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모든 한국 오케스트라를 진단합니다. 1~ 10까지의 등급을 부여하여 아래와 같이 세계
오케스트라의 각 파트의 역량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각 파트를 진단해 봅니다. 저는 이런 방식으로 오케.
각 파트를 분석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망설임도 있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지방 오케스트라에 관해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었고 근자에 들어 매체를 통해 지방 오케스트라를 살펴 보던중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한 우리나라 오케.가
깊숙하게 분석을 해보니 앙상블 질적으로는 발전의 폭이 커 보이지 않았고, 10년 전보다 오케스트라 전체 단원이 극심한
매너리즘에 빠져 오히려 퇴보한 경우도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비판을 무릅쓰고 글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제 글로 인해 많은 분이 상처를 입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점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가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아주 작은 바램으로 기록한 글이 조금이라도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발전에 도움 되기를
간절하게 바래봅니다. 실제 공연을 참여해 글을 써야 올바른 방법입니다. 그러나 발전된 매체를 통해 전해지는 실황 연주
기록도 음원 작업같이 분칠을 많이 해 실체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보다는 더 좋을 수 있고, 홀마다 좌석에 따라 전혀
달리 들려 오케스트라 발란스 확인에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 역시 방지하는 이점도 있어 이 방법을 택했습니다."
10 (세계 최정상급 上) - rco의 모든 현 파트, 오보에, 클라리넷, 목관 특수 악기, 트럼펫, brso - 오보에, hr - 목관 특수악기
라디오 프랑스 파리 - 오보에, 트럼펫, 빈 필 - 플룻, brso - 오보에, Danish National Symphony - 플룻 솔로 Ulla Miilmann.
9 (세계 최정상급) - rco - 바순, 금관 악기. brso - 클라리넷, hr - 플륫, ndr - 오보에, 빈 필 - 현 파트, 클라리넷, 호른.
베를린 필 - 콘트라 파곳, 호른. hr - 목관 특수악기, dresden staatskapelle - 현 파트, 오보에.
8 (메이저급)
7 (준 메이저급)
6 (세계 오케스트라 평균 급)
5 (이하)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Gyeonggi Philharmonic Orchestra
참고 연주곡
Berlioz, Symphonie Fantastique, Op.14 - 지중배 (2023. 4. 14)
R. Strauss - Eine Alpensinfonie, Op.64 - 최수열 (2023. 5. 27)
P.I.Tchaikovsky Symphony No.5 in e minor, Op.64 - 성시연 (2014, 4,12)
P.I.Tchaikovsky Symphony No.5 in e minor, Op.64 - 김선욱 (2023, 6,24)
Brahms, Symphony No. 1 - Massimo Zanetti (2019, 1,8)
A. Dvorak, Symphony No.8 - 정나라 (2021, 11, 20)
Mendelssohn Symphony No.4 [Italia] A Major, Op.90 - Massimo Zanetti (2020,8,8)
Beethoven, Symphony No.3 Eroica - Massimo Zanetti (2019, 8, 12)
Beethoven, Symphony No.6 - Massimo Zanetti (2019, 1, 11)
Beethoven, Symphony No.7 - Massimo Zanetti (2021, 5, 7)
G. Mahler, Symphony No. 2 - 성시연 (2014, 3, 27)
G. Mahler, Symphony No. 5 - 성시연 (2016, 6, 9)
G. Mahler, Symphony No. 6, "Tragic” - 성시연 (2023, 3, 23)
O.Respighi / Pini di Roma - Massimo Zanetti (2021, 4,17)
Brahms : Symphony No.3 in F Major Massimo Zanetti (2019, 5, 31)
Beethoven _ Symphony No.7 - Massimo Zanetti (2021, 5, 7)
지휘자; 김선욱 - 5 Massimo Zanetti - 6.5 성시연 - 7
악장; - 1st 바이올린 6.5
2nd 바이올린; 6 비올라; 5
첼로; 6 콘트라바스; 5.5
플룻; 5 오보에; 6
클라리넷; 5.5 바순; 6
호른; 6.5 트럼펫; 6.5
트럼본; 5.5 튜바; 6
팀파니; 5 타악기; 5
총론;
경기 필은 근자에 4관 편성을 완성했다.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중 국립 심포니와 더불어 오케스트라를 4관 편성으로
