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용평사 성지순례 안내 삼보에 귀의하옵고, 여러 불자님들 가정에 부처님의 자비가 충만하기를 바랍니다.
대한불교 천태종 명지 용평사 산악회 에서는 신록의 계절을 맞이하여 불자님들의 단합을 위한 산악회 주관으로 성지순례(불일폭포 등반)를 가게되었습니다. 우리 불자들은 성지순례를 함으로써 복덕을 더더욱 증장한다고 합니다. 동참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용평사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용평사 : (전화) 271-2591 순례 일자 : 2020년6월28일 일요일 순례 사찰 : 전남 구레 화엄사.경남 하동 칠불사.쌍계사(불일폭포 등반) 참가 회비 : 40.000원 준 비 물 : 간편복(등산복).식수.간식
순례 일정 : 6시45분 까지 용평사 집결 7시 용평사 출발 ~ 9시30분 화엄사 도착 화엄사 (순레)*1시간10분 10시50분 화엄사 출발~ 11시20분 화개장터 도착 (점심 공양)*40분 12시00분 화개장터 출발 ~ 12시30분 칠불사 도착( 순례) *30분 오후1시00분 칠불사 출발 오후1시20분 쌍계사 도착 (순례~불일폭포 등반) *3시간40분 오후5시00분 쌍계사 출발 오후7시20분 용평사 도착 해산
|
하동 쌍계사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번지, 지리산 남쪽 기슭)
쌍계사(雙磎寺)는 조계종 13교구 본사로서 신라 성덕왕 21년(722년) 대비(大悲), 삼법(三法) 두 화상께서 선종(禪宗)의 六祖이신 혜능스님의 정상을 모시고 귀국, "지리산 설리갈화처(雪裏葛花處 : 눈쌓인 계곡 칡꽃이 피어있는 곳)에 봉안하라"는 꿈의 계시를 받고 호랑이의 인도로 이 곳을 찾아 절을 지은 것이 유래가 되었다.
그 뒤 문성왕 2년(840년) 중국에서 선종의 법맥을 이어 귀국하신 혜소 진감(眞鑑)선사께서 퇴락한 삼법스님의 절터에 옥천사(玉泉寺)라는 대가람을 중창하시어 선의 가르침과 범패(梵唄)를 널리 보급하시었으니 후에 나라에서 "쌍계사"라는 사명을 내리고 벽암, 백암, 법훈, 만허, 용담, 고산스님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는 동안 고색창연한 자태와 웅장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다.
쌍계사는 국보 1점(진감국사 대공탑비-국보47호), 보물 3점(대웅전-보물 500호, 쌍계사 부도- 보물 380호, 팔상전 영산회상도-보물 925호) 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쌍계사 구층석탑,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청학루, 마애불, 명부전, 나한전 등의 많은 문화유산, 칠불암, 국사암등의 암자가 있으며, 차와 인연이 깊은 곳으로 쌍계사 입구 근처에는 '차시배추원비(茶始培追遠碑)'가 있고, 화개에서 쌍계사로 이어지는 벚꽃길에도 '차시배지(茶始培地)' 기념비가 있다.
현재 혜능대사의 정상이 모셔진 금당(金堂)에 금당선원이 있어 눈푸른 납자들의 정진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통강원(傳統講院)과 금강계단(金剛戒壇)이 설치되어 바야흐로 선맥과 강맥, 그리고 율맥의 법통이 바로선 수행도량의 명성을 떨치고 있다.
|
동국제일선원 지리산 칠불사 (경남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쌍계사 북쪽 20리 되는 곳인 지리산 토끼봉(1533m) 아래 800m 고지에 있는 절.
6년만인 103년 8월 보름에 성불하여 칠불암이라 하며 신라 옥보고는 운상원에서 50년 동안 거문고를 공부하고 30곡을 지어 세상에 전하였다고 한다. 칠불사 대웅전에는 일곱부처님의 모습을 나무로 조성한 칠불목탱을 비롯한 후불탱과 화엄탱등은 우리나라에서는 귀한 볼거리라 하며 경남 유형문화재 144호로 지정된 아자방이 있다.
