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서 부목(浮木)은 발음소리상 비슷한 소리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불목"으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불목은 땔나무 또는 땔감의 의미이고, 과거에 절같은데서 불을 나무에 불을 피워서 밥을 짓거나 하는 사람을 "불목한이"라고, 하였듯이 불목은 불땔 나무의 의미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절(節)자는 발음소리상 동음이어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끊을 절(絶)자나 절(切)자로 대입하여 풀수 있고, 여인재화(女人裁禾)는 "여(女)자 인(人)자에 화(禾)자를 실다"라는 의미임으로 합하여 보면 왜(倭)자가 되고, 즉 일본의 옛날의 명칭이 되고, 부시구(不矢口)는 합하면 모른다의 의미의 "부지(不知)"로 풀수 있고, 두 이(二)자는 불 화(火)자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南方丙丁二七火에서), 십팔가공(十八加公)은 "십팔(十八)에 공(公)자를 더하다"라는 의미이므로 합하면 소나무 송(松)자가 되어서 소나무의 의미가 되고, 수룡(水龍)은 내용을 시기를 나타내는 연도로 푼다면 우선 물 수(水)자는 이 책에서는 임(壬)이나 계(癸)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北方六一壬癸水에서), 그리고 용(龍)은 진(辰)으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임(壬)이나 계(癸)중에서 진(辰)과 어울리는 천간(天干)은 임(壬)이므로 수룡(水龍)은 임진(壬辰)으로 풀리는 것을 알수 있고, 즉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환란의 임진년을 숨겨서 수룡이라고 한 것이고, 소나무 아래에 머물라는 의미의 송하지(松下止)는 발음소리상 비슷한 단어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독(犢)자의 의미의 "송아지"로 풀수 있고,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임진왜란의 때) 나무를 마디로 잘라서 불목으로 쓰는 (소)나무를 의지해서 사는 호랑이 운(運)에는 풀같으나 풀이 아닌 무성한 풀 숲같은 나무의 숲을 전(傳)했으며 왜인(倭人)이 나를 죽이는 자로 (倭)병(兵)사가 그 문(文)자 속에 있는 것을 사람들이 모르리라, 동양(東洋)화(畵)에서 호랑이를 그릴 때에 고려하여 그려 넣는 소나무, 소나무가 무성한 소나무의 숲을 (평상시에는)두마디 전후로 잘라서 불을 지펴서 사용하는 나무를 쫒아서 살기를 호랑이의 성(性)품은 소나무가 있는 산(山)에 머무나니 (그처럼 임진왜란이 일어나면 소나무가 많은 산에 숨어서 목숨을 보존하기를) 임진(壬辰)년의 천번째 수(數)의 마땅한 운(運)이라 이때에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땅이 나를 죽이는 이(理)치로 거듭 깊고 깊은 골짜기에서 살아 소나무를 의지해서 살기를 왜(倭人)들이 창궐(猖獗)하는 것이 보이거든 나무를 보고 머무르라 송아지 그림을 소리로 한즉 송아지인데 뜻으로 한즉 소나무 곧 소나무 아래에 머무르라는 뜻이로다 (임진왜란의)초(初)란(亂)이 이미 가고 정유(丁酉)년의 재(再)란(亂)에는 사람들의 마음에 놀램과 겁내는 일이 잠간 일세
본문에서 온토(溫土)는 발음소리상 비슷한 단어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온돌"로 의미를 대입하여 풀수 있고, 우하횡산(雨下橫山)은 "비 우(雨)자 아래에 뫼 산(山)자를 가로로 한다면"이라는 의미임으로 그대로 해 보면 눈 설(雪)자가 되고, 하늘 천(天)자는 천기(天氣)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천기(天氣)는 또한 날씨의 의미로 풀수 있고, 부시구(不矢口)는 모른다의 의미의 부지(不知)로 대입하여 풀수 있고, 천병(千兵)은 발음소리상 비슷한 단어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청나라 