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두(一蠧) 정여창(鄭汝昌)생년1450년(세종 32)몰년1504년(연산군 10)자백욱(伯勗)본관하동(河東)시호문헌(文獻)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29 4월, 李深源ㆍ南孝溫 등과 함께 昭陵에 대한 일로 任士洪 등의 탄핵을 받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31 성종이 성균관에 유지를 내려 ‘經學에 밝고 행실이 닦여진 선비’를 추천토록 하여, 이에 제일로 천거되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33 花開洞으로부터 南原 中方里로 尹孝孫을 방문하여 함께 「朱書」를 강론하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34 진사시에 합격하여 成均館에 입학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37 모친상을 당하여 3년 동안 廬墓하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39 蟾津江 어귀에 岳陽亭을 짓고 讀書, 講道하고 吟詠하며 생활하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40 4월, 金馹孫과 함께 頭流山을 유람하다. ○ 晉州의 姜渾을 방문하여 詩文을 논하고, 함께 密陽의 金宗直을 찾아 뵙고 가르침을 받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41 趙孝仝, 尹兢의 천거로 昭格署參奉에 제수되다. 소를 올려 사양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다. ○ 12월, 文科 別試에 합격하다. 김일손의 천거로 예문관 검열이 되다. ○ 侍講院 說書가 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45 安陰縣監이 되다. 便宜科條 數十條를 만들어 시행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49 6월, 김일손이 來訪하여 함께 靑溪精舍에 머물다. ○ 7월, 史禍에 연루되어 鍾城府에 유배되다.
연산군 10 1504 갑자 弘治 17 55 4월 1일, 謫所에서 卒하다. ○ 6월, 咸陽郡 昇安洞에 장사 지내다. ○ 9월, 다시 사화가 일어나 부관참시되다.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생년1431년(세종 13)몰년1492년(성종 23)자계온(季昷), 효관(孝盥)본관선산(善山)시호문충(文忠)
성종 1 1470 경인 成化 6 40 즉위 후 처음 개설한 經筵의 應選者 19인에 들다. ○ 6월, 藝文館修撰 知製敎가 되다. ○ 일본사신 藺上人을 전송하러 薺浦에 나가다. ○ 겨울, 모친 봉양을 위하여 咸陽郡守가 되다.
성종 3 1472 임진 成化 8 42 봄ㆍ가을로 鄕飮酒儀와 養老禮를 시행하다. ○ 8월, 〈遊頭流錄〉과 〈觀海樓記〉를 짓다. ○ 鄭汝昌ㆍ金宏弼이 와서 수학하다.
성종 5 1474 갑오 成化 10 44 茶種을 심어 供上하다. 〈茶園詩〉를 짓다.
성종 6 1475 을미 成化 11 45 十考를 받아 通訓大夫에 오르고, 承文院事가 되다. ○ 郡人이 生祠堂을 세우다. ○ 〈申文忠公文集序〉를 짓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46 7월, 모친 봉양을 위하여 善山府使가 되다. ○ 〈尹先生祥詩集序〉를 짓다.
성종 8 1477 정유 成化 13 47 5월, 金宏弼ㆍ李承彥ㆍ元槩 등이 문하에서 問辨하다. ○ 8월, 〈松都錄〉의 跋을 짓다. ○ 9월, 「善山地圖誌」를 찬하다. 〈皇華集跋〉ㆍ〈周禮跋〉ㆍ〈詩傳跋〉을 짓다.
성종 10 1479 기해 成化 15 49 12월, 모친상을 당하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50 「彝尊錄」을 再撰하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51 楊浚ㆍ楊沈ㆍ洪裕孫이 와서 수학하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52 2월, 상을 마치다. 金驥孫ㆍ金馹孫이 와서 수학하다. ○ 3월, 金陵舊居로 돌아오다. ○ 弘文館應敎 知製敎 兼經筵侍講官 春秋館編修官이 되다. ○ 4월, 藝文館直提學 知製敎 經筵ㆍ春秋館記注官이 되다. ○ 4월, 부인상을 당하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53 承政院 同副承旨가 되다. 곧이어 右副承旨가 되다. ○ 7월, 〈貞熹王后哀冊文〉을 제진하다.
성종 15 1484 갑진 成化 20 54 좌부승지가 되다. 왕명으로 〈內班院記〉와 〈環翠亭記〉를 짓다. ○ 8월, 承政院都承旨 藝文館提學 尙瑞院正이 되다. ○ 10월, 이조참판 兼同知經筵 成均館事가 되다. ○ 12월, 병으로 체직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55 1월, 다시 이조참판이 되다. ○ 南平 文氏와 재혼하다. ○ 왕명으로 成俔ㆍ蔡壽 등과 「東國輿地勝覽」을 修正하다가 한발로 인해 중지되다. ○ 여름, 병으로 사직하고 밀양으로 돌아오다. ○ 9월, 僉知中樞府事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다. ○ 10월, 弘文館提學이 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56 3월, 예문관제학이 되다. 왕명으로 다시 「東國輿地勝覽」을 수찬하다. ○ 7월, 「東國輿地勝覽」을 완성하고 跋을 짓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57 경기도관찰사 겸개성유수에 제수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려 체직되다. ○ 5월, 전라도관찰사 겸순찰사 전주부윤이 되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58 5월, 체직할 것을 상소하여 병조참판이 되다. ○ 10월, 漢城府左尹이 되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59 1월, 공조참판이 되다. ○ 3월, 형조판서가 되다. ○ 8월, 병으로 사직하여 지중추부사가 되다. 東萊溫井에 沐浴갈 것을 청하여 密陽 田里로 돌아가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60 왕이 淸貧함을 듣고 米 70석을 하사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61 노비와 전답을 하사받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62 7월 19일, 졸하다. 왕이 吊祭致賻하다. ○ 密陽府 無量院에 묻히다.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생년1435년(세종 17)몰년1493년(성종 24)자열경(悅卿)호동봉(東峯), 청한자(淸寒子)본관강릉(江陵)법명설잠(雪岑)시호청간(淸簡)
세조 1 1455 을해 景泰 6 21 三角山 重興寺에서 독서하던 중 단종이 遜位한 사실을 알고 서책을 태우고 승려가 되다. 法名을 雪岑이라고 하다.