칠불사는 예로부터 (통일신라이후) 동국제일선원(東國第一禪院)이라 하여 금강산 마하연(摩訶衍)선원과 더불어 남북으로 쌍벽을 이룬 우리나라의 대표적 참선도량(參禪道場)으로서 수많은 고승 대덕들이 머물렀던 곳으로 전해진다.
칠불사 운상선원과 아자방 |
요약 사적 제50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의 본사이다.
1979년 황룡사지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기록에 754년(경덕왕 13) 황룡사 연기조사의 발원으로 화엄사를 건립하기 시작하여 이듬해 완성했다고 되어 있다.
1424년(세종 6) 선종대본산으로 승격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1702년(숙종 28) 중건했다.
가람배치는 대웅전 앞에는 동서 5층석탑이 비대칭으로 서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이 절은 화엄종의 중심사찰로 많은 고승들이 머물면서 화엄사상을 펼쳐나간 곳이기도 하다.
현재 경내에는 각황전(국보 제67호)을 비롯하여 대웅전(보물 제299호) 등의 17세기 건축물이 남아 있어
중요 문화제로 지정되었다.
사적 제50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의 본사이다.
〈사적기 事蹟記〉에 의하면 544년(진흥왕 5) 인도승 연기조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동국여지승람〉에는 시대가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라는 승려가 건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구례속지 求禮續誌〉에 의하면 543년 연기조사가 세운 절로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머물게 했으며
642년(선덕여왕 11)에 자장율사가 건물을 중수했다고 하는데,
신라승이 백제지역에 있는 절을 중건했다는 사실은 의심스럽다.
한편 〈봉성지 鳳城誌〉에는 670년(문무왕 10) 의상법사가 왕명을 받아 3층의 장륙전을 건립하고 사방 벽에
〈화엄경〉을 새긴 석경으로 장엄했다고 한다.
그러나 〈정원본사십화엄경 貞元本四十華嚴經〉은 797년(원성왕 13)에 번역되었기 때문에 장륙전이 건립될 당시에
석경이 만들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 같이 화엄사의 창건이나 창건주, 중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1979년 황룡사지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의 발문에 의하면 754년(경덕왕 13) 황룡사 연기조사의 발원으로
화엄사를 건립하기 시작하여 이듬해 완성했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절의 창건연대와 창건주가 분명하게 밝혀졌으며 절의 이름은 〈화엄경〉에서 2자를 따온 것이다.
그뒤 신라말 이곳에서 출가한 도선국사(道詵國師)에 의해 크게 중수되었다.
고려 광종대에는 홍경선사가 당우와 암자를 중축했으며,
문종대에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사고 2채를 일주문 밖에 건립했다.
인종대에는 정인왕사가 중수했으며, 충숙왕대에는 조형왕사가 대대적으로 보수했다.
1424년(세종 6) 선종대본산으로 승격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이때 장륙전의 벽을 장식했던 석경도 파손되어 지금은 각황전과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1630년(인조 8) 벽암대사가 중건하기 시작하여 7년 만인 1636년 대웅전과 요사채 등이 완공되었다.
1702년(숙종 28) 벽암선사의 제자였던 성능이 장륙전을 중건하고 다음해에 삼존불과 보살상 4구를 완성하고는
경찬대법회를 열었는데, 이때 숙종이 각황전이라 사액하고 화엄사를 선교양종대가람이라 했다.
가람배치는 대웅전과 누문을 잇는 중심축과 각황전과 석등을 연결하는 동서축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대웅전 앞에는 동서5층석탑이 비대칭으로 서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이 절은 화엄종의 중심사찰로 많은 고승들이 머물면서 화엄사상을 펼쳐나간 곳이기도 하다.
