡) 竘(다듬을 구) 竝(아우를 병) 站(우두커니 설 참) 竟(다할 경) 章(글 장)
童(아이 동) 竦(삼갈 송) 竣(마칠 준) 竫(편안할 정) 竭(다할 갈) 端(바를 단) 竮(비틀거릴 병) 䇓(기다릴 수)
竵(바르지 않을 화) 竷(북 칠 감) 競(겨룰 경)
5. 初級 千字 中 該當 5字(중요단어 별책부록 참고)
[立]: 설 립會 ④ 短. ‘大+一’→땅 위에 선사람 꼴. 서다. 세우다. 곧. 낱알
랍→拉 啦 柆 翋 菈 鞡 / 립→岦 砬 笠 粒 苙 雴 鴗 /
읍→泣 湇 湆 등의 音部
[章]: 문체 장會 ① 短. ‘音(數의 머리)+十(數의 끝)’→ 문장의 완결된 절. 악곡의 절. 글. 조목
장→傽 墇 嫜 嶂 幛 慞 暲 樟 漳 璋 獐 瘴 蟑 遧 鄣 鏱 障 騿 鱆 麞 / 창→彰 등의 音部
[童]: 아이 동形 ① 短. ‘辛(省)+重(省略音)’→남자. 종, 아이. 어리이
동→僮 墥 㠉 憧 曈 朣 橦 氃 潼 燑 犝 獞瞳 穜 罿 膧 艟 董 蕫 / 종→鐘 蹱 蹱등의 音部
[端]: 바를 단形 ① 短. ‘立+耑(音)’→곧다. 바르다. 끝. 실마리. 시초. 등차
[競]: 겨룰 경會 ③ 長. ‘言言+儿儿’→두 사람이 말다툼을 심하게 함. 겨루다. 나아가다
6.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立(설 립{입}) 立國 立禮 立法. 介立 積立 特立// 竝(아우를 병) 竝書 倂呑 竝行不敗. 比竝 相竝//
竟(다할 경) 竟內 竟夕 竟場. 究竟 終竟 畢竟// 章(글 장) 章句 章法 章回小說. 文章 樂章 憲章//
童(아이 동) 童妓 童男 童子何知. 牧童 兒童 學童// 端(바를 단) 端緖 端雅 端午. 極端 四端 異端//
競(겨룰 경)競技 競走 競舟. 奔競 爭競 馳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