~ ~ ~ ~ ~ ~ ~ 水落山(水落精舍)ㆍ金鰲山 등지에서 修道하다.
세조 4 1458 무인 天順 2 24 〈遊關西錄〉을 짓다.
세조 6 1460 경진 天順 4 26 〈遊關東錄〉을 짓다.
세조 9 1463 계미 天順 7 29 〈遊湖南錄〉을 짓다.
~ ~ ~ ~ ~ ~ ~ 孝寧大君의 권고로 세조의 불경언해 사업을 도와 內佛堂에서 교정의 일을 맡다.
세조 11 1465 을유 成化 1 31 慶州 남산에 金鰲山室을 짓고 독서하다. 茸長寺 梅月堂書齋에서 「金鰲新話」를 짓다.
세조 13 1467 정해 成化 3 33 효령대군의 청으로 圓覺寺 낙성식에 참석하다.
세조 14 1468 무자 成化 4 35 금오산에서 〈山居百詠〉을 짓다.
~ ~ ~ ~ ~ ~ ~ 仙槎縣(蔚珍) 酒泉臺 옆에 우거하다. 근처 聖留窟에 머물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47 還俗하여 祖父의 祭祀를 지내다.
~ ~ ~ ~ ~ ~ ~ 安氏와 결혼하다. ○ 부인상을 당하고 다시 산에 들어가 중이 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51 〈禿山院記〉를 짓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56 9월, 重興寺에 머물던 중 金馹孫ㆍ南孝溫의 방문을 받고, 함께 白雲臺ㆍ도봉산을 유람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57 雪岳山에 들어가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59 2월, 鴻山縣 無量寺에서 졸하다.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생년1454년(단종 2)몰년1492년(성종 23)자백공(伯恭)호추강거사(秋江居士), 행우(杏雨)본관의령(宜寧)시호문청(文淸)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25 4월, 상이 재앙 때문에 求言하자 幼學으로서 ‘昭陵(단종의 어머니인 顯德王后)復位’를 포함한 8事를 올리다. 〈上成宗大王書〉 그러나 任士洪과 鄭昌孫의 반대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당시 사람들도 ‘狂生’이라 지목하자, 이때부터 세상에 뜻을 끊고 躬耕과 流浪의 생활을 하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27 모친의 명으로 進士科에 응시하여 합격하다. 이후 昭陵이 復位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28 2월, 오언고시 〈酒箴〉을 짓다.
성종 15 1484 갑진 成化 20 31 幸州에서 농사지으며 여가에 南浦에서 고기 잡다. ○ 여름, 1482년 가을부터 쓰기 시작한 〈鬼神論〉을 완성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32 4월, 금강산을 유람하다.〈遊金剛山記〉 ○ 9월, 개경을 유람하다.〈松都錄〉 ○ 〈睡鄕記〉와 〈性論〉을 짓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34 9월, 지리산을 유람하다.〈遊天王峯記〉, 〈智異山日課〉 ○ 해운대를 유람하다.〈遊海雲臺序〉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36 8월, 關西 祥原郡의 佳殊窟을 유람하다.〈遊佳殊窟記〉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38 湖南地方을 유람하다. ○ 礪山에서 〈鑑亭記〉, 潭陽에서 〈潭陽鄕校寶上記〉, 長興에서 〈釣臺記〉를 짓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39 졸하다. ○ 高陽 大壯里에 장사 지내다.
*망헌(忘軒) 이주(李胄)생년미상몰년1504년(연산군 10)자주지(胄之)본관고성(固城)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宗廟署令이 되고 徐居正의 추천으로 湖堂에 選入되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 예문관검열이 되다. ○ 史官이 땅에 엎드려 記事하던 舊例의 불가함을 간하여, 앉아서 記事하는 規例가 정해지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 부친상을 당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 삼년상을 마치고 藝文館奉敎가 되다. ○ 겨울, 伯兄 李胤과 三山을 유람하다.〈三山踏雪錄〉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 휴가를 얻어 還鄕하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 1월, 차자를 올려 永思殿에서 佛齋지내는 것을 반대하다. ○ 8월, 사간원 정언이 되고 명 나라에 사신으로 가다. 通州를 지나면서 지은 〈通州〉詩가 中國士人들에게 膾炙傳誦되고 ‘暮歸遼先生’으로 일컬어지다. ○ 9월, 귀국하다. 盧思愼이 勳臣이기 때문에 罪를 줄 수 없다는 傳敎에 대해, 勳臣도 잘못이 있으면 저자에서 처형해야 한다고 간쟁하다. ○ 11월, 佛齋가 중지되지 않자 辭職疏를 올려 사직하다. ○ 12월, 사간원 헌납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다. 이때부터 벼슬에는 뜻이 없고 經史에 留心하거나 山水에 마음을 붙이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 12월, 申用漑ㆍ李穆ㆍ崔淑生 등과 賜暇讀書하다.
연산군 3 1497 정사 弘治 10 - 가을, 鄭汝昌ㆍ金宏弼 등과 금강산을 유람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 5월, 正言으로 있을 때 ‘성종은 우리 임금이다’고 말한 것 때문에 대사헌 姜龜孫의 탄핵을 받다. ○ 7월, 金宗直의 문인으로 연루되어, 국문을 받고 珍島에 付處되다.
연산군 8 1502 임술 弘治 15 - 봄, 謫所에서 南孝溫의 방문을 받다. ○ 10월, 珍島의 金骨山에서 23일간 머물다.〈金骨山錄〉
연산군 10 1504 갑자 弘治 17 - 4월, 濟州로 移配되다. ○ 5월 22일, 尹氏의 廢死에 관련되어 百官이 도열한 가운데 軍器寺 앞에서 梟首傳屍되다. ○ 10월, 父는 부관참시되고 子女는 모두 定役되다. 이어 아들은 亂臣律로써 논죄되다.
*매계(梅溪) 조위(曺偉)생년1454년(단종 2)몰년1503년(연산군 9)자대허(大虛)본관창녕(昌寧)시호문장(文莊)
세조 9 1463 계미 天順 7 10 가을, 매형 점필재 金宗直에게 수학하다.
세조 10 1464 갑신 天順 8 11 가을, 상경하여 從父兄 忠簡公 曺錫文의 집에 유숙하며 修學하다.
세조 13 1467 정해 成化 3 14 10월, 蔚珍縣令으로 부임한 부친을 따라 내려가다.
