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문 서식(祝文 書式) 차례
1. 축문 작성 요령...............................................................................83
2. 축문 서식......................................................................................85
◎ 일포 및 천구 취여 축 <日脯 祝과 遷柩 就轝 祝 .85
◎ 개영역 토지 축문 <開塋域 土地 祝文>.......................................................85
◎ 동강 선영 축문 <同岡 先塋 祝文>.............................................................86
◎ 쌍분 축문 <雙墳 祝文> ...........................................................................87
◎ 화장 시 고유 축문 <火葬時 告由祝文>.......................................................88
◎ 이묘 후 화장 축문 <移墓後 火葬祝文>.......................................................88
◎ 장후 토지 축문 <葬後 土地 祝文>.............................................................89
◎ 우제 축문 <虞祭 祝文>............................................................................90
◎ 백일 탈상 축문 <百日 脫喪祝文>...............................................................91
◎ 소(대)상 축문 <小(大)祥 祝文> ................................................................92
◎ 가정의례 준칙에 의한 탈상제의 축문.........................................................92
◎ 소상, 대상, 겸제(1년 탈상)축문 <小祥,大祥 兼祭(1年 脫喪) 祝文>.................93
◎ 소상, 대상, 담제를 겸제 축문 <小祥,大祥,禫祭 兼祭 祝文>...........................93
◎ 어느 집안의 한글로 조축한 소상 축문 ......................................................94
◎ 담제 축문 <禫祭 祝文> ...........................................................................94
◎ 어느 집안의 한글로 조축한 담제 축문 ......................................................95
◎ 기일 제사 축문 <忌日 祭祀 祝文> ............................................................95
◎ 합사 축문 <合祀 祝文> ...........................................................................96
◎ 제사 천봉 고사 축문 <祭祀 薦奉 告辭 祝文>..............................................98
◎ 묘제 시 축문 <墓祭時 祝文> ...................................................................99
◎ 입석 후 축문 <立石後 祝文>....................................................................100
◎ 이묘 시 축문 <移墓時 祝文> .................................................................101
◎ 묘 개사초시 축문 <墓 改莎草時 祝文> ..................................................103
◎ 이장 시 축문 <移葬時 祝文> .................................................................104
◎ 합폄 성분 시 축문 <合窆 成墳時 祝文> ..................................................105
◎ 신장 쌍분 성분 후 토신제 축문 <新葬 雙墳 成墳後 土神祭 祝文> .............106
◎ 합장하고 난 뒤 축문 <合葬時 祝文> .......................................................105
◎ 지제 축문 <止祭 祝文> .........................................................................107
◎ 사혼 축문 <死婚 祝文> .......................................................................108
◎ 훈장채지(訓長 帖(체)紙)를 받고 부인 묘에 고하는 축문 .............................109
◎ 건축 신축 시 축문 <建築 新築時 祝文>....................................................110
◎ 축문쓰기에 참고할 사항..........................................................................111
축문 서식(祝文 書式)
1. 축문 작성 요령
○ 祝文은 祭日을 당하여 祭位에 追悼하는 마음을 表示하고 祖上의 恩德과 思慕하는 情을 기리고 簡素한 祭需를 올려 歆饗하시라는 뜻으로 고함.
○ 祝文의 규격은 깨끗한 한지(白紙) 폭 24㎝, 길이 36㎝를 9칸으로 접어 양쪽 1칸씩을 두고 7칸에 위 아래로 쓴다.
○ 祝文내용 構成은 대부분 四字成語로 되어 있다.
○ 옛날 한문 글씨는 위 아래로 쓰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것이 原則이다.
○ 祝文을 쓸 때 考 ․ 妃의 位置가 다른 것은 祝文을 읽을 때 아버지로부터 고하기 위하여 먼저 쓰는 것일 뿐이다.
○ 한편 紙榜과 碑文은 앞에서 볼 때 男子는 왼쪽(左靑龍), 女子는 오른쪽(右白虎)에 위 아래로 쓴다.
① 祝文 內容과 意味
○ 維(유) 歲次(세차) ~ 祭文의 첫머리에 쓰는 말.
○ 干支(간지) ~ 天干(천간)과 地支(지지)를 말하는데 그 해의 太歲(태세)를 말함. 예 : 2006년은 丙戌
○ 某月(모월) ~ 제사를 지내는 달을 쓴다.
예: 제사를 지내는 달이 8월이면 八月이라 씀.
○ 干支朔(간지삭) ~ 祭祀를 지내는 달의 초하루의 日辰(일진)을 말함.
○ 某日(모일) ~ 祭祀(제사)를 지내는 날을 씀
○ 干支(간지) ~ 祭祀(제사)를 지내는 날의 日辰(일진)을 그대로 씀.
○ 祝文에는 奉祀者 또는 獻官(헌관)의 ○○(이름)을 쓰고 읽는다.
○ 감소고우(敢昭告于)는 헌관(봉사자)이 삼가(감히) 밝게 고한다는 뜻으로
妻(처)의 祝文에는 敢을 삭제하고 “소고우(昭告于)”라 쓰고 동생 이하는 “고우(告于)”라 쓴다.
○ 維(유), 顯(현), 饗(향) 字(자)는 한 글자 위로 올려 쓴다.
○ 尊屬(존속) 또는 손위 同行列(동항렬) 대하여는 追慕(추모)의 뜻을,
卑俗(비속) 또는 손아래 同行列(동항렬) 대하여는 追悼(추도)의 뜻을 간결한 말로 표시하고, 손아래 同行列(동항렬) 또는 卑屬(비속)에 대하여는 “제수를 차렸으니 殞感(운감)하기 바란다.”로 바꿔 쓴다.
○ 某封(모봉)은 옛날에는 남편이 관직에 오르면 그 妻(처)도 品階(품계)를 얻어 呼稱(호칭)했다. 그것이 없으면 孺人(유인)이라 쓴다.
예: 남편이 초등교장 또는 중등교장이면 某封(모봉)은 교장부인이라 쓴다.
○ 某氏(모씨) ~ 여자의 경우에 性(성)을 쓰나 대개 本貫(본관)을 붙인다. 예: 原州邊氏
② 제사일과 봉행시간
○ 祭祀日은 돌아가신 날(死亡日)되는 첫 시간인 子時(자시)에 지내는 것임을 注意할 것이므로 전날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 사이에 지내는 것이 原則이다.