병사의 의미의 청병(淸兵)으로 의미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줄 급(給)자는 발음상 동음이어를 대입하는 방법으로 미칠 급(及)자를 대입하여 풀수 있고, 두 양(兩)자는 둘의 의미임으로 불 화(火)자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흙 토(土)자는 본문의 앞에 표현된 임진왜란때의 표현인 온토(溫土)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온토는 비슷한 발음소리를 대입하는 방법으로 온돌로 의미를 대입하여 풀수 있고, 시상가관(豕上加冠)은 "시(豕)자 위에 관(冠)을 더하다"라는 의미임으로 집 가(家)자의 형상이 되고, 화서(火鼠)는 시대나 시기로 풀면 불 화(火)자는 병(丙)이나 정(丁)으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가사총론중 南方丙丁二七火에서), 쥐 서(鼠)자는 시기나 연도의 의미로는 쥐 자(子)자로 대입하여 풀수 있고, 병(丙)이나 정(丁)에서 쥐 자(子)와 어울리는 천간(天干)은 병(丙)이므로 병자(丙子)년으로 풀수 있고, 즉 지나간 시대의 환란(患亂)이 었던 병자호란(丙子胡亂)에 대한 예언이었으며, 중산(重山)의 의미는 뫼 산(山)자를 거듭한다라는 의미임으로 곧 날 출(出)자의 형상이 되고, 날 출(出)자는 출진(出陣)이나 출병(出兵)의 의미로 뜻을 유추하여 풀수 있고, 있을 유(有)자는 유리(有利)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집아레에 머무르라는 의미의 가하지(家下止)는 발음소리상 비슷한 발음을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강아지"로 풀수 있고, 이런 내용들을 줄여서 쓰면
(溫土:온토;온돌),(雨下橫山:비 雨자 아래에 山자를 가로하면:雪:눈),(天;天氣:날씨),(不+矢+口=不知:모름),(千兵:천병:청병:淸兵:청나라 병사),(給:급:及:미칠 급),(兩;二:火:불),(土;溫土;온돌),(豕上加冠:豕자위에 冠을 더함:家),(火鼠=丙丁子=丙子:병자호란),(重山:山을 거듭하면:出:出兵),(有:有利(家下止;가하지;강아지)
본문을 풀면
(병자호란이 있는 때에) 땅에서는 떠서 있는 온돌, 따뜻한 온돌에서 살아야할 개의 운(運)에도 들같으나 들이 아닌 민밋하게 흙으로 바른 온돌 방을 전(傳)했으며 눈이 나를 죽이는 것으로 그 글자속에 있는 것이 날씨인줄 모르리라 동양(東洋)화(畵)에 개를 그림에 고려(顧慮)되는 집을. (출병치를 않아도) 집에 까지 청(淸)나라 병(兵)사가 다다름을 흙을 양쪽 좌우(左右)와 위에 까지 바른 온돌 방에서 불을 위로 지펴서 살기를 개의 품성(品性)은 집에 머물러서 살 듯이 고려하여야할 집이로다, (이처럼 병자호란이 일어나면 집에 그냥 머무르길) 병자호란 때의 두 번째 수(數)의 마땅한 운(運)이로다, 출병(出兵)이 불리(不利)하여 나를 죽이는 이치로 사람들이 많이 있는 땅이 유리(有利)하니 집의 기둥을 의지해서 (나가지 말고) 살기를 눈이 창궐(猖獗)하는 것이 보이면 집을 보고 곧 머무르라 개그림을 소리로 한즉 강아지요 뜻으로 한즉 집아래에 머무르라는 뜻이로다
雜저世上當末運에 不毛之獸丁寧하다 (잡저세상당말운에 불모지수정녕하다)
본문의 내용에는 없지만 휘어지고 뒤죽박죽되고(雜저)등의 내용등은 윤리(倫理)나 도덕(道德)을 표현한 것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털없는 짐승의 의미는 짐승은 짐승인데 세상의 짐승들은 전부 털이 있는 반면에 털이 없다는 것은 짐승같은 사람이나 또는 영적인 의미의 짐승 즉 마귀의 상징으로 볼수 있으며,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요한계시록 13 장 내가 보니 바다에서 한 짐승(獸)이 나오는 데,,, ,,짐승(獸)이 마흔두달(삼년반) 동안 일할 권세를 받았더라 짐승(獸)이 입을 벌려 하나님을 향하여 훼방하되 그의 이름과 그의 장막(帳幕) 곧 하늘에 거하는 자들을 훼방하더라 또 권세(權勢)를 받아 성도(聖徒)들과 싸워 이기게 되고 각 족속(族屬)과 백성(百姓)과 방언(方言)과 나라를 다스리는 권세(權勢)를 받으니 죽임을 당한 어린 양(羊)의 생명책(生命冊)에 창세(創世)이후(以後)로 녹명되지 못하고 이 땅에 사는 자(者)들은 다 짐승에게 경배(敬拜)하리라, 누구든지 귀가 있거든 들을 지어다 사로 잡는 자는 사로잡힐 것이요 칼로 죽이는 자들은 자기도 마땅히 칼에 죽으리니 성도(聖徒)들의 인내(忍耐)와 믿음이 여기에 있느니라