현재 경내에는 17세기 이후의 건물만 남아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각황전(국보 제67호)을 비롯하여
대웅전(보물 제299호)·영산전·나한전·원통전·명부전·적조당·노전으로 사용되는 삼전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각황전앞석등(국보 제12호), 4사자3층석탑(국보 제35호), 동5층석탑(보물 제132호),
서5층석탑(보물 제133호), 석경,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제300호), 노주 등이 있다.
이밖에도 선조가 벽암선사에게 하사한 교지 1매, 예조사격 1매, 예조홍각대사첩 1매, 겸팔도총섭첩 1매,
예조대선사각성첩 1매, 인조하사 어석 1건 및 가사 1령, 어작 1대, 선조 어필각본 1권, 선조하사 서산대사 발우 1좌 및
향합 1건, 각황전중건상량문 1매 등이 있다.
국보 제67호. 원래 의상법사가 670년에 건립한 3층 장륙전으로 장륙존상(丈六尊像)을 봉안했으며
사방 벽은 화엄석경으로 장엄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99~1702년에 성능대사가
중건했으며, 1930년대에 일본인에 의해 중수되었는데 이때 건물의 일부가 약간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앞면 7칸, 옆면 5칸의 중층 팔작지붕 건물로 높은 석조 기단 위에 서향으로 세워졌다. 기둥은 평주이며
기둥머리 위에 창방과 평방이 놓여 있다. 평방 위와 기둥 사이에 공포를 짜올린 다포계(多包系)이며
상하층 모두 내외2출목으로 되어 있다. 첨차는 아랫면이 둥글게 처리되었고 쇠서의 끝이 모두 위로 올라가
활처럼 생겼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선 초기 목조건축에서 많이 볼 수 있다.
1층 앞면에는 빗살무늬와 솟을살무늬로 장식된 살문을 달고 옆면과 뒷면은 일부만 벽으로 막았다.
2층은 사방에 모두 작은 창을 달았다. 내부는 통층으로 공간이 넓으며 고주를 사방에 배치하고
그 위에 대들보로 종량(宗樑)의 한쪽 끝을 받치고 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그 주위에 경사진 빗반자가 있는 점이 특이하다. 중앙의 뒤쪽으로는 대불단 위에 석가불·아미타불·다보불(多寶佛)이 있고
그 좌우에 보현보살·문수보살·관음보살·지적보살(知積菩薩)이 있다.
이 불상·보살상들은 3m가 넘는 거대한 불상으로 도금불사 때 발견된 복장기(腹藏記)에 의해 1703년(숙종 29)에
조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불단 밑에는 임진왜란 때 파손된 1,500여 점의 석경이 봉안되어 있다.
국보 제12호. 높이 636cm. 기단부·화사석·상륜부를 모두 갖춘 완전한 형태의 팔각석등으로 현존하는
우리나라 석등 가운데 가장 크다.
하대석의 각 면에는 안상을 새기고 그 위에는 귀꽃이 장식된 8엽의 복련을 돌렸으며
연화대 위에는 다시 구름무늬와 8각 굄이 있다. 간주석은 고복형으로 전형적인 팔각석등과는 약간 다르며,
배가 볼록하게 나온 중앙에는 2줄의 띠를 돌렸는데 그 위에 8개의 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시대의 실상사석등·선림원지석등·임실용암리석등·개선사지석등(891) 등
전라도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상대석의 밑에는 8엽의 앙련이 조각되어 있고 위에는 8각의 소로형 굄이 있다.
화사석은 4면에 화창을 내었으나 다른 면에는 아무런 장식문양도 없다. 옥개석은 얇은 편으로 각 모서리에는 직립한
귀꽃 장식이 크게 표현되었으며 추녀는 수평으로 되어 있다.
상륜부는 높은 노반, 앙화, 보륜, 귀꽃이 장식된 보개를 차례로 얹고 정상에는 다른 석탑과 마찬가지로
높은 간주가 달린 보주로 장식했다. 이 석등은 기단보다 상륜부가 크고 폭이 넓어 비례가 맞지 않고
조각수법도 둔중한 느낌을 주지만, 전체적으로 거대한 크기에서 오는 장중함으로 볼 때 통일신라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99호. 〈사적기〉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6년 벽암대사가 중건했다고 한다.
