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나무 열매(백자인)
음달진 곳 산속에 항상 푸른잎을 자랑하는 측백나무가 있습니다.
소나무, 노간주나무, 사철나무등 잎 푸른나무들과 같이 언제나 푸른잎을 가지고 잇습니다.
설악산, 오대산의 깊은 골짜기에도 측백나무는 푸른잎을 자라하며 잘 자랍니다.
옛날에는 사당이나 대산 묘지 주변에 심었고 인가 주변에 심어 언제나 측백나무를 볼 수가
있었고 심지어 울타리에도 심었습니다.
그만큼 약효가 좋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측백나무 잎을 구증구포(아홉번 삶아서 아홉번 말린것)한것를 오래 복용하면
온갓 병을 예방.치료 할수 있다는 한방치료법도 있답니다.
차처럼 끓여서 먹으면 몽에서 나쁜 냄새가 사라지고, 향기나 나며, 고혈압, 중풍을 예방하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쇄약 등이 없어진다고 합니다.
물론 산에서 자생하는 측백나무 잎을 따다가 약재로 사용하면 효능이 더 좋겠지요.
우리 조상들이 측백나무를 가까이 두고 생활하는 이유가 있었던 같습니다.
(O₂장성군 축령산 측백나무 치유의숲 자료중)



약명 ; 측백엽, 백자인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반복하여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약재에 대하여
측백나무는 예부터 신선이 되는 나무로 알려져 귀하게 대접받던 나무다.
사당이나 묘지, 절간, 정원 등에 즐겨 심었는데, 특히 중국에서 사랑을 받은 듯 하다. 측백나무 잎이나 열매를 먹고 신선이 되었다거나 몇 백 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많이 전해진다. 옛날 진나라 궁녀가 산으로 도망쳐서 선인이 가르쳐 주는 대로 소나무와 측백나무 잎만 먹고 살았더니 추위와 더위를 모르게 되었을 뿐 아니라 온몸에 털이 난 채로 2백 년 이상을 살았다고 한다.
또 적송자라는 사람이 측백나무 씨를 먹었는데 빠졌던 이가 다시 나왔다고 했으며, 백엽선인은 측백나무 잎과 열매를 8년 동안 먹었더니 몸이 불덩이처럼 되고 종기가 온몸에 돋았다가 깨끗이 나았는데 그 뒤로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에서 빛이 나며 결국 신선이 되어 우화등선했다고 한다.
▶ 약성 및 활용법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의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다. 좋은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지만 나쁜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진딧물을 닮은 자잘한 벌레가 생겨서 시신을 갉아 먹는데, 이 벌레를 염라충이라고 부른다. 측백나무를 묘지 옆에 심으면 시신에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측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거듭하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몸에서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빨과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
부인들의 하혈이나 피오줌,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도 구증구포한 측백 잎이 효과가 크다. 장복하면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간암이나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에는 구증구포한 측백 잎을 달여서 오소리 쓸개와 함께 복용하면 복수가 빠지고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측백 잎은 가을에 처서 무렵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고 한다.
▶ 측백나무 씨앗은 백자인이라 하여 자양강장제로 이름이 높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렸다가 단단한 겉껍질을 없앤 뒤에 쓴다.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좋게 하며 대변을 잘 보게 하는 작용이 있다.
▶ 몸이 허약하여 식은 땀을 자주 흘리거나 변비, 뼈마디가 아픈 질병 등에 효과가 있다. 씨앗을 가루 내어 한 숟갈씩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 측백나무 씨앗으로 만든 술인 백자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과실주의 하나로 고려 명종 때에 만들어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 측백 잎을 구증구포하여 차 대신 달여서 오래 마시면 나름대로 맛과 향도 괜찮거니와 무병장수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피부가려움증,아토피 피부염등에는 이약재와 접골목,줄풀과 함께 환부에 발라주거나 목욕을 해주면 큰효험을 볼수가 있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등에 이약물에 부자가루와 돼지기름을 섞어 환을 만들어 머리를 감을때 물에 타서 사용한다.
▶대머리에 이 약물25~30그램을 75%알코올에 담갔다가 바른다.
▶해수,천식,가래,치질,폐결핵,백일해,위,십이지장궤양으로 인한 출혈등에 효과를 얻었다.
▶혈열을 내리므로 코피,토혈,변혈,소변출혈,자궁출혈에 큰 효험을 볼수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