浮金冷金牛運에도 似人不人傳했으며 (부금냉금우운에도 사인불인전했으며)
본문에서 쇠 금(金)자는 일(一)팔(八)간(干)팔(八)자로 파자하여 풀수 있고, 파자된 글자에서 하나 일(一)자는 생명수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는 물 수(水)자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北方六一壬癸水에서), 여덟 팔(八)자는 성인을 상징하는 나무 목(木)으로 의미를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東方三八甲乙木에서), 구할 간(干)를 합하여 쇠 금자를 파자한 글자에서 의미를 유추하여 풀어 보면 "생명나무 성인의 생명수를 구하다"라는 의미로 뜻을 유추하여 풀수 있고,소 우(牛)자는 신(神)의 상징이고, 아니 불(不)자는 발음소리상 동음이어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화(火)자의 의미의 불을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생명나무 성인의 생명수를 구할 떠있는 쇠의 맑은 금(金)빛의 신(神)의 운(運)에도 사람같으나 사람이 아닌 불(火)인 사람을 전(傳)했으니
마치 쇠의 금빛의 불(火)처럼 표현되는 신(神)의 형상을 표현한 성경(聖經)의 내용을 옴겨 보면
에스겔서 1 장 4, 7, 27, 28, ,,,폭풍과 구름이 오는데 그 속에서 불(火)이 번쩍번쩍하며 빛이 그 사면(四面)에 비취며 ,,,불(火)가운데에 단 쇠(金) 같은 것이 나타나 보이고 ,,,그 다리는 곧고 그 발바닥은 송아지(牛) 발바닥 같고 마광(磨光:갈아서 빛내운)한 구리같이 빛나며,,, ,,, ,,,남보석(石)같고 그 보좌의 형상위에 한 형상이 있어 사람(人)의 모양같더라 내가 본즉 그 허리 이상의 모양은 단 쇠(金)같아서 그 속과 주위가 불(火)같고 그 허리 이하의 모양도 불(火)같아서 사면(四面)으로 광채(光彩)가 나며 그 사면광채(四面光彩)의 모양은 비 오는 날의 구름에 있는 무지개 같으니 이는 여호와의 영광(榮光)의 형상(形象)의 모양이라
(((왜 쇠같고 불같으신 사람같으나 사람이 아닌...신이냐 하면..지상의 인간으로 오실것이 아니라....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마음의 나라...심령의 세계의 신으로 오실 것이므로.....이런 표현을 한것이라는 것입니다...즉 이 표현도...구지십승이단지설(求地十勝異端之說)을 뒷밭침 해주는 표현으로 볼수 있다는 것입니다)))
小頭無足殺我者로 化在其中鬼不知라 (소두무족살아자로 화재기중귀부지라)
본문에서 소두무족(小頭無足)은 이 책중의 표현에 소두무족귀화리(小頭無足鬼火理)라는 이 책속의 표현에 의하여 마귀(魔鬼)의 불로 의미를 대입하여 풀수 있고, 여기에다가 무두족(無頭足)은 머리도 없고 발도 없다의 의미이므로 영락없는 귀신의 형상을 표현한 것으로 볼수 있고, 적을 소(小)자는 신(神)의 빛을 크나큰 광명(光明)의 빛을 표현한다고 할수 있는 것이라면 마귀의 불빛은 대비되는 의미로 하늘거리는 작을 불의 의미 즉 광명의 불빛이 아니라 불이 약하다는 의미로 풀수 있고, 변화(變化)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는 화(化)자는 동음이어를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불 화(火)자를 대신 대입하여 의미를 풀수 있고, 귀(鬼)는 마귀의 의미로 뜻을 유추하여 풀수 있고,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小頭無足=鬼火, 이책중 표현),(化:화:火),(化;變化),(鬼;魔鬼)
발도 없고 머리도 없는 귀신들의 (광채가 나지 않는) 작은 불(火)이 나를 죽이는 것으로 그 작은 불(小火)속에 불로 변해있는 마귀(魔鬼)들을 모르리라
畵牛顧溪奄宅曲阜 一八干八腫金生을 (화우고계엄택곡부 일팔간팔종금생을)
