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대로 수영장 구축사례입니다
Rust 타일을 사용하였습니다
스키머 색상이 좀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네요..
배관을 설비팀에서 진행하였고, 설계 및 구축방법을 하나하나 알려주면서 구축한 사례입니다
기존의 수영장을 Remodelling 하였습니다
온수 토출관입니다.
하단에서 main 온수가 공급되고, 상단배관은 수면위에 있는 부유물을 스커머 방향으로
몰기위한 물결관으로 보시면 됩니다.
순환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때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Fitting으로는 Eyeball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곳은 owner님께서 Stainless를 원하셔서 Eyeball를 사용하지 안하였습니다.
스키머와 보조흡입관입니다. 여과기에서 흡입하는 부분입니다.
스키머 배관과 보조 흡입관은 여과기 순환펌프와 열겨하기 전에 합관을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각각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스키머 가까이에 있는 배관은 수위를 측정과 증발시 수위를 자동적으로 맟춰주는
장치입니다.
기계실입니다. 면적이 너무 작습니다.
기계실은 2Mx 3M 정도는 되어야 됩니다. 이곳은 이면적의 40% 정도밖에 되지 않아
애를 먹었습니다.
하지만 가스보일러, 열교환기, 컨트롤러 등 들어갈 것은 다들어갔습니다.
수영장이 10톤 ~15톤 규모는 가스보일러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운영비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히트펌프 설치하면 좋지만 투자비용이 높죠ㅠㅠㅠ.
히트펌프는 수영장 물을 버리고 새로 담수할 때, 수영장 물의 온도가 15도 미만이 되면
오류 발생!!!. 냉매 저압현상으로.. 가동이 안되요 ㅠㅠㅠ
따라서 반드시 Back up 보일러가 필요합니다.
히트펌프가 만능으로 소개하는 업자들이 많습니다. 이 점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LG, 삼성, 캐리어등 국내제품은 물탱크를 사용하여, 히트펌프와 연결합니다.
물탱크에 전기 Heater기를 보조적 수단으로 설치하여 이문제를 해결합니다
하지만 해외제품은 수영장 물이 히트펌프를 바로 통과하기 때문에, 전기히터기로는
감당이 안됩니다.
이 문제는 제 블로그에 여러차례 언급되어 있으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