★ 死亡(사망)하면 當日(당일) 子時(자시)에 卒(졸)한 것으로 보며
★ 出生(출생)하면 翌日(익일) 子時(자시)에 出生(출생)한 것으로 본다.
入齋(입재) ~ 돌아가신 전날에 祭需(제수)를 준비하고 設床(설상)하는 일.
罷祭(파제) ~ 제사의 行禮를 마친다는 뜻.
○ 만일 초저녁에 제사를 지내려면 돌아가신 날에 해가 진 다음부터 밤 11시 전에 지내는 것이 봉제행사(奉祭行事)의 意味(의미) 상 옳을 것이다.
○ 天狗日(천구일)은 寅日(인일)이므로 忌日(돌아가신 날)이 寅日(인일)이면 이 날을 피하기 위하여 밤 11시 전에 祭을 지낸다. 이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결례를 범하게 되므로 옳지 않으나 每年 日辰이 같지 않기 때문에 例外로 본다.
축문 서식(祝文 書式)
◎ 日脯 祝 <일포 축>
(발일 전날 申時에 제사 지낼 때 口頭로 고하는 축으로 祖奠祝이라고도 함)
영천지례 영신불류 금봉구거 식준조도
永遷之禮 令辰不留 今奉柩車 式遵祖道
해설: 영원히 가시는 예를 드리옵니다. 이미 명을 받은 때이므로 더 머무
르지 못하옵고 상여를 받들겠사오니 가는 길을 인도 하여 주소서.
◎ 遷柩 就轝 祝 <천구 취여 축>
(관을 옮기며 상여로 나갈 때 관에 口頭로 고하는 축)
금이길신 천구감고, 금천구 취여 감고
今以吉辰 遷柩敢告, 今遷柩 就轝 敢告
해설: 이제 관을 옮기어 상여로 맞음에 삼가 고하나이다.
◎ 發靷(遣奠 또는 永訣) 祝 <발인-견전 또는 영결- 축>
영이 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靈輀 旣駕 往卽幽宅 載陳遣禮 永訣終天
해설: 상여를 메게 되었사오니 다음은 곧 무덤일 것입니다. 보내오는 예
를 베푸오니 영원토록 이별 하옵심을 고하나이다.
◎ 開塋域 土地 祝文<개영역 토지축문>
(산일을 시작할 때 산신에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관부군 (모봉 모씨) 영건택조 신기보우 비무후간
土地之神 今爲 某官府君 (某封 某氏) 營建宅兆 神其保佑 俾無後艱
근이 청작 포혜(서수) 지천우 신 상
謹以 淸酌 脯醯(庶羞) 祗薦于 神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의 묘를 만들려하오니 신께서 도우셔서 뒤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 여 주시기 바라옵나이다.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부락 공동묘지나 가족 공동묘지에는 처음 만들 때 산신 축을 고하고
매번마다 고하지 아니하는 경우도 있다.
◎ 同岡 先塋 祝文<동강 선영 축문>
(선영이 있는 곳에 새로 묘를 모실 때 선영에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세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世孫 姓名 敢昭告于
현 ○대조고 모관부군 지묘 금위 ○ 세손 모관부군
顯 ○代祖考 某官府君 之墓 今爲 ○ 世孫 某官府君
영건택조우 묘의 좌편(혹은 묘의 우편) 장개영역 복유
營建宅兆于 墓의 左便(或은 墓의 右便) 將開塋域 伏惟
존령 불진불경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尊靈 不震不驚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세손 ○○는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아버님(어머님)의 무덤을 ○ 대 할아버님의 산소의 왼편(혹은 오른편) 에 드리게 되었사오니
존령께서는 놀라지 마시기를 엎드려 비옵니다.
삼가 주과를 올려 경건히 고하나이다.
◎ 同岡 先塋 祝文<동강 선영 축문>
(가족묘지에 새로 모실 때 합동 제단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오세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五世孫 姓名 敢昭告于
현고조고 통정대부부군지 가족공동묘지 금위 사세손 모관부군
顯高祖考 通政大夫府君之 家族共同墓地 今爲 四世孫 某官府君
영건택조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營建宅兆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해설(1):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5세손 ○○는 감히 고하나이다.
고조할아버님의 가족동묘지에 아버님(또는 어머님)의 묘를 드리게 되었사옵 기 삼가 주과를 올려 경건히 고하나이다.
해설(2): 유세차 ○○년 ○ 월 ○ 일 후손 ○○○ 는 조상님들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금일 이 가족공동묘지에 모관 ○○○ 의 묘를 쓰게 되었아 옵기 주과를 올려 삼가 고하나이다.
◎ 雙墳 祝文 <쌍분 축문> (쌍분으로 모실 때 고하는 축문)
(어머님이 먼저 돌아 가시고 뒤에 아버님이 別世하여 어머님의 묘와 같이 쌍묘할 때 告함)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고애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孤哀子 姓名 敢昭告于
현비 모봉 모씨지묘 선고 모관부군 불행어 ○월○일 연세 예당합부이
顯妣 某封 某氏之墓 先考 某官府君 不幸於 ○月○日 捐世 禮當合附而
연운 유구장용 쌍분지제 호천망극 근이 주과용신 건고 근고
年運 有拘狀用 雙墳之制 昊天罔極 謹以 酒果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께서 불행히 돌아가시니 마땅히 합장하여야 하오나 연운이 맞지 않아 쌍분의 제를 씁니다. 부모님의 은혜가 넓고 하늘과 같으니 삼가 주과로써 경 건히 고하나이다.
* 참고: 아버님이 먼저 돌아가셨으면 先考를 顯考라 고쳐 쓰고 顯妃를 先
妃라 고쳐 뒷줄에 쓴다.
◎ 火葬時 告由祝<화장시 고유축>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고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孤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모관부군지령 금위 택선길일 시류종수 체백다비 불진불경 불승애심혼령건천
顯考某官府君之靈 今爲 擇善吉日 時流從隨 體魄茶毘 不震不驚 不勝哀心魂靈健天
영세시령 영보후사 영구추모 근이 청작 서수 용신 건고 근고
永世是寧 永保後事 永久追慕 謹以 淸酌 庶羞 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고자 ○○는 아버님 영전에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좋은 날을 택하여 세월이 흘러가는 풍속에 따라 시체를 화장하고자 하오니 진동하여도 놀라지 마시옵소서. 이에 슲은 마음 이기지 못하겠나이다.