본문에서 화(畵)자는 동양화(東洋畵)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소 우(牛)자는 이 책에서는 우성농부등으로 상징되는 신(神)의 상징이고, 시내 계(溪)자는 세상의 시내가 아니라 생명의 시내 즉 천상의 생명수의 시내물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고, 엄(奄)자는 엄마로 엄마는 어머니로 즉 생명의 어머니 즉 신(神)의 의미가 상징적으로 들어간 표현이고, 곡(曲)자는 발음소리상 동음이어를 대입하는방법으로 골짜기 곡(谷)으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또한 언덕 부(阜)자는 즉 저세상 천국을 가리키는 피안(彼岸)의 언덕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여덟 팔(八)자는 성인을 상징하는 나무 목(木)으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東方三八甲乙木에서), 하나 일(一)자는 생명수의 의미의 물 수(水)자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살 생(生)자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표현할수 있는 생명(生命)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나는 ...생명이니..요한복음중에서), 쇠 금(金)자는 금빛의 의미로 뜻을 유추하여 풀수 있고, 종금(從金)은 광채영롱종금지의(光彩玲瓏從金之意)라는 이 책속의 표현에 의하여 광채영롱이라는 의미를 대입하여 풀수 있고,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牛;신 의 상징),(溪:시냇물;생명의 시냇물),(奄:엄:엄마:어머니:생명의 어머니:신의 상징),(曲:곡:谷;골짜기),(阜:언덕 부),(八;木:나무:성인 상징),(一;水:生命水),(干;구할 간),(生金:생명의 금빛),(從金=光彩玲瓏, 이 책중 표현),(生:生命:그리스도)
본문을 풀면
동양화에 소를 그림에 고려되는 시냇물처럼 하나님을 그림에 고려하여야 할 생명의 시냇물이 있는 생명의 어머니의 집, 생명의 골짜기, 생명의 피안의 언덕인 생명나무 성인의 생명수를 구하는 생명(生命)의 금(金)빛의 신(神)의 광채영롱(光彩玲瓏)한 신(神) 그리스도의 빛을 쫒아서 생명(生命)으로 살기를
앞서도 표현하였지만 강조하기 위하여 쇠(金)같고, 소(牛)의 형상이 나타나고, 광채영롱한 불(火)같은 신을 표현한 성경속이 내용을 옴기면
스겔서 1 장 4, 7, 27, 28, ,,,폭풍과 구름이 오는데 그 속에서 불(火)이 번쩍번쩍하며 빛이 그 사면(四面)에 비취며 ,,,불(火)가운데에 단 쇠(金) 같은 것이 나타나 보이고 ,,,그 다리는 곧고 그 발바닥은 송아지(牛) 발바닥 같고 마광(磨光:갈아서 빛내운)한 구리같이 빛나며,,, ,,, ,,,남보석(石)같고 그 보좌의 형상위에 한 형상이 있어 사람(人)의 모양같더라 내가 본즉 그 허리 이상의 모양은 단 쇠(金)같아서 그 속과 주위가 불(火)같고 그 허리 이하의 모양도 불(火)같아서 사면(四面)으로 광채(光彩)가 나며 그 사면광채(四面光彩)의 모양은 비 오는 날의 구름에 있는 무지개 같으니 이는 여호와의 영광(榮光)의 형상(形象)의 모양이라
牛性在野三人一夕 水土三數終末일세 (우성재야삼인일석 수토삼수종말일세)
본문에서 소 우(牛)자는 이 책속에서는 우성농부등으로 표현되는 신(神)의 상징이고, 성품 성(性)자는 마음 심( :心)자와 살 생(生)자로 파자하여 풀수 있고, 파자된 글자 심(心)과 생(生)은 심령(心靈)과 생명(生命)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석 삼(三)자는 성인을 상징하는 나무 목(木)을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東方三八甲乙木에서), 하나 일(一)자는 생명수를 상징하는 물 수(水)자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北方六一壬癸水에서), 저녁 석(夕)자는 이 책에서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돌 석(石)자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삼인일석(三人一夕)은 합하면 수도할 수(修)자로 