앞면 5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높은 석단 위에 남향으로 세워졌다. 기둥은 배흘림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했으며 기둥 위와 사이에는 공포가 짜여져 있는 다포계 형식이다.
공포는 내외3출목으로 외부에는 쇠서[牛舌] 끝이 잘려 단순한 형태로 되어 있고,
내부의 살미첨차[山彌檐遮]는 초화형으로 장식되는 등 조선 중기 목조건축의 특징을 보여준다.
앞면에는 정자무늬와 빗살무늬로 된 삼분합이 달려 있으며 그 위에는 교창을 두어 건물이 높은 편이다.
내부에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외둘레간보다 한층 높게 만들었다.
불단 뒷면과 좌우에는 각각 2, 3개의 고주를 세워 대들보를 받치게 했으며, 불단 위에는 비로자나삼존불상이
안치되어 있고 1757년(영조 33)에 제작된 후불탱화가 있다. 이 불상 위로는 각각 J자 형의 처마로 된 정교하고
장식적인 닫집이 있다.
보물 제132호. 높이 640cm. 대웅전의 높은 석조 기단 밑에 2개의 석탑이 동·서로 서 있는데,
양식과 조각수법이 다르고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고 있지 않아 원래 쌍탑으로 건립된 것이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석탑은 단층기단으로 표면에 아무런 장식도 없다는 것이 서탑과 가장 다른 점이다.
지대석은 여러 매의 석재로 짜여 있고 그 위에 4매의 판석으로 된 하대석을 올려놓았으며
하대석의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가 조각되어 있다. 기단 갑석은 4매의 판석으로 덮었는데,
밑에는 부연이 있고 윗면은 약간 경사가 지면서 중앙에 1단의 각형 굄이 있다.
탑신부의 옥개와 옥신은 각각 다른 돌로 이루어졌으며 옥신석에는 각 층마다 우주만 표현했다.
특히 1층 옥신석은 높고 넓은 편이나 2층 옥신부터는 옥개석과 함께 급격하게 체감되었다.
옥개석은 4단으로 낙수면이 편평하며 추녀 밑도 수평으로 되어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과 복발이 남아 있으나
높은 간주 위에 놓인 보주는 원래부터 있었던 것인지 알 수 없다. 탑의 바로 앞 남쪽에는 배례석이 있다.
이 석탑은 단층기단과 불안정한 체감비율, 간략화된 형태 등에 의해서 9세기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통일신라시대 석탑 가운데 보기 드문 5층석탑의 한 예로서 중요하다.
보물 제133호. 높이 640cm. 2중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이 놓여 있는데 기단과 탑신부 표면에 신장상이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대석은 여러 매의 돌로 구성되었으며 하층기단의 하대석과 중석은 같은 돌로 되어 있다.
하대석의 각 면에는 우주와 2개의 탱주를 새긴 다음 각기 방위에 따라 십이지상을 안상 안에 3구씩 조각했다.
이와 같이 하층기단에 십이지상이 조각된 예는 원원사지동·서3층석탑이나 안동 임하동 3층석탑 등
통일신라 후기 석탑에서 가끔 볼 수 있다. 하층갑석은 4매의 판석으로 윗면에는 호형과 각형의 굄이 있다.
상층기단은 하층기단에 비해 높은 편으로 4매의 돌로 짜여 있으며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를 모각하고
팔부중상을 2구씩 조각했다. 상층갑석은 2매의 판석으로 되어 있으며, 밑에는 부연이 있고 윗면 중앙에는
2단의 굄이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는 각각 다른 돌로 만들어졌으며 옥신석에는
우주만 새겨져 있는데 1층 옥신 4면에는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다.