혼령께서는 하늘로 오르시옵고 영원히 편안하소서. 훗날 일들을 영원히 보살피고 영원토록 추모하고자 삼가 맑은술과 음식을 차려 경건히 삼가 아뢰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移墓後 火葬 祝文<이묘 후 화장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고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孤孫 姓名 敢昭告于
현조고모관부군지령 일월유매 세사변혁 택선길일 파빈체백 시류종수 다비유해
顯祖考某官府君之靈 日月有邁 世事變革 擇善吉日 破殯體魄 時流從隨茶毘遺骸
물진물경 불승감심 혼령건천 영세시령 영보후사 영구추모 근이 청작서수
勿震勿驚 不勝感心 魂靈健天 永世是寧 永保後事 永久追慕 謹以 淸酌 庶羞
용신 건고 근 고
用伸 虔告 謹 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고손 ○○는 할아버님 감히 고하옵니다.
이제 좋은 날을 택하여 빈소를 파번하고 풍속에 따라 유해를 화장하고자 하오니 진동하여도 놀라지 마시옵소서. 서글픈 마음 이기지 못하겠나이다.
혼령께서는 세속을 벗어나 영원한 세대에 편안하시옵소서. 훗날 일들을 보살피시고 영원토록 추모하고자 삼가 맑은 술과 음식을 차려 경건히 삼가 아뢰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葬後 土地 祝文<장후 토지축문>(봉분을 다 마친 후 산신에게 고함)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관부군 폄자유택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土地之神 今爲 某官府君 窆玆幽宅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청작 포혜(서수) 지천우 신 상
淸酌 脯醯(庶羞) 祗薦于 神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 의 무덤을 완성하였습니다. 신께서 보호하고 도우셔서
뒤에 아무 어려움이 없도록 보살펴 주소서. 삼가 맑은 술과 포혜
(여러 가지 음식)를 올려 고하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虞祭 祝文<우제 축문>(묘소에서 초우, 재우, 삼우, 졸곡 합제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애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哀子 姓名 敢昭告于
현비 모봉모씨 국법신제 제례간소 심수무궁 장례기필 내행우졸
顯妣 某封某氏 國法新制 祭禮簡素 心雖無窮 葬禮己畢 乃行虞卒
근이 청작 서수 애천 성사 상
謹以 淸酌 庶羞 哀薦 成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어머님께 감히 고하나이다.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례를 간소화하게 되었으므로 마음
은 오직 무궁하오나 장례를 끝내면서 우제와 졸곡제를 함께 행하
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음식으로 제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옵소서.
◎ 初(再,三)虞祭 祝文 <초(재,삼)우제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고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孤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 일월불거 엄급초(재,삼)우 숙흥야처 애모불령
顯考 某官府君 日月不居 奄及初(再,三)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근이 청작 서수 애천 협(우,성)사 상
謹以 淸酌 庶羞 哀薦 祫(虞,成)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외로운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느덧 시간이 지나 초(재, 삼)우가 되었습니다.
밤낮으로 사모하는 슬픔에 한시도 편할 수가 없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초(재, 삼)우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참고: 父生母喪시는 哀子라 쓰고, 母生父喪시는 孤子라 쓰며, 兩位 모두
死亡時는 孤哀子라고 쓴다.
초우제는 장례 치른 날에, 재우제는 처음으로 맞는 柔日: (乙丁己辛
癸日)에, 삼우제는 처음으로 맞는 剛日: (甲丙戊庚壬日)에 지낸다.
◎ 虞祭 祝文 <우제 축문> (어느 집안의 한글 축문)
父母님의 靈前에 엎드려 贖罪와 永訣의 말씀을 드리옵니다.
아버님은 ○○의 少年으로 다섯 살,세 살짜리 우리 兄弟와 어머님을 남기고 昇天하시면서 우리들의 將來를 걱정하는 痛恨이 하늘에 사무쳤을 것으로 生覺만 해도 嗚咽을 禁할 수 없습니다.
어머님은 ○歲에 아버님과 死別한 靑孀으로 ○餘星霜을 오로지 우리 兄弟의 뒷바라지에만 東奔西走하시면서 苦生만 하시다가 ○○歲를 1期로 殞命하시니 生前에 便하게 모시지 못한 罪가 恨이 되어 後悔가 莫甚하옵니다.
지난 ○월 ○일에 어머님이 殞命하심에 生前에 못 다한 夫婦의 緣을 九泉에서나마 永續하십사 하여 ○월 ○일 아버님이 ○○年間 잠드셨던 幽宅에서 移葬하여 어머님과 같이 이곳 家族墓地 할머니 墓所 앞에 雙墓로 모셨으나 日辰이 不吉하여 오늘에야 龍尾제절 等 安葬의 禮를 畢하오니 安心하시고 天國에서 安息과 冥福을 누리면서 우리를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簡略하게 酒果와 祭需를 차려 虞祭를 奉行하오니 歆饗하시고 함께 승천하시옵소서. 서기 년 월 일
不孝한 子息 ○○, ○○ 가 告합니다.
◎ 卒哭 祝文 <졸곡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 일월불거 엄급졸곡 숙흥야처 고지호천 오정 미궤
顯考 某官府君 日月不居 奄及卒哭 夙興夜處 叩地呼天 五情 靡潰
애모불령 근이 청작 서수 애천 성사 상
哀慕不寧 謹以 淸酌 庶羞 哀薦 成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이 돌아가시고 어언 졸곡이 되었사옵니다. 땅을 치고
하늘을 향해 외쳐도 애끊은 가슴은 풀리지 않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졸곡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참고: 死亡日 後 3個月이 지나 剛日:(甲丙戊庚壬日)을 골라 지낸다.
卒哭부터는 吉事이기 때문에 孤子(孫)를 孝子(孫)으로 쓴다.
◎ 百日 脫喪祝<백일 탈상 축>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애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哀子 姓名 敢昭告于
현비전주이씨 일월불거 엄급백일 자이시제 감위철연 고지호천 오정미궤
顯妣全州李氏 日月不居 奄及百日 玆以時制 敢僞撤蓮 叩地呼天 五情靡潰
근이 청작서수 애천 상사 상
謹以 淸酌庶羞 哀薦 祥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고자 ○○는 어머님 영전에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머무르지 않아 돌아가신지 어느덧 백일이 되어 시류의 제도에 따라 잘못을 무릅쓰고 연을 철수하고자 하오니 하늘을 보고 땅을 치며 애간장 끊어질듯 한 복 바치는 슬픔을 이길 길이 없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 하시옵소서
◎ 小(大)祥 祝文 <소(대)상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 일월불거 엄급소(대)상 숙흥야처 소심외기 불타기신
顯考 某官府君 日月不居 奄及小(大)祥 夙興夜處 小心畏忌 不惰其身
애모불령 근이 청작 서수 애천 상사 상
哀慕不寧 謹以 淸酌 庶羞 哀薦 祥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이 돌아가시고 어언 소(대)상이 되었아옵니다.