대입하여 풀수 있고, 수토(水兎)는 시기로 풀어 보면 물 수(水)자는 천간 임(壬)이나 계(癸)롤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北方六一壬癸水에서), 토끼 토(兎)자는 토끼 묘(卯)자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천간 임(壬)이나 계(癸)에서 토끼 묘(卯)자와 어울리는 천간(天干)은 계(癸)이므로 수토는 계묘(癸卯)년으로 풀수 있고, 앞전의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등의 환란은 이미 시기로는 지나간 환란이었으나 앞으로 올 마지막 환란 계묘대환란의 연도를 숨겨서 수토로 표현한 것이고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소의 성품(性品)은 들에 머뭄같이 신(神)의 성품(性品)은 심령(心靈)과 생명(生命)의 들(天國)에 머무시나니 생명나무 성인 그리스도의 생명(生命)의 물(水)로 수도(修道)하기를 (계묘대환란에는 수도하기를), 계묘대환란의 세 번째 수(數)로 종말(終末)일세
六角八人殺我理로 弓弓十勝天坡生을 (육각팔인살아리로 궁궁십승천파생을)
본문에서 여섯 육(六)자는 생명수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는 물 수(水)자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北方六一壬癸水에서), 뿔 각(角)자는 발음소리상 동음이어를 대입하는 방법으로 깨달을 각(覺)자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여덟 팔(八)자는 성인을 상징하는 나무 목(木)으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가사총론중 東方三八甲乙木에서), 육갈팔인(六角八人)은 육각팔인천화리(六角八人天火理)라는 이 책속의 표현에 의하여 하늘의 불의 의미인 천화(天火)로 의미를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궁궁(弓弓)은 두 개의 활 궁(弓)자가 돌려서 마주보는 형상에서 나오는 열십자의 형상으로 그리스도를 상징하고, 또한 활 궁(弓)자는 발음소리상 동음이어를 대입하는 방법으로 하늘 궁(穹)자나 천국궁전의 상징인 집 궁(宮)자로 대신 대입하여 풀수 있고, 살 생(生)자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표현할수 있는 생명(生命)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나는 생명이니..요한복음중),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사람들이 생명나무 성인(聖人)의 하늘(天)의 불(火)과 물(水)로 깨달음을 얻기도 하지만 (계묘대환란에는) 하늘(天)의 불(火)이 나를 죽이는 이치(理致)로 심판하기도 하리니 사람들이여 열십(十)자 그리스도의 하늘의 궁(宮)전 십(十)자 승(勝)리자 그리스도의 하늘의 고개에서 수도(修道)하여 생명(生命)으로 살기를
見鬼猖獗見野卽止 畵豕卽音道下止라 (견귀창궐견야즉지 화시즉음도하지라)
본문에서 귀(鬼)자는 귀신(鬼神)이나 마귀(魔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수 있고, 본문의 내용에서 견귀창궐(見鬼猖獗)이라는 의미는 "마귀들이 창궐하는 것을 보면"이라는 의미인데 여기서 생각하여 볼 내용은 마귀(魔鬼)들은 보통 사람의 육안(肉眼)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므로 아마도 이 표현은 명상(冥想)을 통하여 수도(修道)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풀어야 내용상 맞을 것같고, 들 야(野)자는 이 책에서 말이나 양이마 소나 새나 여러 가지 동물들처럼 표현한 것이 그리스도나 신이나 성령의 상징인 것과 마찬가지로 들은 마치 동물들이 머물러서 살아가는 장소인데 여기서는 동물들이 신이나 성령이나 그리스도의 상징이므로 즉 신들이 머무르는 장소 곧 천국(天國)의 상징으로 들이 표현된 것이고, 그러므로 세상의 들이 아니라 천국의 상징인 생명의 들의 의미로 유추하여 풀수 있고, 도(道)아래에 머물라는 도하지(道下止)는 발음소리상 비슷한 것을 대입하여 숨은 뜻을 푸는 방법으로 도야지 즉 돼지의 의미로 풀수 있고, 길 도(道)자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표현할수 있는 표현이고(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요한복음중에서), 또한 길 도(道)자는 발음소리상 동음이어를 대입하는 방법으로 천국의 상징인 도시 도(都)자를 대입하여 풀수도 있고, 이런 내용을 줄여서 쓰면
