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5일자로 농림부에 용역연구 최종보고서가 제출되었습니다. 최종보고서는 농림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대한수의사회, 수의과대학 학장, 연구원에게 배포되었으며, 카페에 전체 본문을 게시합니다. 최종연구보고서 안에 비교하여 수의예과 교과과정이 추가되었고, 수의학교육인증방안과 수의사국가시험과 응시자격을 분리하여 기술하였습니다.
2011년 수의사국가시험은 4시험과목으로 치루어지며, 현재 2년 임기의 수의사국가시험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변경된 수의사국가시험과목에 대비한 교과과정 개정시 수의학교과과정 표준안 2안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실제 교과과정 개정시 가장 먼저 할 것은 각 교육단계별 교육목표를 구체적으로 문서화하는 과정이며,
첨부 화일에 그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의학교과과정표준안_2안.hwp
연구자;
1. 수의학교과과정
기초수의학분야: 책임자 이성준(경북대), 연구원 장병준(건국대), 김종수(경상대),양일석(서울대),안미라(전남대)
예방수의학분야: 책임자 여상건(경북대), 연구원 김순복(경상대), 홍종해(강원대),모인필(충북대),유한상(서울대)
반려동물임상분야: 책임자 권오경(서울대), 연구원 윤화영(서울대), 채준석(전북대), 엄기동(경북대), 나기정(출북대)
산업동물임상분야: 책임자 한홍율(서울대), 연구원 황철용(서울대), 손창호(전남대), 김일화(충북대), 정순축(건국대)
2. 수의학교육 인증방안
책임자 박전홍(제주대), 연구원 강 호 (대한수의사회), 김재홍(국립수의과학검역원), 신남식(서울대), 신성식(전남대)
참고자료:
농림부정책연구과제 2003.
수의학교과과정 표준화을 통한 선진 수의인력확보 및 관리방안 2004.7.16.
연구책임자 임병무 (한국수의학교육협의회장)
세부책임자 이성준, 여상건, 권오경, 한홍율, 박전홍
부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심있는 분은 최종보고서를 배부한 곳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참조하기 바랍니다.
부록1. 수의과대학의 교과과정 (수의예과, 수의학과)
부록2. 일본수의학교육의 발본적 개혁에 관한 제언
부록3. 일본수의학교육 표준 커리큐럼 ( http://www.vm.a.u-tokyo.ac.jp/yakuri/kaizen )
부록4. 수의학학문분야 평가편람(안)
부록5. EU 수의학교육 인증방안 ( http://www.eaeve.org )
부록6. AVMA 인증방안 ( http://www.vetsci.usyd.edu.au/avma )
부록7.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방안 ( http://www.abeek.or.kr )
부록8. 한국의과대학평가인증원 자체평가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