밤낮으로 정성을 다하여도 사모하는 슬픔에 한시도 편할 날이 없
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소(대)상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가정의례 준칙에 의한 탈상제의 축문
해설: 유세차 ○○년 ○○월 ○○일 아들(혹은 손자)은 아버님(혹은 할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세월은 덧없이 흘러 어느덧 상기를 마치게 되었사오니 애모하는
마음 더욱 간절하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와
흠향하시옵소서.
◎ 小祥,大祥 兼祭(1年 脫喪) 祝文<소상,대상,겸제(1년 탈상)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모봉 모씨) 일월불거 엄급기상 숙흥야처 애모불령
顯考 某官府君(某封 某氏) 日月不居 奄及朞祥 夙興夜處 哀慕不寧
삼년봉상 어례지당 사세불체 혼귀분묘 근이청작 서수애천 상사 상
三年奉喪 於禮至當 事勢不逮 魂歸墳墓 謹以淸酌 庶羞哀薦 祥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어머님)이 돌아가신 지 어느새 1년이 되었습니다.
사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여 3년을 봉상하여야 하오나 시속에 따
라 상기를 마치게 되었아옵니다. 혼령께서는 분묘로 임하시옵소서. 삼가 맑 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제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小祥, 大祥, 禫祭 兼祭 祝文(소상, 대상, 담제를 겸하여 지낼 때)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보봉 모씨) 일월불거 엄급상기 국제간소 심수무궁
顯考 某官府君(某封 某氏) 日月不居 奄及喪朞 國制簡素 心雖無窮
수시종령 의상종담 근이 청작 서수 애천 겸사 상
髓時從令 依常終禫 謹以 淸酌 庶羞 哀薦 兼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어머님)이 돌아가신 지 어느새 1년이 되었습니다.
사모하는 마음은 금할 길 없사오나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상과 대상과 담제의 예를 겸하여 1년으로 마치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소상 축문 (어느 집안의 한글 축문)
西紀○○○○年 陰曆 ○ 月 초하루인 오늘 어머님 朞年祭를 奉行코져 不孝子 ○○가 同生 ○○와 ○○와 같이 어머님 靈前에 무릎 꿇고 엎드려 삼가 아뢰옵니다.
인자한 어머님의 웃는 얼굴이 눈에 선하고 다정한 音聲이 귓전에 生生히 맴돌고 있어 幽明을 달리한 것이 어제 같은데 벌써 朞年이 돌아왔습니다.
어머님은 꽃다운 나이에 아버님을 死別하시고 靑天霹靂같은 비애를 가슴 속 깊이 간직한 채 秋毫의 不平不滿도 表示함이 없이 苦惱를 웃음으로 넘기면서 ○○餘年을 오로지 우리 兄弟와 孫子들의 뒷바라지로 苦生만 하시면서 살아 왔습니다.
이제 우리 兄弟도 生活이 安定되었으므로 어머님을 편히 모시고 孫子들이 成長過程을 지켜보면서 餘生을 즐겁게 보내시도록 하려던 次에 하늘도 無心하시지 孝道로 便히 모실 機會를 주지 않고 그 흔한 國內觀光도 시켜 드리지 못한 채 영영 못 오실 길을 떠나셨습니다.
生前에 편히 모시지 못한 罪責感으로 痛恨이 罔極해서 하늘을 우러러 이 엄청난 슬픔을 呼訴할 따름입니다.
우리는 兄弟가 뜻을 모으고 어머님의 가르치심을 받들어 和睦한 家庭을 이루고 사랑하던 孫子들도 工夫 잘하고 健康하게 成長 시키겠사오니 安心하시고 하늘나라에서 아버님과 같이 安息과 冥福을 누리시며 저희들의 앞길을 보살펴 주시옵소서.
世俗에 따라 國禮를 遵守케 되어 大祥까지 魂靈을 모시지 못하여 罪悚합니다.
조촐한 祭需로 어머님의 冥福을 祈願하오니
歆饗(흠향)하시고 永生極樂하시옵소서.
◎ 禫祭 祝文 <담제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 일월불거 엄급담제 숙흥야처 애모불령
顯考 某官府君 日月不居 奄及禫祭 夙興夜處 哀慕不寧
근이 청작 서수 애천 담사 상
謹以 淸酌 庶羞 哀薦 禫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이 돌아가시고 어언 담제가 되었습니다. 밤낮으로 사모하는 마음 금할 길 없어 한시도 편할 날이 없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담제 축문(어느 집안의 한글 식 축문)
오늘 ○月 ○日 어머님 生辰日을 맞아 不孝子 ○○와 同生 ○○와 ○○가 어머님 靈前에 告합니다.
아직도 어머님의 자상한 손길과 體溫이 집안 곳곳에 남아 있는 듯 한 데 幽明을 달리 하신지 1年 하고도 ○個月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어머님이 保佑하여 주신 陰德으로 ㅇㅇ도 大學에 合格하였고 ○○는 회사에 취직을 하였으며 다른 孫子들도 健康하게 잘 있습니다.
앞으로 繼續하여 보살펴 주시옵기 바라오며 簡略한 酒果로 담祭를 奉行하오니 歆饗하시옵소서.
◎ 忌日 祭祀 祝文 <기일 제사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비) 모관부군(모봉 모씨)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顯考(妣) 某官府君(某封 某氏)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근이 청작 서수 공신 전헌 상
謹以 淸酌 庶羞 恭伸 奠獻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바뀌어 아버님(어머님)께서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지난날의 감회가 깊어 하늘같은 크고 넓은 은혜 잊을 길이 없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강림하시와
흠향하시옵소서.
★ 참고: 諱日復臨을 아랫사람에게는 亡日復至(망일복지)라 쓴다.
昊天罔極을 조부모 이상에는 不勝永慕(불승영모),
아내에게는 不自勝感(불자승감), 방계친족과 기타에는
不勝感愴(불승감창)이라고 쓴다.
