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이궁이었던 경희궁 태령전에는 영조의 어진이 걸려 있다.
조선시대 임금이나 신하가 쓰던 모자를 익선관(翼善冠)이라 한다. 모자 뒤에 매미날개가 달려 있다.
조선 태조의 어진 영조의 어진
* 익선관의 유래에 대해서.
조선 (정확히는 고려 말)과 명나라에서 사용하던 왕관 및 관모로 중국에선 청나라에게 남명이 멸망하면서 폐지되었다. 조선의 경우 대한제국이 들어서면서 폐지되었다고 생각되었지만 이후에도 황룡포를 입은 고종이 익선관을 계속 쓴 어진이나 사진 등이 존재한 것으로 볼 때 완전히 폐지된 건 아니고 양장이나 군복과 함께 번갈아가며 쓴 것 같다.
조선 세종대왕 시절에 명에서 익선관(翼善冠)이라 재명명하여 이 이름이 굳어지게 되었다. 이 오사절각향상건의 모양이 매미의 날개 모양과 닮았다 하여 '매미 선(蟬)'을 써서 익선관(翼蟬冠)이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즉, 매미날개 1쌍을 모자의 뒷부분에 부착한 왕관을 임금님께서 쓰신 것인데, 왜 매미날개를 모자에 부착했을까?
이에 대해서는 조용진 교수의 명저, "동양화 읽는 법"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임금이 정무를 볼 때 쓰는 익선관(翼蟬冠)도 단지 멋지게 보이려고 그런 모양을 한 것이 아니다. 관에 붙은 매미날개(蟬翼)는 거추장스럽지만 육우(陸羽)가 말한 오덕(五德)을 항상 염두에 두고자 디자인된 것이다.
1. 매미의 입이 곧은 것이 마치 선비의 갓끈이 늘어진 것을 연상하게 하므로 매미에게는 학문(文)이 있고,
2. 이슬을 먹고 사니 맑음(淸)이 있다.
3. 사람이 애써 가꾼 곡식이나 채소를 먹지 않으니 염치(廉恥)가 있으며
4. 다른 곤충들과 달리 집이 없이 사니 검소(儉素)함이 있고
5. 겨울이 되면 때맞춰 죽으니 신의(信義)가 있다.
이것이 매미의 다섯 가지 좋은 점이라고 하였다.
정무에 임하는 사람은 항상 이 매미의 오덕(五德: 文, 淸, 廉, 儉, 信)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임금이나 신하 모두 매미 날개를 관모에 붙여 사용했었다.
첫댓글 옛것을 모르니
요즘같은 사단이 나지요
네, '온고이지신'이란 말을 되새겨봐야 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