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샘 클라이밍기술
1 자연바위에서 런찌기술
손으로 꼭 잡지않아도 될 홀드를 잡아서 오히려 클라이밍에 방해가 되고 힘들어지면서 올라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클라이머는 원인을 파확하지 못하고 재도전하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낭비하는데 이때 오히려 잡으려는 홀드에서 손을 떼고 허리를 직립하고 어깨를 멀리하여 런찌자세를 취하여 클라이밍하면 클라이밍을 쉽게 해결하여 올라갈 수 있다.
2 발 홀드 밟는 면적
옛날에 클라이밍슈즈가 탄생하기전에는 크랙타종류의 워킹화, 군용화를 사용하여 클라이밍을 했기때문에 홀드와 닿는 면적을 되도록이면 넓게 일자로 디뎌서 오르라는 교육이 기본이되었다.
그것이 일반화되어 지금까지 통용되고 있지만 높은 난이도 수직벽이상의 스랩, 페이스를 오르기위해 클라이밍슈즈의 바닥창이 발전되고 앞이 뾰족해지므로서 홀드면적을 넓게 밟으면 심적으로는 편안하지만 일어설경우 오히려 슈즈가 밀려서 미끄러진다.
이 원인을 모르는 클라이머는 불필요한 에너지소비를 감행하고 밑창의 손실을 하면서도 오르지 못한다.
3 발 전환 크로스 클라이밍
암벽을 오르는데 꼭 정면을 보고 클라이밍 할 필요는없다.
암벽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홀드를 따라서 순응해야 발란스가 깨지지 않는다.
발란스가 깨지는 순간 몸의 균형이 흔들려서 추락하게 되는데 이 원인을 파확못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손실을 하면서도 클라이밍을 해결하지 못한다.
그래서 인 아웃 크러스 발 전환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하면서 좌측 혹은 우측 어깨가 암벽에 닿으며 옆동작으로 클라이밍을 해야한다.
4 스미어링 엣찌 클라이밍기술
클라이머마다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데 공통적인것은 발바닥을 바위에 닿게 한다는 것이다.
이때 바위에 닿는 순간 발에 힘을 주면서 클라이밍을 하면 추락한다는 것이다.
먼저 딛는 발의 발목에 힘을 뺀다.
그리고 슈즈의 끝이 자연스럽게 접히는것을 느낀후에 다음 발홀드에 발목에 힘을 빼고 딛는것을 반복한다.
상식적으로는 헛소리 하는것 같지만 바위의 표면의 입자를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다.
고난이도 클라이밍의 엣찌는 슈즈의 앞코를 사용하여 클라이밍을 하는데 대개의 클라이머들이 발목의 위치와 무릎의 방향이 클라이밍을 방해해서 추락한다는 것이다.
발목의 복사뼈를 암벽에 붙어야하고, 무릎도 사타구니를 먼저 벌린후 암벽에 무릎의 안쪽을 붙어야 한다,
5 연속성 추진력 클라이밍기술
홀드와 홀드를 이어서 밟으면 올라갈때 클라이머는 최소한 다음 홀드는 알고 보고 클라이밍을 해야 하는데
그렇치못하거나 손 홀드를 먼저 보다가 발 홀드를 눈에서 놓쳐버리는 순간 경직되고 시간지체가 길어져서 추락하게된다.
클라이머는 발홀드를 2~8동작을 읽는 능력을 키워야하며 손을사용하지 않고서 발로만 가는 기술과 동작이 연속성으로 이어지고 어깨와 몸을 사용하는 추진력 클라이밍을 해야 쉽게 클라이밍에서 올라갈 수 있다.
6 손 기술 클라이밍
최대한 손을 사용하지않고 발로만 등반을 할 수 있다면 손가락부상과 펌핑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발로만 오르는것은 한계가 있어서 손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는 어쩔수 없이 손가락의 관절에 무리를 주면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발80, 손20정도라야 손관절의 부상을 피하고 오를수 있다.
위의 클라이밍기술은 슬랩, 페이스, 크랙등 모든 자연암벽을 오르는데 한하여 적용되며 과거의 마운틴클라밍기술을 진화하여 새로운 신기술을 함샘이 창조한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더 진화한 기술을 창조할 마운틴클라이머가 반드시 탄생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으며 또 자랑스럽게 생각할 것이고 클라이밍 예술가로서 축하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