謹以를 아내나 아랫사람에게는 玆以로 쓴다.
恭伸奠獻을 아내나 아랫사람에게는 伸此奠儀(신차전의)라 쓴다.
◎ 合祀 祝文(1) <합사 축문-1>
(어머님 제사를 아버님 제삿날에 함께 모시고자 할 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봉 모씨 세서천역 모관부군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顯考 某封 某氏 歲序遷易 某官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근이 청작 서수 공신 전헌 상
謹以 淸酌 庶羞 恭伸 奠獻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바뀌어 어머님 돌아가신 날을 마지하와 아버님의 돌아가신 날에 함께 제사를 모시고자 생각하니 하늘과 같은 은혜 그지없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강림하시와
흠향하시옵소서.
◎ 合祭祝文(2) <합제축문-2>
(모친 제사를 부친 제사 날에 합제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비 모봉 모씨 세서천역 미황제례 금위 일월선고 휘일 병위합제 복유 존령 顯妣 某封 某氏 歲序遷易 未遑祭禮 今爲 日月先考 諱日 倂位合祭 伏惟 尊靈
미세시령 근이 용신 건고 근 고
未世是寧 謹以 用伸 虔告 謹 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바뀌어 어머님께서 돌아가신 날이 돌아와도 겨를을 내지 못함에 아버지 제삿날에 함께 합제로 모시고자 하오니 존령께서는 굽어 살펴 주시옵기 삼가 고하나이다.
◎ 合祀 祝文(3) <합사 축문-3>
(아버님 제사를 어머님 제삿날에 함께 모시고자 할 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 세서천역 모봉 모씨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顯考 某官府君 歲序遷易 某封 某氏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근이 청작 서수 공신 전헌 상
謹以 淸酌 庶羞 恭伸 奠獻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바뀌어 아버님 돌아가신 날을 마지하와 어머님의 돌아가신 날에 함께 제사를 모시고자 생각하니 하늘과 같은 은혜 그지없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강림하시와
흠향하시옵소서.
◎ 合祭祝文(4) <합제축문-4> (광령2리 노인회 가정의례참조)
(아버님 제사를 어머님 제사 날에 합제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 부군 세서천역 미황제례 금위 일월선비 휘일 병위합제 복유 존령 顯考 某官 府君 歲序遷易 未遑祭禮 今爲 日月先妣 諱日 倂位合祭 伏惟 尊靈
미세시령 근이 용신 건고 근 고
未世是寧 謹以 用伸 虔告 謹 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바뀌어 아버님께서 돌아가신 날이 돌아와도 겨를을 내지 못함에 어머님 제삿날에 함께 합제로 모시고자 하오니 존령께서는 굽어 살펴 주시옵기 삼가 고하나이다.
◎ 祭祀薦奉告辭祝文<제사천봉고사축문>
(제사 모실 자손이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孫 姓名 敢昭告于
현조고모관부군
顯祖考某官府君
현조비 모봉 모씨 신위 선서이필 추원무급 준례당천봉우 금장개제 근이
顯祖妣 某封 某氏 神位 先序已畢 追遠無及 遵禮當遷奉于 今將改題 謹以
용신 건고 근 고
用伸 虔告 謹 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세손 또는 아들 ○○가 감히 고하나이다.
할아버지 또는 할머님(아버지 또는 어머니)께서 돌아가신 날이 되면 제사를 모시는 것은 위에서 이미 마쳤으므로 앞으로는 예의에 따라 저의 집으로 옮겨 모시고자 삼가 고하나이다.
◎ 祭祀遞薦告辭祝文<제사체천고사축문>(전서공파 숭조편람 참조)
(봉사하는 집에서 옮겨 전해줄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삭 ○일 간지 ○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孫 姓名 敢昭告于
현조고모관부군
顯祖考某官府君
현조비모봉모씨 신위 복이 진청부득 사세장당체천우 ○세손지가 근이 용신
顯祖妣某封某氏 神位 伏以 進請不得 事勢將當遞遷于 ○世孫 之家 謹以 用伸
건고 근 고
虔告 謹 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세손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바뀌어 할아버님(할머님)께서 돌아가신 날이 돌아와 없드려 청하옵니다. 사세부득이 앞으로는 ○세손 ○○의 집에서 제사를 모시고자 삼가 고하나이다.
◎ 墓祭時 土地 祝文 <묘제시 토지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공수세사우 모관부군지묘 (모봉 모씨지묘) 유시보우 실뢰
土地之神 恭修歲事于 某官府君之墓 (某封 某氏之墓) 維時保佑 實賴
신휴감이 주찬 경신 전헌 상
神休敢以 酒饌 敬伸 奠獻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대할아버지(할머니)의 묘소를 신께서 보우하사 그 신의 덕택을
입어 편안하였나이다. 삼가 술과 안주를 마련하여 공경하는 전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墓祭時 祝文 <묘제시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세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世孫 姓名 敢昭告于
현ㅇ대조고(비) 모관부군(모봉 모씨) 기서유역 우로기유 첨소봉영
顯ㅇ代祖考(妣) 某官府君(某封 某氏) 氣序流易 雨露旣濡 瞻掃封塋
불승감모 근이 청작 서수 지천 세사 상
不勝感慕 謹以 淸酌 庶羞 祗薦 歲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세손 ○○는 감히 고하나이다.
계절이 바뀌어 비 내리고 이슬내리는 계절이 되었습니다.
○대 할아버지(할머니)의 산소를 찾아뵈니 추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겠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제사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참고: 세사(歲事)에는 세율기경(歲律旣更), 寒食에는 우로기유(雨露旣濡), 秋夕에는 백로기강(白露旣降)이라고 쓴다.
雨天으로 인하여 집에서 제를 모시게 될 때에는 雨露旣濡를 日氣不順으로, 瞻掃封塋을 雨天室堂이라고 쓴다.
◎ 立石後 土地 祝文<입석 후 토지축문>」(비석을 세운 다음 토지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복이 모관부군(모봉 모씨)지묘 의물미구 금장비석
土地之神 伏以 某官府君(某封 某氏)之墓 儀物未具 今將碑石
용위묘도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주과)지천우 신 상
用衛墓道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酒果)祗薦于 神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공의 묘에 비석 등의 석물을 마련하여 호위케 하였아옵
니다.
신께서 보호하고 도와 주셔서 뒤에 어려운 일이 없도록 보살펴 주시옵소서.