성종 1 1470 경인 成化 6 17 3월, 江陵에서 독서하다. ○ 8월, 서울로 돌아오다.
성종 2 1471 신묘 成化 7 18 8월, 生員ㆍ進士試의 初試 三場에 모두 1등으로 합격하다.
성종 3 1472 임진 成化 8 19 1월, 司馬覆試 兩場에 합격하다. ○ 8월, 金宗直ㆍ兪好仁과 함께 頭流山을 유람하다.
성종 4 1473 계사 成化 9 20 성균관에서 수학하며 館試에 합격하다.
성종 5 1474 갑오 成化 10 21 봄, 式年文科 丙科에 합격하여, 承文正字가 되다. ○ 겨울, 申氏와 결혼하다. ○ 예문검열이 되다.
성종 6 1475 을미 成化 11 22 1월, 金山에 歸覲하다. ○ 祖母喪을 당하다. ○ 3월, 상경하다. ○ 10월, 翰林宴에서 견책받고 金山에 내려가다. ○ 12월, 庶弟 曺伸과 함께 金山 能如寺에서 독서하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23 6월, 蔡壽ㆍ權健ㆍ許琛ㆍ兪好仁ㆍ楊熙止와 함께 藏義寺에서 賜暇讀書하다.
성종 8 1477 정유 成化 13 24 1월, 弘文正字가 되다. 왕명으로 〈讀書堂記〉를 지어 올리다. ○ 봄, 諸友와 함께 송도를 유람하며 唱酬하다. 〈松都錄〉을 남기다. ○ 8월, 忠簡公의 喪을 당하다.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25 3월, 弘文著作이 되다. ○ 7월, 博士가 되다. 忠簡公의 行狀을 짓고 神道碑를 세우다.
성종 10 1479 기해 成化 15 26 5월, 副修撰이 되다. ○ 9월, 永安道敬差官으로 나가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27 8월, 曝曬官으로서 星州에 가다. 도중에 密陽에 들러 김종직을 방문하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28 3월, 遠接使 姜希孟의 從事官이 되다. ○ 8월, 伴送使 從事官으로 關西에 가서 邊邑의 農事를 覆審하다. ○ 12월, 왕명으로 柳允謙 등이 찬한 「杜詩諺解」의 序를 짓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29 7월, 持平이 되다. ○ 8월,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가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30 侍講院文學이 되다. ○ 10월, 從事官이 되어 중국 사신을 전송하다. 함께 온 文士 葛貴를 申從濩와 함께 접빈하다.
성종 15 1484 갑진 成化 20 31 4월, 孫昭致尊官이 되어 경주에 내려가다. ○ 5월, 應敎가 되다. ○ 8월, 부모 봉양을 위하여 咸陽郡守가 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32 〈歲杪詩〉를 製進한 것으로 米豆와 書冊을 하사받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36 2월, 부친상을 당하다. ○ 5월, 黃澗 馬巖山에 장사 지내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38 2월, 服을 마치다. ○ 5월, 의정부 檢詳에 제수되고 상경하여 사헌부 掌令을 거쳐 승정원 同副承旨가 되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39 3월, 蔡壽ㆍ權健 등과 함께 藏義寺를 유람하다. ○ 都承旨가 되다. ○ 가을, 김종직의 喪을 당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40 6월, 호조참판이 되다. 왕명으로 김종직의 詩文을 편집하다. ○ 8월, 正朝使에 제수되었으나 親老로써 사직하고 金山에 내려가다. ○ ‘梅溪堂’을 짓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41 忠淸監司가 되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42 4월, 漢城右尹이 되다. 곧 대사성이 되다. ○ 7월, 金山에 내려가다. ○ 8월, 全羅監司가 되다. ○ 10월, 모친상을 당하다. ○ 12월, 馬巖山에 장사 지내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45 2월, 同知中樞府事가 되다. ○ 4월, 聖節使가 되어 庶弟 曺伸과 함께 중국에 가다. ○ 9월, 還京하던 도중에 점필재의 문인이며 그의 詩文을 編纂한 연고로 義州에 유배되다.
연산군 5 1499 기미 弘治 12 46 여름, 적소에 ‘葵亭’을 짓고 記를 짓다.
연산군 6 1500 경신 弘治 13 47 5월, 順天府에 이배되다. ○ 이곳에 流配된 金宏弼과 함께 道義를 강론하다.
연산군 7 1501 신유 弘治 14 48 ‘臨淸臺’의 記를 짓다.
연산군 9 1503 계해 弘治 16 50 11월 26일, 적소에서 병으로 졸하다.
*崔溥 1454 1504 耽津 淵淵 錦南
금남선생집(錦南先生集) 최부(崔溥)생년1454년(단종 2)몰년1504년(연산군 10)자연연(淵淵)호금남(錦南)본관탐진(耽津)
단종 2 1454 갑술 景泰 5 1 羅州 曲江面 性智村에서 태어나다.
~ ~ ~ ~ ~ ~ ~ 海南縣으로 移居하다.
성종 1 1470 경인 成化 6 17 海南 鄭氏와 결혼하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23 가을, 進士初試에 합격하다.
