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히 말하건대 경허(鏡虛·1849~1912) 선사는 세계 종교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선지식이다. 중국에도 경허 스님과 비견할 만한 존재가 없다. 지금까지 드러난 행적만 보더라도 경허 선사는 세상 보는 눈이 아홉라고 치면 경허 선사를 정확하게 평가해 낼 사람은 없다. 북쪽 삼수갑산에서는 재가 제자 유학자 김택(金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아무도 모르게 전개했다. 경허 선사가 북쪽으로 갈 때 자신의 속마음을 오직 해인사 주지 남전스님에게만 동학혁명 지도자 전봉준 장군과의 관계를 말하고 갔다고 한다. 그래서 남전 스님은 경허 스님이 있는 북쪽을 세 번이나 다녀왔다. 경허 스님의 거룩한 속마음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러니 경허 스님과 말 한마디 나눠보지 않고 스님을 평가하는 것은 죄를 짓는 일이다.
경허 스님은 사미 만공을 가르칠 때 살아있는 체험을 통하여 지도했다. 수영에 관한 책을 앞뒤로 줄줄 외울지라도 물에 들어가면 수영을 할 수 없다. 경전은 올바른 공부를 위한 이정표일 뿐이다. 불교의 경전을 이해하고 통달해도 앉아서 경전만 읽고 있으면 죽은 경전의 노예일 것이다. 경허 선사는 돌장승처럼 생명이 없는 선지식이 아니라 행동하는 성자(聖者)였다. 나병환자를 돌보다 피부병을 얻어 평생 고생을 하다 돌아가셨고, 영주 사미 살인 사건에서 의심을 받아도 보살과 같은 태도를 보였다.
만공 스님과 일화이다. 키가 9척(189cm)이 넘는 경허 스님과 사미 만공스님이 함께 탁발을 나갔다 절로 가는 중이었다. “스님, 좀 천천히 가시죠. 다리도 아프고, 짐도 무겁고.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스님은 아랑곳없이 걸었다. “아이고, 스님. 바랑이 무거워서 걷기가 힘듭니다.” 스님이 대답했다. “저기, 마을 우물가에 가면 내가 무겁지 않게 해줄 테니 어여 가자.” 두 사람은 우물가에 도착했다. 시골 아낙네가 머리에 물동이를 이고 걸어왔다. 스님이 말했다. “잠깐, 실례하겠소이다.” 아낙네가 돌아보는 순간, 스님은 여인의 얼굴을 감싸고 입을 맞추었다. “아이고, 이 무슨 망측한 짓이오!” 물동이가 떨어져 박살이 났다. 이걸 본 동네 남정네들이 몽둥이를 들고 달려왔다. 두 사람은 줄행랑을 쳤다. 동네 사람들을 완전히 따돌린 다음에야 둘은 숨을 돌렸다. 젊은 탁발승이 따졌다. “아니, 스님. 이게 무슨 짓입니까?” 스님이 답했다. “자네, 죽어라 하고 도망칠 때도 짊어진 바랑이 무겁던가?” 경허(鏡虛·1849~1912) 선사가 뒤를 따르던 탁발승은 만공(滿空·1871~1946)에 말했다. ‘바랑이 무겁다는 생각도 자네 마음이 만든다. 다른 곳에 마음을 쓰면 그 생각도 사라진다. 마음이 모든 걸 짓고, 모든 걸 부순다.’는 설법을 경허 선사는 직접 행동으로 보여 준 것이다.
만공 스님은 경허 스님의 올 곳은 실천 정신을 고스란히 지닌 용기 있는 상수 제자이다. 조선총독부는 1937년 전국 사찰 31개 본산(本山) 주지 등을 불러들여 불교정책을 전달하고 건의사항을 듣는 회의를 마련했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만공 스님의 사자후가 터졌다.
“청전이 본연하거늘 어찌하여 산하대지가 나왔는가! 전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우리 조선 불교를 망친 사람이다. 일본 불교를 본받아 대처, 음주, 식육을 마음대로 하게 하여 계율을 파계하고 불교에 큰 죄악을 입힌 사람이다. … 정부에서 간섭하지 않는 것만이 유일한 진흥책이다.”
“당시 회의에서 왜색화 된 사찰의 얼치기 주지들이 총독에게 절을 하고 아첨을 일삼았다. 하지만 만공 스님은 꼿꼿한 자세로 일본의 불교정책을 비판했다. 셋방만 살아도 주인집 눈치를 본다고 하는데, 나라까지 잃었는데 총독 앞에서 이런 호통을 칠 수 있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다.”
일제가 침략하기 직전이었다. 백용성 스님이 하동 칠불암 해동제일선원에서 수좌 60여명을 데리고 수행을 하고 있었다. 하루는 시장에 갔다 온 원주 스님이 “나라가 망했다. 대한제국이 일본에게 망했다.”고 전했다. 그러자 선방 수좌들은 땅을 치는 사람, 마루를 치는 사람, 가슴을 치는 사람, 어떤 수좌는 아자방을 쇠스랑으로 파는 일까지 벌어졌다. 나라가 망했는데 수행을 한 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하며 가슴을 치면 통곡을 했다.
스님들이 이런 광경을 목격한 백용성 스님은 나라를 구하고 포교를 해야겠다는 일념으로 서울로 올라와 신라불교 초전 법륜지인 우면산 대성사에 머물면서 종로에 대각사(大覺寺)를 창건하셨다. 이 때 백용성조사는 6년 동안 조선 8도에 3정승 6판서를 지낸 이들과 360고을 수령과 방백을 만나서 독립운동을 하든지 아니면 후원을 부탁 했으나 모두 거절을 했다. 대일본 제국에 저항하자고 했으나 모두 뒤로 물러나거나 머리를 돌렸다. 이에 백용성조사는 나라를 되찾는데 인간의 힘으로는 안 되겠다는 것을 깨닫고 조선부패 관리들을 불신하고 스스로 독립운동을 전개 했다.
경허 스님의 위대함은 만공 스님을 비롯한 기라성 같은 걸출한 제자들을 많이 길러낸 일이다. 3.1 운동을 주도하고 독립운동을 끈질기게 실천한 백용성 스님과 한용운 스님 모두 경허 스님의 정신을 이어 받은 걸출한 스님들이다. 경허의 제자 가운데 만공(滿空)의 불사(佛事), 용성(龍城)의 역경(譯經), 혜월(慧月)의 개간(開墾)일컬어 당대의 3대 걸출한 승(傑僧)이라고 한다.
조선 500년 동안 억불숭유 정책으로 천민취급을 받아온 스님들이 임진왜란과 일제 독재시대를 벗어나게 했다. 조선시대 과거급제 해서 백성위에서 군림하던 부패관리들이 망친 나라를 산중에서 수행하던 스님들이 나라를 지켜냈다. 그래서 한국 불교를 호국불교라고 하는 것이다. 어려울때마다 나라를 구해내는 눈 밝은 스승과 제자는 나라의 수호신이다.
▶덧붙임 : 경허 선사의 전봉준 장군과 관계와 북쪽에서 독립운동에 관한 내용은 경허 연구소에서 연구 정리하고 있는 중임
출처 : 불교신문, 경허 연구소 자료, 기타 백과사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