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Is Nothing to Suffer About in This World”
"괴로운 일이 생겼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June 1, 2025 – 2nd 10,000-Day Practice 제2차 만일결사
1-9th 100-Day Prayer Opening Ceremony and 100-Day Dharma Talk Closing Ceremony
1-9차 백일기도 입재식, 백일법문 회향식
Next, Kim Ra-gyeol, who serves as the host for Sunim’s Friday Dharma Q&A sessions, powerfully sang Cho Yong-pil’s ‘Dream,’ expressing the emotion of the 100 days of practice and dedication through song, earning great applause. The closing ceremony had now reached its final segment. The Youth Buddha memb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hulga program during the 100-Day Dharma Talk period, listening to Sunim’s dharma talks daily while serving and practicing, had prepared tirelessly day and night. Their hope performance served as the grand finale of the closing ceremony. Through entertaining theater, songs, and dance, they depicted a caterpillar envying a bee and jumping into competitive society, only to realize that all that remained was an empty feeling. The performance showed the process of accepting oneself as is and experiencing true freedom. The performance reached its climax as the striped caterpillar and yellow caterpillar transformed into butterflies and flew away. All the youth jumped onto the stage, dancing and singing together. 다음은 법륜스님의 금요 즉문즉설 강연에서 사회자로 봉사하고 있는 김라결 님이 조용필의 ‘꿈’을 힘차게 열창하며, 100일 동안의 정진과 회향의 감동을 노래로 표현해 큰 박수를 받았습니다. 어느덧 백일법문 회향식의 마지막 순서에 다다랐습니다. 백일법문 기간 동안 출가하여 법륜스님의 법문을 매일 듣고 봉사하고 실천하며 밤낮없이 준비했다고 하는 청년붓다 도반들의 희망 퍼포먼스가 회향식의 대미를 장식했습니다. 애벌레가 꿀벌을 부러워하면서 경쟁 사회에 뛰어들지만 남은 것은 허전한 마음임을 깨닫고,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긍정하면서 진정한 자유로움을 느끼게 되는 과정을 재미있는 연극과 노래, 춤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호랑 애벌레와 노랑 애벌레가 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가자 공연은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청년들이 모두 무대로 뛰어 올라 함께 춤을 추며 노래를 불렀습니다.
In the quiet morning when everyone is asleep ♬ Starting the day with 1000-Day Practice prayer One bow after another, practice flows lightly My day walking happily ♬ The 100-Day Dharma Talk reaches my ears My heart flutters because we can listen together I love you, I’m truly happy we spent 100 days together Thank you, let’s never let go of our joined hands And let’s all smile together ♬ The youth’s hopeful songs and dances brought the grand journey of the 100-Day Dharma Talk to a close. Finally, Sunim came up on stage and presented gifts to all the performers. Sunim explained about the gifts. “I will give you a framed image of the Buddha statue inside the Mahabodhi Temple in Bodh Gaya, India, and prayer beads as gifts.” After presenting gifts to everyone, they took a commemorative photo together. The 100-Day Dharma Talk closing ceremony concluded with the Four Great Vows. After everyone had left the auditorium, Sunim called together all the team leaders of the 100-Day Dharma Talk preparation team and offered words of encouragement. “You all worked very hard. You were a bit confused at first, but have you adapted now?” “Yes.” “As the 100 days end, a new 100 days begin. You must continue to be the center of practice for the remaining 200 days. 모두가 잠든 고요한 아침에 ♬ 천일결사 기도로 하루를 시작해 한 배씩 한 배씩 정진도 가볍게 행복하게 걸어가는 나의 하루 ♬ 백일법문이 내 귀에 들려요 함께 들을 수 있어서 내 맘이 설레요 사랑해요 그대 100일을 함께 해서 정말 행복합니다 고마워요 항상 우리 잡은 손을 놓지 말아요 그리고 모두 다 함께 웃어요 ♬ 청년들의 희망찬 노래와 춤으로 백일법문의 대장정을 마무리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스님이 무대로 올라와 공연을 해준 모든 분들에게 선물을 주었습니다. 스님이 선물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인도 보드가야 대탑 안에 있는 불상을 액자로 만든 것과 염주를 선물로 드리겠습니다.” 모두에게 선물을 증정한 후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 사홍서원으로 백일법문 회향식을 모두 마쳤습니다. 대중이 모두 강연장을 빠져나가자 스님은 백일법문 준비팀 팀장단을 모두 불러 모아 격려의 말을 해 주었습니다. “수고들 많이 하셨어요. 처음에는 어리바리하더니 이제 좀 적응이 되셨어요?” “예.” “100일이 끝나고 새로운 100일이 시작됩니다. 남은 200일도 여러분들이 중심이 되어 정진을 해 나가야 합니다.
So I’ll give each of you a gift as well.” Sunim presented gifts to all 11 team leaders and took a commemorative photo with them. Since the Youth Buddha team that gave the wonderful final performance had too many members, Sunim promised to give them copies of the book ‘Buddha the Revolutionary’ as gifts. After taking a commemorative photo together, they left the underground auditorium. With this, the grand journey of the 100-Day Dharma Talk came to a complete close. The 100-day journey that began with aspirations for individual happiness and social peace had quietly made many people’s lives a little warmer and stronger. Although Venerable Pomnyun Sunim’s 100-Day Dharma Talk has concluded, the special practice will continue until the end of the year, serving as a lamp that brightens many people’s lives. After sunset, Sunim worked on administrative tasks indoors in the evening and concluded the day’s activities. Tomorrow, after conducting the 9th 100-Day Prayer opening ceremony for foreigners with English interpretation, Sunim will give a lecture in the afternoon at the KAIST auditorium in Daejeon, hosted by the Environmental Foundation, on the topic ‘Small Practices That Change Our Lives.’ 그래서 여러분도 선물을 하나씩 드릴게요.” 스님은 팀장단 11명에게도 선물을 증정한 후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 마지막에 멋진 공연을 보여준 청년붓다팀은 인원이 너무 많아서 책 ‘혁명가 붓다’ 를 선물하기로 약속하고 함께 기념사진을 찍은 후 지하 대강당을 나왔습니다. 이로써 백일법문의 대장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평화를 염원하며 시작한 100일 간의 여정이 많은 사람들의 삶을 조금 더 따뜻하고 단단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비록 법륜스님의 백일법문은 마무리가 되었지만, 특별 정진은 연말까지 이어져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줄 것입니다. 해가 저물고 저녁에는 실내에서 업무를 보고 하루 일과를 마무리하였습니다. 내일은 외국인을 위한 제9차 백일기도 입재식을 영어 통역으로 진행한 후 오후에는 대전 카이스트 대강당에서 환경재단 주최로 '우리 삶을 바꾸는 작은 실천들'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