성종 8 1477 정유 成化 13 24 進士會試에 합격하다.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25 성균관에 들어가 申從濩 등과 교분을 맺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27 6월, 儕友와 寒暄堂 金宏弼 집에 모여 情志交孚禊를 만들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29 10월, 謁聖試에 합격하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30 校書館著作ㆍ博士를 거쳐 軍資監主簿가 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32 成均館典籍으로 徐居正 등과 함께 「東國通鑑」을 찬수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33 1월, 사헌부 감찰을 거쳐 홍문관 부수찬이 되다. ○ 2월, 왕명으로 金宗直 등과 함께 「東國輿地勝覽」을 刪輯하다. ○ 9월, 수찬이 되다. ○ 10월, 殿策으로 重試 乙科에 합격하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34 1월, 홍문관부교리가 되다. ○ 점필재 및 제우들과 함께 龍山江을 유람하다. ○ 7월, 龍驤衛司果가 되었다가 곧 副司直이 되다. ○ 9월, 推刷敬差官으로 제주에 가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35 1월, 부친상을 당하다. ○ 윤정월, 奔喪 도중 풍랑을 만나 漂流, 10여 일 만에 중국 台州 臨海縣에 도착하다. ○ 6월, 귀환하다. 왕명으로 〈漂海錄〉을 지어 올리다. ○ 11월, 水車를 만들어 올리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36 11월, 모친상을 당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38 11월, 服을 마치고 持平에 제수되었으나 司諫院에서 署經하지 않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39 1월, 귀환한 즉시 父喪에 奔喪하지 않고 日記를 撰集한 데 대해 臺諫에서 논박하여 체직되다. ○ 7월, 점필재 訃告를 듣고 〈撫夷亭記〉를 짓다. ○ 서장관으로 중국에 가다. ○ 賜暇讀書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40 봄, 世子侍講院文學이 되다. ○ 4월, 홍문관 교리에 제수되었으나 臺諫의 논박으로 체직되다. ○ 5월, 承文校理가 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41 1월, 홍문교리가 되다. 겸하여 郞廳에서 貢案詳定을 맡아보다. ○ 8월, 副應敎 兼藝文應敎가 되다. ○ 휴가를 얻어 고향에 내려가다. ○ 연산군 즉위 후 〈大行廟號疏〉를 지어 올리다. ○ 왕명으로 南海 錦城山에 行香하러 가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42 봄, 生員會試 參考官이 되어 李長坤 등을 뽑다. ○ 「成宗實錄」 편수관이 되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43 5월, 湖西지방의 大旱 때 왕명으로 내려가 水車(龍骨車)의 制作을 가르쳐주다. ○ 8월, 弘文應敎가 되다. ○ 9월, 〈澄淸樓記〉(鴻山)를 짓다. 還京하다. ○ 11월, 通禮院相禮가 되다. ○ 12월, 司諫이 되다.
연산군 3 1497 정사 弘治 10 44 2월, 동료 6인과 함께 本院契軸을 짓다. 成宗을 太廟에 祔祭한 후 왕의 失政과 公卿大臣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리다. 이 때문에 相禮로 좌천되다. ○ 2월, 聖節使 質正官이 되어 중국에 가다. ○ 가을, 귀국하여 禮賓寺正이 되다. ○ 〈李莊襄公從生墓碑銘〉을 짓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45 7월, 사화가 일어나자 金宗直의 문인이며 「점필재집」을 家藏한 죄목으로 栲訊을 받고 端川에 杖流되다.
연산군 10 1504 갑자 弘治 17 51 10월 24일, 다시 拿捕되어 斬刑을 당하다. ○ 海南縣 牟木洞에 묻히다.
*남계(藍溪) 표연말(表沿沫)생년1449년(세종 31)몰년1498년(연산군 4)자소유(少游)호평석(平石)본관신창(新昌)
예종 1 1469 기축 成化 5 21 생원ㆍ진사시에 합격하여 成均館에 들어가다. ○ 점필재 金宗直을 배알하다.
성종 2 1471 신묘 成化 7 23 咸陽의 藍溪 가에 집을 짓고, ‘藍溪’ 또는 ‘平石’으로 號를 삼다. ○ 盤巖臺를 유람하다.
성종 3 1472 임진 成化 8 24 2월, 文科 別試에 합격하여 예문관 검열이 되다. ○ 봄, 曺伸의 방문을 받다. ○ 김종직이 咸陽郡守로 있을 때 孝行을 아뢰어 한 官資가 더해지다.
성종 6 1475 을미 成化 11 27 동료들과 禁肉(쇠고기)을 차려놓고 잔치한 일로 파직되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28 告身을 돌려받다. ○ 徐居正의 천거로 金訢ㆍ趙之瑞와 함께 湖堂에 들어가 독서하다.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30 山陰縣에 유배되어 草谷洞에 寓居하다.
성종 10 1479 기해 成化 15 31 〈故人亭記〉를 짓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34 職牒을 돌려받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35 사면되어 돌아오다. ○ 蔡壽ㆍ楊熙止ㆍ兪好仁 등과 함께 湖堂에 들어가다. ○ 掌隷院 司儀가 되다.
성종 15 1484 갑진 成化 20 36 兄 表沿漢의 상을 당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37 왕명으로 徐居正 등과 「東國通鑑」을 撰進하다. ○ 10월, 文臣製述에 1등하여 한 官資가 더해지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38 11월, 「筆苑雜記」의 序를 쓰다. ○ 12월, 重試에 합격하여 홍문관 응교가 되다. 곧 直提學이 되어 경연에 입시하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41 사헌부 장령이 되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42 潘佑亨ㆍ金應箕 등과 함께 師儒로 뽑히다. ○ 평안도 翻庫御使가 되어 江界ㆍ義州 등의 지역을 가서 살피다. ○ 이조참의, 성균관 대사성이 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43 홍문관 부제학이 되다. ○ 우승지가 되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44 이조참판이 되다. 곧 홍문관ㆍ예문관 제학이 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45 先農祭에 大祝으로 參祀하여 한 官資가 더해지다. ○ 司諫이 되다. 臺諫을 推鞫하지 말 것을 上箚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46 兪好仁이 졸하자 挽詩를 짓다. ○ 성종이 승하하자 挽詩를 製進하다. ○ 楊熙止 등과 함께 佛齋로 大行王의 명복을 비는 것을 중지하도록 書啓하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47 화재로 詩文이 유실되다. ○ 홍문관 직제학이 되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48 ‘今日急先務五條’를 함께 상소하다. ○ 咸昌縣 북쪽 立巖村에 移居하다.
연산군 3 1497 정사 弘治 10 49 대사간이 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50 동지성균관사를 겸하다. ○ 김종직의 제자로 史禍에 연루되어 慶源에 杖配되는 도중, 8월 19일에 銀溪驛에서 卒하다.
*뇌계(㵢溪) 유호인(兪好仁)생년1445년(세종 27)몰년1494년(성종 25)자극기(克己)본관고령(高靈)
세조 8 1462 임오 天順 6 18 생원ㆍ진사시에 합격하다.
성종 3 1472 임진 成化 8 28 가을, 점필재 金宗直을 따라 頭流山을 유람하다.
성종 5 1474 갑오 成化 10 30 문과에 합격하다. ○ 승문원 正字가 되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32 奉常寺 副奉事로 賜暇讀書하다. ○ 홍문관 博士가 되다.
성종 8 1477 정유 成化 13 33 4월, 松都를 유람하고 〈遊松都錄〉을 짓다. ○ 홍문관 부수찬이 되다.