삼가 주과를 올려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立石時 告墓 祝文 <입석시 고묘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孫 姓名 敢昭告于
현조고(조비) 모관부군(모봉 모씨) 복이 재력불채 의물구궐 금지유년
顯祖考(祖妣) 某官府君(某封 某氏) 伏以 財力不逮 儀物久闕 今至有年
금기 비석건립 위모신도 복유
今其 碑石建立 衛慕神道 伏惟
존령 시빙 시안
尊靈 是憑 是安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손자 ○○는 감히 고하나이다.
할아버지의 산소에 그동안 儀物을 마련치 못 하던바 비로소 비석 등의 석물을 마련하여 호위케 하였아옵니다.
존령께서는 平安하시기를 엎드려 비옵니다.
◎ 移墓時 舊墓 土地 祝文 <이묘시 구묘 토지 축문>
(이묘할 때 구묘의 토지지신에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관부군(모봉 모씨) 복택자지 공유타환 장개폄 천
土地之神 今爲 某官府君(某封 某氏) 卜宅玆地 恐有他患 將改窆 遷
우 타소 근이 청작 포혜지천우 신 상
于 他所 謹以 淸酌 脯醯祗薦于 神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여기 ○○공 무덤의 지세가 불리하여 다른 장소로 옮겨 가고자 하
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포혜를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移墓時 告墓 祝文 <이묘시 고묘 축문>-破墓祝(파묘축)이라고도 함-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세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ㅇ世孫 姓名 敢昭告于
현대조고 모관부군 장우자지 세월자구 체백불령 금장개장 복유
顯代祖考 某官府君 葬于玆地 歲月滋久 體魄不寧 今將改葬 伏惟
존령 불진 불경
尊靈 不震 不驚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세손 ○○는 감히 고하나이다.
ㅇ대 할아버지를 이곳에 모신지 세월이 오래되어 육신과 혼백이
편안치 못할까 염려되옵니다. 이에 다른 장소로 모시고자 하오니
혼령께서는 놀라지 마시옵기를 엎드려 비옵니다.
◎ 移墓後 土地 祝文 <이묘후 토지 축문>
(이묘한 다음 토지지신에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관 부군 건자택조 신기보우 비무후간
土地之神 今爲 某官 府君 建玆宅兆 神其保佑 俾無後艱
근이 청작 포혜지천우 신 상
謹以 淸酌 脯醯祗薦于 神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할아버지의 유택을 새로 마련하였아옵니다.
신께서는 보호하고 도우셔서 뒤에 아무 어려움이 없도록 보살펴 주시옵소서.
◎ 移墓後 奠墓 祝文 <이묘후 전묘 축문>
(이묘한 다음 묘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孫 姓名 敢昭告于
현조고(조비) 모관부군(모봉 모씨) 지묘 신개 유택사필 봉영 복유
顯祖考(祖妣) 某官府君(某封 某氏) 之墓 新改 幽宅事畢 封塋 伏惟
존영 영안 체백
尊靈 永安 體魄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손자 ○○는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할아버지의 새로운 유택을 마련하고 엎드려 비옵나이다.
존령께서는 영원히 평안하시옵소서.
◎ 墓 改莎草 前 土地 祝文 <묘 개사초 전 토지 축문>
(묘를 손보기 전에 토지지신에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복이 모관 부군 총택붕퇴 장가수치 신기보우 비무후간
土地之神 伏以 某官 府君 塚宅崩頹 將加修治 神其保佑 俾無後艱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는 토지의 신에게 감히 고하나이다.
○○공의 무덤이 허물어지고 퇴락하여 보수하고자 하나이다.
신께서 보호하고 도와주시어 후에 어려운 일이 없도록 보살펴
주시옵소서. 삼가 주과를 올려 제사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墓 改莎草 前 告墓 祝文 <묘 개사초 전 고묘 축문>
(묘를 손보기 전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지묘 봉축불근 세구퇴비 장가수위 복유
顯考 某官府君之墓 封築不謹 歲久頹 將加修葦 伏惟
존령 물진 물경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尊靈 勿震 勿驚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오래되어 풀도 없어지고 흙도 무너져서 이제 봉분을 더하
고 떼를 다시 입히겠사오니 존영은 진동치 마시고 놀라지 마시옵소서.
삼가 주과를 올려 경건히 고하나이다.
◎ 墓 改莎草 後 慰安 祝文<묘 개사초 후 위안축문>
(묘를 손 본 다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비) 모관부군(모봉 모씨)지묘 기봉 개사 구택유신 복유
顯考(妣) 某官府君(某封 某氏)之墓 旣封 旣莎 舊宅維新 伏惟
존령 영세 시령 근이 주과 용신건고 근고
尊靈 永世 是寧 謹以 酒果 用伸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이미 봉분이 되었고 잔디를 입혔으니 옛집이 새로이 되었습니다.
존영은 영세토록 평안히 계시옵소서. 삼가 주과를 올려 경건히 고하나이다.
◎ 移葬 雙墳時 土地 祝文 <이장 쌍분 시 토지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봉 모씨지묘 개장우 모관모공○○지묘 좌부우
土地之神 今爲 某封 某氏之墓 改葬于 某官某公○○之墓 左祔于
쌍분지제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 서수 (주과) 지천우 신 상
雙墳之制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 庶羞 (酒果) 祗薦于 神 尙
향
饗
◎ 移葬 雙墳時 先塋 告辭 祝文 <이장 쌍분 시 선영 고사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삭 ○일 간지 ○ 세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 世孫 姓名 敢昭告于
현○대조고 모관부군지묘
顯○代祖考 某官府君之墓
현○대조비 모봉모씨지묘 금위 ○세손○○ 장개장우 차지 어선조하
顯○代祖妣 某封某氏之墓 今爲 ○世孫○○ 將改葬于 此地 於先兆下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 移葬 雙墳時 先葬位 告墓 祝文 <이장 쌍분시 선장위 고묘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삭 ○일 간지 ○ 세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 世孫 姓名 敢昭告于
현○대조고 모관부군지묘 금위 부인모봉모씨 예당합부 시류풍조
顯○代祖考 某官府君之墓 今爲 夫人某封某氏 禮堂合祔 時流風潮
장용쌍분지제 불승영모 근이 서수 (주과) 용신 건고 근고
將用雙墳之制 不勝永慕 謹以 庶羞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금번
할머니 누구를 합장함이 예의이오나 시속에 다라 따로 상분으로 모시고자 하오니 영원히 사모하는 마음 금할 길 없나이다. 삼가 술과 과일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合窆 成墳 後 土地 祝文 <합폄 성분 후 토지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봉 모씨 합폄우 모관모공○○지묘 좌부
土地之神 今爲 某封 某氏 合窆于 某官某公○○之墓 左祔
사필봉영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 주과 지천우 신 상
事畢封瑩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 酒果 祗薦于 神 尙
향
饗
◎ 合窆成墳 後 告墓(慰安) 祝文 <합폄 성분 후 고묘-위안-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삭 ○일 간지 고애자 ○○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孤哀子 ○○ 敢昭告于
현비 모봉 모씨 합폄우 선고 모관부군지묘 부좌 사필봉영 영안체백
顯妣 某封 某氏 合窆于 先考 某官府君之墓 祔左 事畢封瑩 永安體魄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 新葬 雙墳 成墳 後 土神祭 祝文 <신장 쌍분 성분 후 토신제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봉 모씨 폄자유택 모관모공○○지묘 좌부우
土地之神 今爲 某封 某氏 窆玆幽宅 某官某公○○之墓 左祔于
쌍분례필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 서수지천우 신 상
雙墳禮畢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 庶羞祗薦于 神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금번 모봉모씨 무덤을 여기에 모관모공 ○○의 모 왼편에 쌍분으로 모셨나이다.
