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Not to Cling to Pleasure or Fall into Suffering
“즐거움에 집착하지 않고, 괴로움에 빠지지 않는 법”
Aug 10-2025
Jungto Dharma School Graduation Ceremony - 정토불교대학 졸업식
Sutra Course Graduation Ceremony - 경전대학 졸업식
Balsim Practitioner Ordination Ceremony - 발심행자 수계식
Why Do We Suffer?
To move toward a state free from suffering, we must first examine our current state. If we have a lot of stress or feel anxious and restless, we are in a state of suffering. So why do we suffer? First, it’s because we want everything to go our way. However, the world doesn’t work according to our desires. The point isn’t “don’t want anything,” but rather to have the mindset of “it’s fine if it happens, and it’s fine if it doesn’t.” Getting what we want isn’t necessarily good, and not getting it isn’t necessarily bad. What’s important is having a mind that doesn’t get elated when we get what we want and doesn’t get discouraged when we don’t. Second, we tend to act according to our temperament. Sometimes our temper takes precedence over our interests. Lif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yet when we lose our temper, we’re not even afraid of death. There are cases where someone threatens us with a knife, and we stick out our belly saying, “Go ahead, stab me!” This happens because our temper overrides our interests. Third is ignorance. This is when we act thinking we’re right without knowing whether something is poison or medicine, good or bad. However, when we look back later, the losses are often enormous. The common voice phishing scams these days happen because of momentary ignorance. Such fleeting ignorance can bring tremendous losses. The fundamental cause of all these things is attachment. The desire to do something itself isn’t the problem; the problem is the attachment that we must do it. If we can let go of this attachment—the three poisons of desire(貪), anger(瞋), and ignorance(癡) - even just a little, there will be nothing to suffer about. The things that happen in life are just natural occurrences, like what happens in nature when we go to the mountains. Therefore, there’s nothing to suffer about.
우리는 왜 괴로울까요?
괴로움이 없는 상태로 나아가려면, 먼저 지금 내 상태를 살펴야 합니다. 스트레스가 많거나 불안하고 초조하다면 괴로운 상태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왜 괴로울까요? 첫째, 원하는 대로 다 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세상은 원하는 대로 다 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원하지 말라.’가 아니라, ‘돼도 좋고, 안 돼도 좋다.’ 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원하는 것이 된다고 반드시 좋은 것도 아니고, 안 된다고 꼭 나쁜 것도 아니에요. 원하는 것이 돼도 들뜨지 않고, 안 돼도 낙담하지 않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우리는 자기 성질대로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때로는 이익보다 성질이 앞설 때도 있어요. 생명은 가장 중요한 가치인데, 성질이 확 나면 죽는 것도 겁을 안 냅니다. 상대가 칼을 들고 위협하는데도 배를 내밀면서 ‘찔러라, 찔러!’ 하고 맞서는 경우가 있어요. 이익보다 성질이 앞서기 때문입니다. 셋째, 무지입니다. 독인지 약인지,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모르면서도 옳다고 생각해 행동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나중에 보면 손해가 막심한 경우가 많아요. 요즘 흔한 보이스 피싱 피해도 순간의 무지 때문에 당하는 거예요. 이런 찰나의 무지가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이런 일들의 근본 원인은 집착입니다. 하려는 마음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한다는 집착이 문제입니다. 이 집착, 즉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을 조금만 내려놓아도 괴로울 일이 없습니다. 삶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마치 산에 가면 자연 속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그저 그러한 일일 뿐입니다. 그러니 괴로울 것도 없습니다.
How to Live Without Suffering, Being the Master of Your Own Life
So how can we maintain a state free from suffering? We must always be awake. In other words, we must maintain ‘awareness.’ At Jungto Dharma School, you have learned abou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Noble Eightfold Path, which contain these teachings. You have learned about the law of dependent origination, which shows that all beings in the world are interconnected, and about cause and effect over time. You have also learned how suffering and pleasure, as well as knowing, are formed, and studied the twelve sense bases, the eighteen realms, and the five aggregates. When you understand how these work in daily life, rather than simply knowing them as intellectual concepts, you can identify the causes when suffering arises. If you want to suffer, you can continue living as you are; if you want to be free from suffering, you can choose not to live that way. Your destiny is not predetermined but depends on your choices. Then, even when you desire something, you won’t be consumed by it. The first goal of Jungto Dharma School is to live without suffering. The second goal is to live as the master of your own life. When you achieve this, the tendency to blame or resent others diminishes. In this world, success and failure are not separate entities. If things go well, that’s good; if they don’t, you can study the situation and try again. Sometimes failure becomes the foundation for even greater success. When you’re no longer attached to winning or losing, your mind gains spaciousness. This is what we have been studying together so far.
괴로움 없이, 내가 주인 되어 사는 법
그렇다면 괴로움이 없는 상태를 어떻게 하면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요? 항상 깨어 있어야 합니다. 즉 ‘알아차림’을 유지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정토불교대학에서 이러한 내용들이 담겨 있는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를 배우고, 세상의 모든 존재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연기법을 배우고, 시간적으로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는 인연과보(因緣果報)를 배웠습니다. 또 괴로움과 즐거움, 그리고 안다는 것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배우고, 십이처(十二處), 십팔계(十八界), 오온(五蘊)을 익혔습니다. 이런 것을 단순히 지식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하면 괴로움이 생길 때 그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괴로워지고 싶으면 그대로 살면 되고, 괴로움에서 벗어나고 싶으면 그렇게 살지 않으면 됩니다. 내 운명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내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그러면 무언가를 바라더라도 거기에 매몰되지 않습니다. 정토불교대학의 첫째 목표는 괴로움 없이 사는 것입니다. 둘째 목표는 내가 주인이 되어 사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남을 탓하거나 원망하는 마음이 줄어듭니다. 세상에는 성공과 실패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잘 되면 좋은 것이고, 잘되지 않으면 연구해서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때로는 실패가 더 큰 성공의 발판이 되기도 합니다. 승패에 연연하지 않게 되면 마음에 여유가 생깁니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까지 함께 공부해 온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