성종 10 1479 기해 成化 15 35 홍문관 수찬이 되다. ○ 乞養하여 居昌縣監이 되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38 부친상을 당하다. ○ 여름, 〈黃山谷集跋〉을 쓰다.
성종 15 1484 갑진 成化 20 40 〈判官鄭君墓誌〉를 짓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41 2월, 경상도 관찰사 李克基가 명을 받고 曺偉와 저자가 지은 詩를 책으로 만들어 진헌하다. ○ 3월, 상이 글을 내려 칭찬하고 저자의 모친에게 米豆 15석을 하사하다. ○ 공조좌랑이 되다. ○ 8월, 文臣製述에서 〈秋月揚明輝排律十韻〉을 지어 居首하다. ○ 遠接使 盧公弼의 종사관이 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42 「輿地勝覽」의 수정, 편찬에 참여하다. ○ 홍문관 교리가 되어 경연시독관을 겸하다. ○ 文臣都試에서 居首하다. 謝恩日에 명을 받고 즉석에서 〈謝恩榮排律十二韻〉을 제진하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43 1월, 모친을 봉양하기 위해 사직하다. ○ 〈孫君墓誌銘〉을 짓다. ○ 義城縣令이 되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46 3월, 「詩藁」를 자편하여 진헌하다. 王이 食物을 저자의 모친에게 하사하고, 〈壽母生辰〉 詩를 칭찬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47 〈參判李公(瓊仝)母氏墓誌銘〉을 짓다. ○ 여름, 姜龜孫 등과 낙동강을 유람하다. 〈洛江泛舟詩跋〉을 짓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48 홍문관 교리가 되다.
성종 24 1493 계미 弘治 6 49 3월, 先農祭에 執尊으로 참여하여 加資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50 1월, 사헌부 장령이 되다. ○ 2월, 부인상을 당하다. ○ 乞養하여 陜川郡守가 되다. ○ 4월, 병으로 졸하다.
*소총(篠䕺) 홍유손(洪裕孫)생년1452년(문종 2)몰년1529년(중종 24)자여경(餘慶), 자용(子容)호광진자(狂眞子)본관남양(南陽)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30 글을 잘한다 하여 南陽府使 蔡申이 鄕役을 면제해 주다. 이에 嶺南으로 가서 金宗直을 뵙고 杜詩를 배우다. ○ 頭流山에 들어가 수학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34 〈題金剛山〉 詩를 짓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44 여름, 〈題琴贊序〉를 짓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47 8월, 戊午史禍에 연좌되어 柳子光의 무고로 제주에 유배되다. ○ 〈中興寺重創記〉를 짓다.
중종 1 1506 병인 正德 1 55 9월, 사면되다.
중종 2 1507 정묘 正德 2 56 〈尊者庵改構侑因文〉을 짓다.
중종 5 1510 경오 正德 5 59 會試 진사과에 합격하다.〈經筵賦〉를 짓다.
중종 11 1516 병자 正德 11 65 〈漫興述懷逆順通脈格三十韻錄奉南道兵營〉 詩를 짓다.
중종 18 1523 계미 嘉靖 2 72 봄, 李亮의 묘지명을 짓다. 〈贈金上舍書〉를 짓다.
중종 22 1527 정해 嘉靖 6 76 8월, 李湘의 묘지명을 짓다.
중종 24 1529 기축 嘉靖 8 78 4월 5일, 졸하다. ○ 楊州 佛巖山에 묻히다.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생년1464년(세조 10)몰년1498년(연산군 4)자계운(季雲)호탁영자(濯纓子), 이당(伊堂), 운계은사(雲溪隱士), 소미산인(少微山人), 영귀학인(咏歸學김일손(金馹孫)생년1464년(세조 10)몰년1498년(연산군 4)자계운(季雲)호탁영자(濯纓子), 이당(伊堂), 운계은사(雲溪隱士), 소미산인(少微山人), 영귀학인(咏歸學人), 와룡초부(臥龍樵夫), 반계거사(磻溪居士)본관김해(金海)시호문민(文愍)人), 와룡초부(臥龍樵夫), 반계거사(磻溪居士)본관김해(金海)시호문민(文愍)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15 2월, 성균관에서 독서하다. ○ 3월, 丹陽 禹氏와 결혼하다.
성종 10 1479 기해 成化 15 16 8월, 仲兄 金驥孫과 漢城府 進士初試에 합격하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17 3월, 양친을 따라 雲溪로 돌아가다. ○ 9월, 密陽에서 居喪中인 金宗直에게 학문을 배우다. 이때 金宏弼ㆍ鄭汝昌 등 12명과 神交를 맺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18 2월, 김종직에게 韓愈의 글을 배우다. ○ 7월, 남효온과 龍門山을 유람하다. ○ 8월, 原州의 酒泉山으로 元昊를 방문하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19 10월, 庭試에 응시하여 두 兄의 장원급제를 위해 병을 핑계하고 退場하다. 이때 두 형이 1, 2등을 하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20 9월, 부친상을 당하다. ○ 11월, 淸道 水也山에 장사 지내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23 봄, 淸道郡學이 되다. ○ 8월, 生員ㆍ進士가 되다. ○ 10월, 文科覆試에서 〈中興策〉으로 장원하다. ○ 12월, 承文院正字가 되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24 1월, 홍문관 정자가 되다. ○ 4월, 부인상을 당하다. ○ 9월, 부모 봉양을 위해 晉州牧學이 되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25 3월, 牧使 慶太素 및 遊官諸公 21人과 矗石樓에서 修禊하고 序를 짓다. ○ 7월, 병을 핑계로 敎授職을 그만두다. ○ 9월, 舊室의 동편 臥龍峯 아래에 雲溪精舍를 세우고 이에 ‘臥龍樵夫’로 號를 삼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26 4월, 藍溪에 가서 鄭汝昌을 방문하고 함께 頭流山을 유람하다.〈頭流紀行錄〉 ○ 6월, 예문관 검열이 되다. ○ 〈送崔玉果序〉를 짓다. ○ 7월, 忠淸道 木川에서 禮山 金氏와 결혼하다. ○ 사직소를 올리고 三事(酒色射)를 아뢰어 加資되다. ○ 朱溪君 李深源과 治道를 논하다. ○ 경연에 入侍하여 李胄와 함께 史官의 記事之規를 논하여 윤허받다. ○ 9월, 차자를 올려 治道에 관한 12事를 아뢰다. ○ 10월, 탄핵을 받고 金寧(金海)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어 田里로 돌아가다. ○ 11월, 遼東質正官이 되어 중국에 가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27 1월, 烏蠻館에 머무르다. 