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기싫고 이미 안하고 있는데도
느껴지는 답답함은?-시니어일상톡톡
https://youtube.com/watch?v=ZivW56nafA8&si=qc3LwwkS9wpaiQ_n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데도 답답한 느낌, 경험한 적 있나요? 그냥 쉬고 있는데 마음이 시원하지 않고, 뭘 해도 재미가 없습니다. 이 감정, 대체 어디서 오는 걸까요? 오늘은 ‘아무것도 하기 싫은데 더 답답한 이유’ 그리고 ‘이 답답함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지요. 주요 핵심 세 가지 특성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무기력감은 회피할수록 더 커집니다.
가끔은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날이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상태가 길어지면 오히려 더 큰 답답함을 느낀다는 점입니다. 미국 심리학회(APA)에 따르면, 장기간의 무기력은 불안감과 자책감을 증가시켜 악순환을 만든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경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냥 좀 쉬자" 하고 누워서 게임을 하거나 SNS를 보다가, 몇 시간 후 ‘내가 지금 뭐 하고 있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더 무기력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58세인 김영수씨는 은퇴 후 별다른 일정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다 보니, 오히려 더 우울해졌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이제 좀 쉬자" 싶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내가 아무것도 안 하는 사람이 되어 버리는 건 아닐까?"라는 불안감이 밀려왔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기력감을 회피하지 않고, 그 감정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는 "인간은 행동을 통해 자신을 정의한다"고 말했습니다. 내 감정을 억누르거나 도망치려 하기보다, ‘나는 지금 왜 이렇게 느낄까?’라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면 좋겠습니다.
둘째, 감정을 억누르지 말고 관찰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보통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려 합니다. 하지만 감정을 억누를수록, 그것은 더 강해지죠. 심리학자 칼 융은 "당신이 저항하는 것은 지속된다"고 말했습니다.
62세인 김혜진씨는 몇 달 전부터 무기력함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이 쉬려고 했지만, 오히려 더 답답해졌다고 합니다. 그러다 감정을 솔직하게 써 내려가 보자는 생각이 들어, 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처음에는 두려웠지만, 내가 왜 힘든지 하나씩 정리해 보니 이상하게도 마음이 가벼워졌다”고 말합니다.
감정을 들여다보는 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 번 해보면 의외로 해결책이 보이기도 합니다. 꼭 일기가 아니어도 좋습니다. 친구와 이야기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산책을 하면서 스스로의 감정을 정리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셋째, 작은 행동 하나가 삶을 바꿉니다.
무기력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크게 바뀌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히려 ‘아주 작은 행동’ 하나가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55세인 황석진 씨는 몇 달 동안 집에서 혼자 게임만 하며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느 날, 미뤄왔던 약속이 생겨 억지로라도 외출을 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는 깨달았다고 합니다. "밖에 나오니까, 게임을 할 수 없으니까, 자연스럽게 게임 시간을 줄일 수밖에 없었어요."
이처럼, ‘엄청난 변화’가 아니라 ‘아침에 일어나서 씻기’ 같은 작은 행동 하나가 변화를 만드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행동 경제학자 리처드 탈러는 "작은 습관이 인생의 흐름을 바꾼다"고 말했습니다. ‘한 걸음만 내디뎌도 변화가 시작된다’는 점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오늘 이야기한 내용, 세 가지 특성을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째, 무기력감을 회피할수록 불안감이 커집니다. 오히려 감정을 인정하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감정을 억누르지 말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일기 쓰기, 대화하기, 산책하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감정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작은 행동 하나가 변화를 만듭니다. ‘일단 씻고 밖에 나가기’ 같은 사소한 행동도 큰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무기력감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한 방법들을 하나씩 시도해 보면서, 답답한 마음에서 조금씩 벗어나 보시면 어떨까요?
오늘 영상이 도움 되셨기를 바라면서요, 이만 영상 마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심리학자 칼 융은
"당신이 저항하는 것은 지속된다"고 말했습니다.
감정을 억누를수록, 그것은 더 강해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