신께서 보살펴 도와주시고 후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주시기 바라며 삼가 술과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合葬時 土地 祝文 <합장하고 난 뒤 산신에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관모관모공 영건택조어 유인 모봉 모씨 봉내지좌
土地之神 今爲 某官某貫某公 營建宅兆於 孺人 某封 某氏 封內之左
신기보우 영무후간 근이 청작 포과(주과) 용신 건고
神其保佑 永無後艱 謹以 淸酌 脯果(酒果) 用伸 虔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금번 유인 모봉모씨의 무덤을 모관모공의 왼편에 마련하고자 하오니
신령께서는 이를 도우시어 길이 후환이 없도록 하여주시옵기 삼가 술과 음식 을 드리옵고 경건히 고하옵니다.
◎ 合葬 舊墓 告辭 祝文<합장 구묘 고사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 모관부군 금이 선비모봉모씨 장어 모월모일 행 합장지례 불승감통
顯考 某官府君 今以 先妣某封某氏 將於 某月某日 行 合葬之禮 不勝堪痛
근이 청작포과 (주과) 용신 건고 근고
謹以 淸酌脯果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아버님 전에 고하나이다.
이제 어머님 모씨를 오는 모월 모일에 합장하고자 하옵니다. 비통함을 감당하지 못하면서 삼가 맑은 굴과 포과를 갖추어 경건히 고하옵니다.
◎ 祀甲 祝文<사갑 축문>(돌아가신 분의 회갑 일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모관부군 세서천역 요급회갑 생당유경 몰령감망 호천망극 근이
顯考某官府君 歲序遷易 遼及回甲 生當有慶 歿靈敢忘 昊天罔極 謹以
청작 서수 식차전헌 상
淸酌 庶羞 式此奠獻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
아버님(어머님)의 환갑날이 돌아 왔 아옵나이다.
살아 계시오면 얼마나 경사였겠나이까, 생각할수록 죄스럽기 짝이
없나이다. 이에 삼가 술과 제수를 펴놓고 사갑제를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生辰祭 祝文<생신제 축문> (돌아가신 부모님의 생신일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고모관부군 생기유경 몰령감망 추감세시 불승창모 호천망극 근이
顯考某官府君 生旣有慶 歿靈敢忘 追感歲時 不勝愴慕 昊天罔極 謹以
청작 서수 지천세사 상
淸酌 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아들 ○○는 감히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
아버님(어머님)의 생신일이 돌아 왔 아옵나이다.
살아 계시오면 얼마나 경사 였겠나이까! 생각할수록 죄스럽기 짝이
없나이다. 이에 삼가 술과 제수를 펴놓고 생신 제를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止祭 祝文 <지제 축문> (지제 할 때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지제손 일동 ( ○세손 성명)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止祭孫 一同 ( ○世孫 姓名)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증조고 모관 부군
顯曾祖考 某官 府君
현증조비 모봉 모씨 복이 선왕제례 추원유한 금유지제 심수무궁
顯曾祖妣 某封 某氏 伏以 先王制禮 追遠有限 今維止祭 心雖無窮
불승감창 근이 청작 서수 백배 고사 상
不勝感愴 謹以 淸酌 庶羞 百拜 告辭 尙
향
饗
해설: 유세차 간지 년 ○월 ○일 ○세손 ○○(지제손 일동)가 감히 고하나이다.
선왕의 제정한 예법에 따라 증조할아버님과 증조할머님의 제사를 섬김은 한이 있어서 오늘로써 지제를 하옵니다.