이때 입고 있던 옷으로 周旺이 소장한 古畫 14幅과 바꾸다. ○ 2월, 귀국하다. ○ 3월, 駱山의 園亭을 하사받다. ○ 承政院注書가 되어 檢閱을 겸하다. ○ 金宗直의 〈吊義帝文〉을 史草에 싣다. ○ 4월, 史館과 本院의 일기를 참조하여 남효온의 〈六臣傳〉을 改撰하다. ○ 모친의 병으로 사직하다. ○ 5월, 김굉필과 伽耶山을 유람하고 釣賢堂에 머물며 講學하다. ○ 8월, 홍문관부수찬 지제교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이 되다. ○ 9월, 中興寺에 있던 金時習을 방문하다. ○ 성균관 전적이 되다. ○ 10월, 사헌부 감찰이 되다. ○ 11월, 陳賀使 書狀官으로 중국에 가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28 2월, 禮部員外郞 程愈에게서 「小學集說」을 얻다. ○ 3월, 귀국하여 「소학집설」을 바치자, 상이 校書館에 명하여 中外에 간행ㆍ반포하도록 하다. ○ 사간원 정언이 되다. ○ 4월, 홍문관 수찬이 되다. ○ 5월, 龍驤衛司正으로서 「綱目」을 校讐하다. ○ 10월, 「강목」의 교수를 마치고 箋과 함께 올리다. ○ 忠淸都事가 되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29 1월, 木川 別墅에 ‘竹林精舍’를 짓다. ○ 4월, 수찬이 되다. ○ 7월, 홍문관 부교리가 되다. ○ 8월, 성균관 直講이 되다. ○ 9월, 사간원 헌납이 되다. ○ 李克墩ㆍ成俊을 탄핵하여 파직시키다. ○ 사가독서하다. ○ 11월, 김종직의 시호를 ‘文正’과 ‘文忠’으로 논의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30 1월, 홍문관 교리가 되다. ○ 頒諭御史로 嶺南에 가다. ○ 3월, 密陽에 가서 김종직의 墓에 제사하다. ○ 5월, 서울로 돌아와 백성의 고통을 아뢰고 時政을 논하다. ○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가 되다. ○ 7월, 사가독서하다. ○ 8월, 〈御製四十八詠詩〉에 和答하고 跋文을 짓다. ○ 9월, 〈秋懷賦〉를 짓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31 2월, 獻納이 되다. ○ 3월, 병조정랑이 되다. ○ 5월, 홍문관 교리가 되다. ○ 7월, 모친의 병으로 사직하다. ○ 9월, 이조정랑이 되다. ○ 11월, 本職으로써 兩館應敎, 經筵侍講, 史官編修, 春坊弼善을 겸하다. ○ 12월, 編修官으로서 史草에 이극돈의 醜行을 直書하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32 3월, 戒辭 10條를 상소하다. ○ 사직소를 올리고 田里로 돌아가다. ○ 10월, 〈疾風知勁草賦〉를 짓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33 1월, 獻納이 되다. ○ 昭陵復位를 청하다. ○ 2월, 사직하고 雲溪로 돌아가다. ○ 3월, 모친상을 당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35 1월, 〈遊月宮賦〉를 짓다. ○ 6월, 風疾이 있어 靑溪精舍에서 調養하다. ○ 7월, 김종직의 〈吊義帝文〉을 史草에 실은 일로 국문을 받다. ○ 7월 27일, 저자에서 權五福ㆍ權景裕ㆍ李穆ㆍ許磐과 함께 처형되다. ○ 楊州의 石橋에 가매장하다.
*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생년1467년(세조 13)몰년1498년(연산군 4)자향지(嚮之)본관예천(醴泉)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20 두 형과 함께 司馬試에 합격하다. ○ 문과 병과에 급제하다. ○ 이후 藝文館 奉敎를 거쳐 弘文館 副修撰ㆍ修撰ㆍ校理를 역임하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24 11월, 行臺로 關東에 갔다가 이듬해에 돌아오다. 〈關東錄〉을 남기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26 湖堂에서 賜暇讀書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28 〈鄕射堂記〉를 짓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30 養親을 이유로 野城(盈德)縣令에 부임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32 戊午史禍로 극형에 처해지다.
*목계(木溪) 강혼(姜渾)생년1464년(세조 10)몰년1519년(중종 14)자사호(士浩)호목계자(木溪子), 동고자(東皐子)본관진주(晉州)시호문간(文簡)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15 성균관에 들어가다. 이때 金馹孫과 神交를 맺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17 金宗直을 스승으로 섬기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20 2월, 생원ㆍ진사시에 장원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22 兪好仁과 함께 遠接使 盧公弼의 종사관이 되어 압록강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23 10월, 문과에 급제하다. ○ 홍문관 교리, 춘추관 기사관이 되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26 가을, 翰苑에 入直하여 예문관 응교를 겸하다. 얼마 후에 시강원 說書, 경연 시독관이 되다. ○ 11월, 승정원 注書로서 강원도에 가서 백성의 고통을 살피다. ○ 12월, 돌아와 수령들의 不法事를 아뢰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28 4월, 申從濩 등과 함께 北征의 잘못을 논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30 金馹孫ㆍ申用漑 등과 賜暇讀書하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32 부모 봉양을 위해 河東縣監이 되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33 12월, 김일손ㆍ신용개 등과 사가독서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35 7월, 朋黨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遠方에 杖流되어 熢燧의 役에 충원되다.
연산군 6 1500 경신 弘治 13 37 1월, 홍문관 부교리가 되다. ○ 4월, 校理가 되다.
연산군 7 1501 신유 弘治 14 38 부친상을 당하다.
연산군 10 1504 갑자 弘治 17 41 5월, 홍문관 직제학이 되다. ○ 6월, 대제학 金勘과 함께 교지를 받들어 〈警策臣工文〉을 짓다. ○ 8월, 동부승지가 되다. ○ 9월, 좌부승지가 되다. ○ 11월, 回文詩를 製進하여 말 한 필을 하사받다.