(명상을 할 때에?) 마귀(魔鬼)들이 창궐(猖獗)하는 것이 보이면 생명(生命)의 들(천국성전)을 보고 곧 머루르라 돼지그림을 소리로 한즉 도야지라하나 뜻으로 한즉 진리(眞理)의 도시(都市)인 천국(天國)의 그리스도의 진리의 도(道)아래에 머무르라는 뜻이로다
(여러분들의 이해를 위하여 말세의 계묘대환란때의 표현만을 옴겨 보면) ----------------------------------------------------------------- ----------------------------------------------------------------- (말세의 계묘대환란의 때) (나를 죽이는 것) 윤리와 도덕이 휘어지고 뒤죽박죽되어 섞인 말세(末世)를 당(當)하는 운(運)에는 털없는 "짐승"이 정녕하구나
(나를 살리는 것) 생명나무 성인의 생명수를 구할 떠있는 쇠의 맑은 금(金)빛의 신(神)의 운(運)에도 사람같으나 사람이 아닌 불(火)인 사람을 전(傳)했으니
(나를 죽이는 것) 발도 없고 머리도 없는 귀신들의 (광채가 나지 않는) 작은 불(火)이 나를 죽이는 것으로 그 작은 불(小火)속에 불로 변해있는 마귀(魔鬼)들을 모르리라
(나를 살리는 것) 동양화에 소를 그림에 고려되는 시냇물처럼 하나님을 그림에 고려하여야 할 생명의 시냇물이 있는 생명의 어머니의 집, 생명의 골짜기, 생명의 피안의 언덕인 생명나무 성인의 생명수를 구하는 생명(生命)의 금(金)빛의 신(神)의 광채영롱(光彩玲瓏)한 신(神) 그리스도의 빛을 쫒아서 생명(生命)으로 살기를 소의 성품(性品)은 들에 머뭄같이 신(神)의 성품(性品)은 심령(心靈)과 생명(生命)의 들(天國)에 머무시나니 생명나무 성인 그리스도의 생명(生命)의 물(水)로 수도(修道)하기를 계묘대환란의 세 번째 수(數)로 종말(終末)일세 사람들이 생명나무 성인(聖人)의 하늘(天)의 불(火)과 물(水)로 깨달음을 얻기도 하지만 (계묘대환란에는) 하늘(天)의 불(火)이 나를 죽이는 이치(理致)로 심판하기도 하리니 사람들이여 열십(十)자 그리스도의 하늘의 궁(宮)전 십(十)자 승(勝)리자 그리스도의 하늘의 고개에서 수도(修道)하여 생명(生命)으로 살기를 (명상을 할 때에?) 마귀(魔鬼)들이 창궐(猖獗)하는 것이 보이면 생명(生命)의 들(천국성전)을 보고 곧 머루르라 돼지그림을 소리로 한즉 도야지라하나 뜻으로 한즉 진리(眞理)의 도시(都市)인 천국(天國)의 그리스도의 진리의 도(道)아래에 머무르라는 뜻이로다 ----------------------------------------------------
과거는 지나갔고 ~ 미래는 오지않았지 만 . . . 깨닫고 알수는 있겠지요 한국 교회에서 소 울 음 소리 나는 하늘 나라 로.변 화 하기를 바라면서 ~ 과감 하게.고정관 념 을 깨고.실천 합시다 . . . 미국식 으로 아 멘 ! 하지 말고.오 ㅁ ~ 메.!.어때요.이미 한국 인 들 의 언 어속 에 급 하면 으 메 오메 ~! 전 라도 에서 하는 말 ! ~ 경상도 에서는.엄 마야 . . 맞는가요 자기 부모 뿌리 찾는 자연적인 소리 아 멘 을 오 ㅁ ~ 마 ~니 반 메훔 ~.!.그렇게 하면 평화 가
첫댓글 마태복음 13장 34-35 예수님게서 비유가 아니면 아무 것도 말씀하지 않으셨답니다.
과거는 지나갔고 ~ 미래는 오지않았지 만 . . . 깨닫고 알수는 있겠지요 한국 교회에서 소 울 음 소리 나는 하늘 나라 로.변 화 하기를 바라면서 ~ 과감 하게.고정관 념 을 깨고.실천 합시다 . . . 미국식 으로 아 멘 ! 하지 말고.오 ㅁ ~ 메.!.어때요.이미 한국 인 들 의 언 어속 에 급 하면 으 메 오메 ~! 전 라도 에서 하는 말 ! ~ 경상도 에서는.엄 마야 . . 맞는가요 자기 부모 뿌리 찾는 자연적인 소리 아 멘 을 오 ㅁ ~ 마 ~니 반 메훔 ~.!.그렇게 하면 평화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