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Not to Cling to Pleasure or Fall into Suffering
“즐거움에 집착하지 않고, 괴로움에 빠지지 않는 법”
Aug 10-2025
Jungto Dharma School Graduation Ceremony - 정토불교대학 졸업식
Sutra Course Graduation Ceremony - 경전대학 졸업식
Balsim Practitioner Ordination Ceremony - 발심행자 수계식
Taking the First Step Opens the Path
You have now taken your first step. This means you have entered the ultimate path. There is an old saying from ancient masters: ‘The road in front of your house leads to the capital.’ Just as the road in front of your house leads to Seoul, taking the first step in practice is like entering the path toward enlightenment. You can say that you have now taken your first step as a practitioner. Now you must take the second step, then the third step forward.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sometimes we think we have taken the first step, but in reality, we haven’t moved at all. Just now in the reflection essays, someone said, ‘I have taken my first step,’ but in fact,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are standing in the same place without actually stepping forward, living in an illusion. It is important to actually take that first step. Only then can you move away from where you have been staying until now. When facing difficulties, receiving someone’s help to feel comfortable – this is the typical form of religion. We expect to escape suffering by receiving help when we have no money, or when someone lifts us up after we fall. However, practice is different. Practice is about awakening from our ignorance and opening our own eyes to directly escape from suffering. Therefore, someone’s help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ere is only a guide who helps us open our eyes. We call this person a teacher.
첫발을 내디뎌야 길이 열립니다
지금 여러분은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이 말은 곧 여러분이 궁극의 길에 들어섰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옛 선사가 남긴 말 중에 ‘집 앞 한 길이 장안을 향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즉, 집 앞의 길이 서울로 이어지듯, 수행의 첫걸음을 내딛는 것은 곧 성불로 향하는 길에 들어선 것과 같습니다. 여러분은 이제 수행자로서 첫발을 내디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두 걸음, 세 걸음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아직 한 발도 못 뗀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방금 소감문에서도 ‘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라고 말했지만, 사실은 발을 내딛지 않고 제자리에 서 있으면서 착각하는 경우가 있어요. 실제로 첫발을 내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만 지금까지 머물던 자리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려움에 처했을 때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 편안해지는 것, 이것이 일반적인 종교의 모습입니다. 돈이 없을 때 도움을 받거나, 넘어졌을 때 누군가가 일으켜 주면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기대합니다. 그러나 수행은 다릅니다. 나의 무지를 깨우쳐 스스로 눈을 뜸으로써 직접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이 수행이에요. 그래서 누군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눈을 뜨는 데 도움을 주는 안내자가 있을 뿐이에요. 이것을 우리는 스승이라고 부릅니다.
Knowing and Experiencing Are Different
When you actually open your eyes and experience freedom from suffering, thing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believe, no matter how much you wanted to, become firmly believable through experience. Even when told ‘Don’t touch it because it’s hot,’ you might still think, ‘Maybe it would be okay to touch it?’ But once you actually touch it and realize it’s truly hot, no matter how much someone encourages you, you won’t touch it again. The reason faith wavers is because you haven’t experienced it yet. So if you learned in the Jungto Buddhism Course that enlightenment is the path of practice, you need to directly experience that taste at the Awakening Retreat. The Awakening Retreat is the program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enlightenment you learned about in the Jungto Buddhism Course. If the door to your mind has opened a little through mind practice, now you need to open it more deeply. While you may have developed some awareness, you need to be more detailed and deeply aware. To do this, it’s good to attend the Jungto Sutra Course. Also, to deepen your experience of awarenes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etreat will be helpful. When you become aware of your own subtle mind, you can better understand others’ minds as well. Because we don’t know our own minds well, we can only guess at others’ minds based on our own thoughts. This is why even couples who have lived together for 30 years don’t really know each other’s inner thoughts. That’s why there’s always some incompleteness or slight distrust and doubt. The Sharing Retreat is the program that fills these gaps. And after graduating from Jungto Dharma School, the program you must attend is the India Pilgrimage. You need to do field stud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Buddha. Although you say you’ve come to know that the Buddha was a revolutionary, that’s just a story in books. I spent the past week on the Northeast Asian History Tour. The Northeast Asian History Tour has three objectives. First,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s of Goguryeo and Balhae; second, visiting independence movement sites; and third, experienc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Yalu River, Tumen River, and Mt. Baekdu. The participants thought they already knew everything through lectures, videos, and articles from “A Day in the Life of Sunim,” but when they actually saw the northern lands, buildings, and people in person, and directly encountered Balhae Fortress, Goguryeo Fortress, the General’s Tomb, and the Gwanggaeto Stele, they said it felt completely different. While Sunim’s Dharma talks are moving, the impact of seeing and hearing things firsthand on location is much deeper. This is because transmitting knowledge and transmitting emotion are different. That’s why field study is very important.
아는 것과 경험하는 것은 다릅니다
여러분이 실제로 눈을 뜨고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경험을 하면, 이전에는 아무리 믿고 싶어도 믿기 어려웠던 것들이 경험을 통해 확실히 믿어지게 됩니다. ‘뜨거우니까 만지지 마라.’고 말해도 속으로는 ‘혹시 만져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남아 있을 수 있어요. 그런데 손을 딱 대보고 실제로 뜨겁다는 것을 알게 되면, 아무리 권해도 다시는 만지지 않게 됩니다. 믿음이 흔들린다는 것은 아직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불교대학에서 깨달음이 수행의 길임을 알았다면, 그 맛을 ‘깨달음의장’에서 직접 경험해 봐야 합니다. 불교대학에서 배운 깨달음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바로 ‘깨달음의 장’입니다. 마음 공부를 통해 마음의 문이 조금 열렸다면, 이제는 더 깊이 열어야 합니다. 알아차림이 어느 정도 됐지만 좀 더 세밀하고 깊이 알아차려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경전대학을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또 알아차림의 경험을 더 깊이 하기 위해서는 ‘나눔의 장’에 참여하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미세한 마음을 알아차리면 타인의 마음도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우리가 내 마음을 잘 모르기 때문에 남의 마음도 내 생각으로만 짐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부부가 30년을 함께 살아도 서로의 속마음을 잘 모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미진함이나 약간의 불신과 의심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 부분을 채워 주는 프로그램이 ‘나눔의 장’입니다. 그리고 불교대학을 졸업하면 꼭 가야 하는 프로그램이 인도 성지 순례입니다. 부처님의 발자취를 따라 현장 학습을 해야 합니다. 여러분이 부처님이 혁명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하지만, 그것은 책 속의 이야기입니다. 저는 지난 일주일 동안 동북아역사기행을 다녀왔습니다. 동북아역사기행은 세 가지 목표가 있습니다. 첫째, 고구려와 발해 유적지 답사, 둘째, 독립운동 유적지 답사, 셋째, 압록강·두만강·백두산이라는 자연환경 체험입니다. 참가자들은 강의와 영상, 스님의하루 글을 통해 이미 다 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현장에서 북녘 땅과 건물, 사람을 직접 보고, 발해성과 고구려성, 장군총, 광개토 대왕비를 직접 접하니 전혀 다르게 느껴졌다고 합니다. 스님의 법문도 감동적이지만, 현장에서 직접 보고 들을 때의 감동은 훨씬 깊습니다. 지식의 전달과 감동의 전달은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현장 학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