완성하고 1,360만 경기도민을 위한 오케스트라로 출발한다. 아마도 경기도의 넉넉한 재정 지원을 받아 단원 충원에
어려움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아직도 가장 중요한 악장을 지명하지 못해 보여 아쉬움이 있고 수석, 차석 시스템은
수석, 부수석 명칭을 쓰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한 가지 덧붙인다면 목관 파트에서만이라도 더불 수석제를 도입
했으면 하는 기대를 해 본다. 재정이 허용하는 경기 필이 나서 5관 편성의 오케스트라가 되면 우리나라 오케스트라가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케스트라가 발전하려면 핵심인 악장과 지휘자 선정에 우선을
두어야 한다. 지휘자 선정 못지않게 악장 지명은 오케스트라 성장에 매우 중요한 요소다. 세계 오케스트라 발전 역사를
살펴보면 적어도 10년 이상 오케스트라를 발전시킬 지휘자를 찾아 함께 해야만 결과물이 만들어진다. 경기 필은 창단
하여 30년이 안 된 오케스트라 역사로는 비약적 발전을 했고 그 중심에는 지휘자 성시연과 Massimo Zanetti의 역할이
가장 컷다고 보인다. 지휘자 성시연은 오케스트라에서 소리를 끄집어낼 줄도, 만들 줄도 아는 지휘자다. 대체적으로
여성 지휘자들이 약한 고리를 보이는 소리의 질감에서 그는 남성 지휘자보다도 더 두터운 소리를 끄집어낸다. 경기 필이
지휘자 성시연과 10년 정도 함께하며 서로 발전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성시연은 세계 여성 지휘자 중에서도
주목해야 할 저평가된 좋은 지휘자다. 그러나 지휘자로서 그의 위치에 가장 많은 지휘자층이 형성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서 미세하지만, 그것을 뚫코 올라설 수 있는 모멘텀이 필요한데 이는 더욱 옹골차게 오직 음악만을 화두로 정진하는
길 밖엔 없어 보인다. 아마도 상임 지휘자의 위치에 오르지 못하고 객원 지휘자로써의 외국 생활은 매우 어려운 시련기
일 것이다. 그러나 2019년까지 여성 지휘자가 전 세계 오케스트라에서 상임 지휘자의 비중에서 4.3%밖에 안되었던 것에서
점차 벗어나 2024년 현재 9% 가량으로 늘어나는 추세로 지휘자 성시연에게도 좋은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자기 능력을 믿고 각고의 시간을 버텨내면 좋은 앞날이 기다리고 있을 것으로 필자는 확신하며 응원을 보낸다.
경기 필의 가장 급선무는 10년 이상 함께하여 오케스트라 앙상블을 완성하고 결과물을 낼 수 있는 지휘자를 찾는 것이다.
3~5년 반복해서 지휘자를 교체해서는 절대로 오케스트라 성장의 결과물을 이룰 수 없다. 이것은 세계 오케스트라 역사에서
이미 증명된 사실이다. 경기 필이 지목한 지휘자 김선욱은 지휘자로서는 초보자나 다름없는 위치에 있다. 그가 얼마나
지휘자로 성장할 수 있을지는 전적으로 그의 노력에 따라 달라 보인다. 가능성은 열려있으나 그가 지휘자로서 담을 수 있는
그릇의 여백이 얼마나 있을지는 헤아림을 할 수 없어 보여 매우 안타까움이 있다. 자칫 잘못하면 그는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997년 창단하여 올해로 27세의 청년기에 있는 경기 필은 다른 지방 오케스트라와는 달리 2012년 106명의 단원을 확보
하여 오케스트라 성장에 발판을 이루었다. 수도권에 몰려있는 양질의 클래식 인프라에 힘입어 빠른 성장을 이루었지만
앙상블의 질, 균형, 화력에는 아직 세계 준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특히 목관 수석은 개개인이
오케스트라 앙상블에 정점을 책임지는 솔로로서 충분치 못한 연주력, 앙상블에서 밀도, 소리의 칼라와 질에서 약한 고리를
보이고 있어 성장을 위해서는 조금더 오케스트라를 책임질 확실한 연주력의 수석 보강이 필요해 보인다. 비올라 파트의
중간 가교 역할에서 충분하지 못한 뒷받침과 금관 파트의 합치되지 않은 앙상블, 어택, 칼라 등이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되었다. 이런 결과는 잦은 상임 지휘자의 교체와 오케스트라 성장에 도움이 안되는 객원 지휘자 선정(객원 지휘자와의
연주 시 연주력의 편차가 다른 오케스트라인가 할 정도로 상임 지휘자와 큰 차이점을 보이는 점), 솔리스트 선정, 레파투어
확장 등에서 개선할 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다시 한번 이야기 해 보면 경기 필의 성장에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성장에
걸맞는 양질의 수석 선택과, 적어도 10년 이상을 오케스트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임 지휘자 선정이라고 보인다.
19, März, 2024. Frankfurt. franciscopaik.
Tschaikowsky: 5. Sinfonie ∙ hr-Sinfonieorchester ∙ Manfred Honeck
https://youtu.be/a_B02BZp-5Y?si=nwS8eCepBFdb51LX
2023 Orchestra Festival, Gyeonggi Philharmonic Orchestra, Sunwook Kim
https://youtu.be/V_Ogsit0LoM?si=mVuZLRKAdbGMle2O
성시연의 rco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