사천왕상은 신체가 장대하나 양감이 줄어들면서 갑옷의 띠주름이 굵어지는 등 통일신라 후기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옥개석은 5단의 층급받침이며, 낙수면이 완만하게 내려오다가 처마 끝부분에서 약간 반전되었고
추녀 밑은 수평으로 처리되었다. 상륜부에는 동탑과 마찬가지로 노반·복발 위에 간주가 달린 보주가 있으나 후보된 것이다. 석탑의 남쪽에는 배례석이 있는데 측면에 안상, 윗면에 연화가 조각되어 있다.
이 석탑은 전체적으로 고준하면서도 비교적 알맞은 체감비율, 옥개석의 반전, 기단과 탑신에 장식된 조각상이
투박하면서 간략화된 것 등으로 보아 9세기경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국보 제35호. 높이 550cm. 〈사적기〉에 의하면 자장율사가 연기조사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일종의 불사리 공양탑이라고 한다.
그러나 석탑의 양식으로 보아 조성연대가 7세기 중엽까지 올라간다고 볼 수 없다.
이 석탑은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이 놓여 있으나 상층기단이 특이하게 사자상으로 되어 있어 이형석탑(異形石塔)에 속한다.
지대석 위에는 3단의 높은 굄이 하층기단을 받치고 있으며 하대석의 각 면에는 우주를 조각하고
그 사이에 안상을 3구씩 배치했다. 안상 안에는 천인상(天人像)을 조각했는데, 천의자락을 날리면서
연화대좌에 앉아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을 추거나 공양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지물(持物)도 각기 다르다.
상층기단에는 암수 2쌍의 사자를 네 모퉁이에 각각 배치하고 머리 위에 연화대를 얹어 탑신을 받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 합장하고 서 있는 승상(僧像)은 머리로 탑신을 받치지는 않았으나 그 위에 연화무늬를 조각하여
천개를 표현했다. 석사자상은 연화대좌 위에 정면을 보고 앉아 있는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고 있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각각 표정이 달라서 인생의 희로애락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또한 승상은 연기조사의 어머니인 비구니라고 하며 이 석탑 바로 앞에 있는 석등 아래쪽에 꿇어앉아 있는 승상은
효성이 지극한 연기조사가 불탑을 받들고 서 있는 어머니께 석등을 머리에 얹고 차공양을 올리는 모습이라고 한다.
상층기단 갑석은 윗면에 약간 경사가 있으며 중앙에는 2단 굄이 있다.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는 각각 다른 돌로 이루어졌는데 1층 옥신 4면에는 자물쇠가 장식된 문비를 새기고
그 좌우에는 인왕상·사천왕상·보살상이 조각되어 있다.
2, 3층의 옥신에는 우주만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은 5단의 층급받침으로 낙수면이 평박하고 처마 끝부분에서
예리하게 반전되어 있어 경쾌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의 각 층 윗면에는 2단의 굄을 두어 옥신석을 받치도록 했다. 상륜부에는 노반·복발만 남아 있다.
이 석탑은 알맞은 체감비율과 옥개석의 경쾌한 반전, 우주 대신 4마리의 사자를 사방에 배치한 점,
하층기단 및 1층 옥신의 뛰어난 조각수법 등에 의해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석탑형식은 고려시대의 사자빈신사지석탑(1022)을 비롯하여 홍천물걸리4사자석탑 등으로 이어졌으며
조선시대에도 제작되었다.
첫댓글 정기상,이복자 참석합니다
홍갑식 참석
유재완,김정래 참석
조인주 참석
김용자,김용순,김용숙,김용원 참석
김순남,김동권 참석
박미란 참석
김영호,전향미 참석
김현곤,박경미 참석
김혜숙 참석
합창단 김연희,최정림,이희연 참석
전향미 지인 최명자 참석(현재까지 22명)
전향미 지인 김정희 참석(현재까지 23명)
합창단 이남녀외4명 참석(현재 28명) 마감합니다
정기상, 김영호 불참(현재 26명)
합창단 이남녀 지인 2명 참석(현재 28명)
마감합니다
홍갑식 불참(현재27명)
박선옥 참석(현재28명)
마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