연산군 11 1505 을축 弘治 18 42 1월, 加資되고 金帶를 하사받다. ○ 11월, 聯芳院提調가 되다.
연산군 12 1506 병인 正德 1 43 8월, 長湍으로부터 復命하여 道路의 里數와 晝停宿所를 표시한 地圖를 바치다. ○ 가을, 承旨로서 慈順大妃의 교지를 받들어 私邸로부터 中宗을 호위해 오다. ○ 중종이 즉위하자 좌찬성 이조판서 판중추부사가 되고, 秉忠奮義決策翊運靖國功臣에 錄勳되고, 晉川府院君에 봉해지다.
중종 2 1507 정묘 正德 2 44 1월, 홍문관 대제학이 되다. ○ 2월, 연산군에게 아첨했다는 탄핵을 받고 사직하다. ○ 12월, 형조판서와 尙衣院提調를 사직하다.
중종 3 1508 무진 正德 3 45 1월, 판중추부사가 되다. ○ 10월, 知春秋館事를 겸하다. ○ 11월, 경상도 관찰사가 되다.
중종 4 1509 기사 正德 4 46 5월, 〈睡軒集跋〉을 짓다.
중종 5 1510 경오 正德 5 47 1월, 공조판서가 되다. ○ 6월, 弓角奏請使가 되다.
중종 6 1511 신미 正德 6 48 4월, 형조판서가 되다. ○ 晉川君이 되다. ○ 10월, 공조판서가 되다.
중종 7 1512 임신 正德 7 49 3월, 경상도 관찰사가 되다. ○ 4월, 〈靑坡集序〉를 짓다. ○ 9월, 한성부 판윤이 되다.
중종 8 1513 계유 正德 8 50 申用漑ㆍ張順孫 등과 昭陵(文宗妃 權氏)의 復位를 청하여 윤허받다.
중종 9 1514 갑술 正德 9 51 1월, 판중추부사가 되다.
중종 11 1516 병자 正德 11 53 9월, 晉川君이 되다. ○ 11월, 〈漁溪集序〉를 짓다.
중종 12 1517 정축 正德 12 54 11월, 병으로 공조판서를 사직하다.
중종 13 1518 무인 正德 13 55 3월, 〈二倫行實圖序〉를 짓다. ○ 5월, 부모봉양을 위하여 歸鄕하다.
중종 14 1519 기묘 正德 14 56 3월, 晉州에서 병이 위독하자 상이 감사에게 약을 보내어 문병하게 하다. ○ 5월 15일, 卒하다.
............................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생년1438년(세종 20)몰년1504년(연산군 10)자겸선(兼善)호함허정(涵虛亭)본관부계(缶溪)시호문광(文匡)
세조 3 1457 정축 天順 1 20 商山 金氏와 결혼하다.
세조 5 1459 기묘 天順 3 22 進士試에 합격하다.
세조 6 1460 경진 天順 4 23 성균관에 유학하다.
세조 7 1461 신사 天順 5 24 別試 親策科에 합격하다.
세조 8 1462 임오 天順 6 25 승문원 박사가 되다.
세조 9 1463 계미 天順 7 26 예문관 봉교가 되다.
세조 11 1465 을유 成化 1 28 侍講院 說書가 되어 사가독서하다.
세조 12 1466 병술 成化 2 29 9월, 宣傳官을 겸하다.
세조 13 1467 정해 成化 3 30 5월, 李施愛가 亂을 일으키자 함경도 절도사 許琮의 천거로 兵馬評事가 되다. ○ 9월, 軍功으로 공조정랑이 되다.
세조 14 1468 무자 成化 4 31 예문관 응교를 겸하다.
예종 1 1469 기축 成化 5 32 예문관 교리가 되다.
성종 1 1470 경인 成化 6 33 8월, 咸鏡道에 災荒이 들자 審問使로 나가다. ○ 藝文館 學士가 되다.
성종 2 1471 신묘 成化 7 34 사헌부 장령, 成均館 司藝를 거쳐 藝文館 典翰이 되다. ○ 「世祖實錄」 纂輯에 참여하다.
성종 3 1472 임진 成化 8 35 侍御史가 되어 試院에 참여하다. ○ 全羅道按覈使로 나가다. 이때 지은 詩 70여 수를 모아 〈南行錄〉을 남기다. ○ 倭人護送使로 嶺南에 가다.
성종 6 1475 을미 成化 11 38 直提學이 되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39 遠接使 徐居正의 從事官이 되어 중국사신 祁順 등을 맞이하다. ○ 3월,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다.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41 좌부승지, 우승지를 거쳐 11월에 도승지가 되다.
성종 10 1479 기해 成化 15 42 9월, 충청도 관찰사가 되다. 얼마후 病으로 체직되었다가 특별히 형조참판에 제수되다. ○ 南山 아래에 ‘虛白亭’을 짓다.
성종 11 1480 경자 成化 16 43 漢城右尹이 되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44 4월, 千秋使가 되어 중국에 가다. 다수의 紀行詩를 짓다. ○ 義州에서 母親의 訃音을 듣고 奔喪하다.
성종 15 1484 갑진 成化 20 47 4월, 이조참판이 되다. ○ 10월, 강원도 관찰사가 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48 사직하고 歸省하다. ○ 8월, 高城 三日浦를 유람하며, 四仙亭에 올라 시를 짓다. ○ 江陵鄕校를 중수할 것을 계청하다. ○ 가을, 형조참판이 되다.
성종 17 1486 병오 成化 22 49 7월, 부친 봉양을 위하여 慶州府尹이 되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52 2월, 대사헌이 되다. ○ 3월, 부친상을 당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54 8월, 성균관 대사성이 되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56 좌참찬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다. ○ 正朝使로 뽑혔으나 병으로 사임, 臺諫의 탄핵으로 파직되어 南山에 退居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57 호조판서가 되다. 同知經筵春秋館事를 겸하다. ○ 12월, 成宗의 승하로 三都監提調가 되어 國喪을 管護하다. 輓詞를 지어 올리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58 5월, 〈救儒生疏〉를 올리다. ○ 遠接使가 되어 明使 金輔 등을 맞이하다. ○ 右參贊이 되다. ○ 홍문관 대제학을 겸하다. ○ 10월, 「成宗實錄」 纂輯에 참여하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59 〈請從諫疏〉를 올리다.