조상을 사모하는 마음 무궁하오나 맑은 술과 제수를 올리고 백번 절하고 고하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死婚 祝文 <사혼 축문> (아들의 묘소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삭 ○일 간지 부,모(혹은 형,제) 성명 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 干支 父,母(或은 兄,弟) 姓名 告于
망자 ○○ 지묘 오호 명운불길요서 금세신속 사후혼인 모택 망녀
亡子 ○○ 之墓 嗚呼 命運不吉夭逝 今世新俗 死後婚姻 某宅 亡女
구위배필 자당기제 공구양위 상인상응 해기유원 자이청작서수
求爲配匹 玆當忌祭 共具兩位 相引相應 解其幽寃 玆以淸酌庶羞
진차 우사 상
陳此 虞事 尙
향
饗
◎ 死婚 祝文 <사혼 축문> (딸의 묘소에 고하는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부,모(혹은 형,제) 성명 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父,母(或은 兄,弟) 姓名 告于
망녀 ○○ 지묘 오호 명운불길요서 금세신속 사후혼인 모택 망자
亡女 ○○ 之墓 嗚呼 命運不吉夭逝 今世新俗 死後婚姻 某宅 亡子
이여위배 혼궐택기 공구양위 상인상응 해기유원 자이청작서수
以汝爲配 魂厥宅其 共具兩位 相引相應 解其幽寃 玆以淸酌庶羞
진차 우사 상
陳此 虞事 尙
향
饗
◎ 訓長 帖(체)紙를 받고 先亡한 婦人의 墓에 告하기 앞서 告하는 土地 祝文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 모봉 본관 모씨 부군 훈장 봉위 배위 수갱 의인 봉위
土地之神 今爲 某封 本貫 某氏 夫君 訓長 封位 配位 隨更 宜人 封位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 서수 지천우 신 상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 庶羞 祗薦于 神 尙
향
饗
◎ 訓長 帖(체)紙를 받고 先亡한 婦人의 墓에 告하는 祝文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효자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孝子 姓名 敢昭告于
현비 모봉 본관 모씨 복이 년 월 일자 부군 훈장 봉위 배위 顯비 某封 本貫 某氏 伏以 年 月 日字 夫君 訓長 封位 配位 수봉 어당지예자 금이후위 비갱정 의인 봉위 물의물진 수차상응
隨封 於當之禮自 今以後位 俾更正 宜人 封位 勿疑勿震 隨此相應
영세시령 근이주과 용신건고근고
永世是寧 謹以酒果 用伸虔告謹告
◎ 建築 新築時 土地 祝文<건축 신축시 토지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복이 ○ ○ ○ 복택자지 영건양택 복원 입주상량지후
土地之神 伏以 ○ ○ ○ 卜擇玆地 營建陽宅 伏願 立柱上樑之後
신기보우 백복감진 천상필지 천재만액 일시소멸 영세태평 안과대길 神其保佑 百福咸臻 千祥畢至 千災萬厄 一時消滅 永世太平 安過大吉
근이 청작 포혜 지천우 신 상
謹以 淸酌 脯醯 祗薦于 神 尙
향
饗
★ 준비물: 5果 4飯 3肉 3菜 2弊 2牲 1酒,
5果: 비자, 대추, 댕유자, 곶감, 밤
4飯: 찹쌀, 멥쌀, 흐린 좁쌀, 모인좁쌀
3肉: 조기, 명태, 생선(비늘을 거스리지 아니한 것)
3菜: 미나리 도라지, 무우
2弊: 백지1권, 붉은 명주 3자3치(베 또는 광목)
2牲: (翔走)닭 1머리, 돼지머리(모두 날것)
1酒: 생감 주
◎ 建築 借運 新築時 土地 祝文 <건축 차운 신축시 토지 축문>
유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유학 성명 감소고우
維歲次 干支 幾月 干支 朔 幾日 干支 幼學 姓名 敢昭告于
토지지신 복이 택주 모관 성명 자기연운 금고미당 성명 운구지 차득
土地之神 伏以 宅主 某官 姓名 自己年運 今姑未當 姓名 運求之 借得
장이길일 영건양택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생폐 예제자성
將苡吉日 營建陽宅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牲弊 醴齊 盛
서뭄 식진 명천 상
庶品 式陳 明薦 尙
향
饗
◎ 銘旌 (명정)
某官 本貫 某(姓)公(氏) 名之柩
例: 中等校長 濟州髙公 (ㅇㅇ)之柩, (移墓할 때에는 之骸)
◎ 축문쓰기에 참고할 사항
○ 漢字로 祝文을 쓸 境遇에는 세로로 쓴다.
○ 告祀者稱寸: 告祀 지내는 子孫의 寸稱이다.
初喪을 당하고 卒哭 前에는 父喪에는 孤子, 母喪에는 哀子,
父母가 모두 具沒時에는 孤哀子라 쓰며 卒哭 이후에는 孝子라 쓴다.
○ 告祀者姓名: 山所에서 土地神에게 告祀 지낼 경우 直接 祭主가 아니고
다른 사람이 지낼 경우에는 그 사람의 이름을 쓰고, 직접
祭主가 祭位에게 告祀 지낼 경우에는 祭主의 이름을 쓴다.
○ 敢昭告于: 妻에는 昭告于라 쓰고, 弟 以下에게는 告于라 쓴다.
○ 顯 : 높이 받드는 문자이니 높이 쓴다.
○ 祭 位: 祭祀를 받으실 當者인데 奉祀者와의 寸數에 의하여 쓴다.
아버지는 顯考, 어머니는 顯妣, 男便은 顯辟, 妻는 亡室이라
쓴다.
○ 某 官: 남자의 경우 관직 이름이나 학위가 있는 사람은 그 관명이나
학위를 쓰고 없으면 居士또는 處士 (또는 學生)이라고 쓴다.
○ 某 公: 남자의 경우 다른 사람이 말할 때는 本貫과 姓 公이라 쓰고
자손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에는 府君(조상에 대한 존칭)이라 쓰며 연소자에게는 이를 쓰지 아니한다.
○ 某 封: 남편이 관직에 오르면 그의 처도 관명을 얻어 호칭하며 그것이 없으 면 孺人이라 쓴다.(남편이 중등교장이면 교장부인이라고 쓴다.)
○ 某 氏: 여자의 경우에 本貫과 姓氏를 쓴다.
○ 昊天罔極: 祖父母 以上과 男便에게는 不勝感慕, 弟 以下에게는 不自勝感이라 쓴 다.
○ 哀慕不寧: 妻에게는 不自勝感, 兄에게는 情何悲痛, 弟에게는 情何可處,
子에게는 悲念相續이라고 쓴다.
○ 謹 以: 妻와 子 以下에는 玆以라고 쓴다.
○ 伏 惟: 妻와 弟 以下에게는 쓰지 아니한다.
○ 尊 靈: 妻와 弟 以下에게는 惟靈이라 쓴다.
○ 哀薦祗薦: 妻와 弟 以下에게는 陳此, 伯叔父母에게는 薦此라 쓴다.
○ 饗 : 높이 받드는 문자이니 줄을 바꾸어 한 글자 높여 쓴다.
<參考文獻>
『家庭儀禮解說』, 保健社會部 編著, 1972.
『宗門要覽』, 髙氏靈谷公派宗門會 編著, 1978.
『冠婚喪祭』, 金寬峰 監修, 泰西出版社, 1992.
『大韓民國現行法令集』, 第 38卷(社會福祉), 第 7章(家庭儀禮), 法制處編
『우리의 生活禮節』,, 傳禮硏究委員會 編著, 成均館, 1992.
『新家禮便覽』, 金秉彦 編著, 디딤돌, 1993.
『家庭儀禮』, 光令2里 老人會 編著, 1999.
『祝文作成便覽』金正俊編著, 新亞文化社, 2000
『崇祖便覽』, 髙氏典書公派宗門會 編著, 2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