연산군 3 1497 정사 弘治 10 60 4월, 공조판서가 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61 史禍로 좌천되었다가 文衡에 復職하다. ○ 11월, 우참찬이 되다.
연산군 5 1499 기미 弘治 12 62 2월, 「成宗實錄」을 완성하고 〈修史記〉를 짓다. ○ 〈請勿拒諫疏〉ㆍ〈請罷打圍疏〉를 올리다. ○ 12월, 왕명으로 成俔ㆍ權健과 「歷代明鑑」을 편찬하다.
연산군 6 1500 경신 弘治 13 63 〈議政府陳弊疏〉와 11條의 〈政府疏〉를 올리다. ○ 10월, 權健 등과 「續國朝寶鑑」을 撰進하다.
연산군 8 1502 임술 弘治 15 65 겨울, 藥房提調를 겸하다. ○ 尹弼商 등과 「救急易解方」을 撰進하고 序文을 짓다. ○ 무고로 削職되다.
연산군 9 1503 계해 弘治 16 66 3월, 경기도 관찰사가 되다. ○ 겨울, 왕명을 어겨 慶源에 유배되다.
연산군 10 1504 갑자 弘治 17 67 부인상을 당하다. ○ 아들 洪彥昇ㆍ洪彥邦ㆍ洪彥忠ㆍ洪彥國도 모두 유배되다. ○ 6월 22일, 서울로 이송 도중 端川에서 絞殺되다.
*대봉(大峯) 양희지(楊熙止)생년1439년(세종 21)몰년1504년(연산군 10)자가행(可行), 정보(楨父)본관중화(中和)
세조 8 1462 임오 天順 6 24 생원ㆍ진사시에 합격하다.
세조 10 1464 갑신 天順 8 26 성균관에 들어가 金升鄕ㆍ鄭佸ㆍ李崇元ㆍ成健ㆍ洪興ㆍ李摠 등과 교유하다.
세조 11 1465 을유 成化 1 27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圓覺寺 改創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세조 13 1467 정해 成化 3 29 문과 초시에 합격하다.
세조 14 1468 무자 成化 4 30 별과 초시에 합격하다.
성종 2 1471 신묘 成化 7 33 金鰲山에서 독서하며 金時習에게 出仕를 권하다.
성종 3 1472 임진 成化 8 34 賢良策에서 試券의 격식을 위반하여 낙방되다.
성종 5 1474 갑오 成化 10 36 문과에 급제하다. 성종이 便殿에서 인견하여 名과 字(稀枝ㆍ楨父)를 하사하고 宰臣들과 함께 聯句로써 축하하다. ○ 특별히 檢閱에 제수되다.
성종 6 1475 을미 成化 11 37 승정원 정자가 되다.
성종 7 1476 병신 成化 12 38 6월, 曺偉 등과 함께 藏義寺에서 賜暇讀書하다.
성종 9 1478 무술 成化 14 40 弘文館 副修撰이 되다. ○ 8월, 이조좌랑이 되다. ○ 부모봉양을 위하여 泗川縣令으로 나가다.
성종 13 1482 임인 成化 18 44 司憲府監察이 되다.
성종 14 1483 계묘 成化 19 45 3월, 眞熹王后의 喪을 당하여 山陵都監郞廳에 차임되다. ○ 10월, 玄風縣監이 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47 1월, 淸州判官에 移拜되다. ○ 모친상을 당하다.
성종 18 1487 정미 成化 23 49 6월, 예조좌랑이 되다.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50 6월에 종친부 典籍, 9월에 병조정랑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다.
성종 20 1489 기유 弘治 2 51 2월, 사헌부장령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52 9월, 사헌부 지평이 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53 6월, 司䆃寺僉正이 되다. ○ 都元帥 許琮의 종사관이 되어 함경도에 가다.
성종 23 1492 임자 弘治 5 54 6월, 掌令이 되다. ○ 9월, 侍講院司書가 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55 1월, 홍문관 응교가 되다. ○ 지평 金彥辛이 대신을 탄핵하였다가 극형을 당하게 되자 차자를 올려 구원하다. ○ 7월, 校理 兼侍講院文學으로 옮기다. ○ 內殿佛事에 玉堂陪香으로 차임되었으나 상소하고 나아가지 않으니 상이 特旨로 檢詳 兼春秋館編修官에 제수하다. ○ 司諫 兼承文院勘校가 되다.
성종 25 1494 갑인 弘治 7 56 1월, 執義가 되다. ○ 7월, 동부승지가 되다. ○ 좌ㆍ우부승지로 옮기다. ○ 12월, 형조판서가 되다. ○ 성종의 장례를 마치고 鄕里인 蔚山으로 돌아가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57 6월에 靈岩郡守, 8월에 공조참의, 12월에 예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
연산군 2 1496 병진 弘治 9 58 5월에 대사성, 8월에 安邊府使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 ○ 12월, 좌부승지에 제수되다.
연산군 3 1497 정사 弘治 10 59 3월, 대사간에 제수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시무6조를 진술하다. ○ 4월, 충청감사가 되다.
연산군 4 1498 무오 弘治 11 60 4월, 도승지가 되다. ○ 6월, 龍驤衛副護軍에 遞付되다. ○ 9월, 鄕里로 돌아가다.
연산군 5 1499 기미 弘治 12 61 2월에 대사헌, 4월에 부제학, 11월에 형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
연산군 6 1500 경신 弘治 13 62 2월, 호조판서에 부임 도중 다시 대사간으로 임명되다. ○ 5월, 西北道에 안치된 曺偉 등의 量移를 청하여 허락받다. ○ 9월, 量移를 청한 일로 盧思愼 등의 탄핵을 받아 長鬐로 放逐되다. ○ 부인상을 당하다.
연산군 9 1503 계해 弘治 16 65 3월, 職牒을 돌려받다. ○ 6월, 형조판서에 제수되어 체직을 청하다. ○ 9월, 黃海監司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 ○ 12월, 대사헌이 되다.
연산군 10 1504 갑자 弘治 17 66 1월, 한성부 우윤이 되다. ○ 2월 6일, 蓮坊(城東)의 舍邸에서 병으로 졸하다. ○ 10월, 蔚山 북쪽 含月山에 장사 지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