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6기 광주토종학교 교육과정 소개
1. 특징
- 도시농부, 귀농귀촌준비 등 토종씨앗∙토종농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배우는 기초과정입니다.
- 토종씨앗으로 경작하고 채종하며 몸으로 하는 농사활동으로 나의 변화를 체험합니다.
-1-5기 동문들이 스텝으로 함께 농사활동을 하여 편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교육목표 : ‘씨앗 받는 토종농사’+‘씨앗에서 밥상까지’
- ‘토종씨앗 토종농사’ 책의 내용으로 농사를 합니다. 필요시 이론교육도 병행합니다.
- 최대한 씨앗 파종하고 화학농자재 사용 없이 소비하지 않는 경작을 합니다.
경작한 작물을 모두 밥상에 올려 자급하여 먹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 내가 사람의 씨앗 되어 “어떻게 살 것인가?” 자신의 답을 찾습니다.
3. 농사활동 : 공동 경작지 면적 약 70여 평
- 교육생들이 공동으로 함께 경작합니다. 교육기간중 개인 경작지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 경작지를 봄, 여름, 가을, 겨울작물로 일정 면적 구획하고 섞어짓기, 이어짓기, 돌려짓기를 합니다.
-일정 면적에 심어진 작물은 씨앗을 받을 때까지 돌보기를 합니다. 식용하지 않습니다(자급용 별도 운영)
-봄 채소작물과 열매채소, 호박 및 참외,콩,수수와 조 그리고 가을 김장작물을 심고 가꿉니다.
작물 공부와 재배법을 공부하고 실습합니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다년생 산채 및 작물 연구를 위한 기후텃밭도 조성합니다.
-겨울작물(양파, 마늘)도 농사합니다. 다음해 봄에 수확하여 씨앗을 나눕니다.
-수확한 작물과 채종씨앗은 함께 나누고 씨앗 일부는 다음 교육생과 시민들에게 나눕니다.
-증식용 씨앗을 관찰하면서, 채종하여 토종씨드림 등에 기부하고 시민 나눔 등 토종작물 종 다양성 활동에 기여합니다.
-교육생들이 분과를 조직하여 살림살이를 합니다.(음식, 관찰기록, 씨앗관리, 환경정비 등)
-교육생은 1달에 1번 농인문학강좌에 참여하며 보자기장에 셀러로 참여합니다.
-매 교육 시장 전 몸풀기 및 텃밭요가를 진행합니다.
-월1회 토종작물 식재료 활용을 위한 요리강좌 <전통지식의 재기능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4. 수강기간
- 입학: 2024년 3월 23(일) / 여름방학: 8월 3일(일) ~ 8월 10일(일) / 졸업: 2024년 12월 7일(일)
- 매주 일요일 오전 9시30분 ~ 오후 2시(개인경작 활동은 편한 시간에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 상황에 따라 수업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5. 모집인원
- 선착순 15명 (부부는 할인합니다)
6. 수강료 및 입금계좌
-35만원/ 농협 301-0005-4905-11 광주전남귀농운동본부
-입학식 이후에는 수강료를 환불하지 않습니다. 입학식 이전에는 환불됩니다.
-부부가 동시에 신청하면 20만원 할인하여 50만원입니다.
-청년(20대)은 수강료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입학식 후 후원회원으로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7. 신청기간
2025년 2월 15일부터 ~ 선착순 마감
8. 수강신청서 접수 및 문의
광주전남귀농운동본부 062)373-6183/농부운곡 010-3649-0952
수강료 입급 하시고 신청서 접수 soooshin@hanmail.net
(수강신청서는 하단 첨부 참조)
9. 교육 장소:이론 및 텃밭 실습 : 유덕동텃밭정원/귀농동문 농가
(광주광역시 서구 유촌동 820-8번지)
(교육 장소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10.교재 등 제공
- 교재 : "토종씨앗, 토종농사“ 제공 (저자 : 변현단, 출판사 : 이담북스)
- 토종씨앗과 호미와 낫 등 농자재 제공
2025 광주토종학교 6기 일정표: 씨앗 받는 토종농사_씨앗에서 밥상까지
차시 | 일자 (일요일) | 묻고 답하기 | 농사활동(요리) |
1 | 3월 23일 | 입학식/자기 소개 | 다년생 산채밭/쌈채소 파종/완두콩 파종 |
2 | 3월 30일 | 토종감자의 이해 | 여러 종류 감자심기/고구마순내기 |
3 | 4월 6일 | 장다리박기 | 키작은 강낭콩(두벌콩) 파종/기후밥상(풋마늘) |
4 | 4월 13일 | 열매채소 모종내기 | 과채류(호박,오이,참외,목화,토마토)모종내기 |
5 | 4월 20일 | 고추 씨앗으로 심기 | 생강,토란심기 |
6 | 4월 27일 | 토종농사(사이짓기, 이어짓기) | 옥수수 씨앗뿌리기/열매채소 모종심기 |
7 | 5월 4일 | 토종농사 어떻게 지어야 하는가? | 김매기/북주기/웃거름주기/솎아주기 |
8 | 5월 11일 | 토종농사와 풀/농부운곡의풀학교 | 수수 등 볏과작물 모종내기/과채류모종심기 |
9 | 5월 25일 | 기후변화, 가뭄 대비하기 | 참깨,잎들깨 파종/쪽파종구수확/기후밥상( 상추) |
10 | 6월 1일 | 토종씨앗 관찰방법 | 수수, 조 모종심기/고구마 심기 |
11 | 6월 8일 | 맑똥의 토종벼 이야기 | 토종배추 씨앗받기/토종벼 모내기 |
12 | 6월 22일 | 다양한 김매기 방법 | 토마토,고추 곁순따고, 참외 순지르기 |
13 | 6월 30일 | 보리,밀,호밀 거두기 | 감자 수확/기후밥상(토종감자) |
14 | 7월 6일 | 씨감자 저장, 관리방법 | 들깨모종 아주심기/콩 파종 |
15 | 7월 20일 | 농사의 기본자세/장마대비 | 팥 녹두 씨뿌리기/김매기/콩밭 풀 덮기 |
16 | 7월 27일 | 상추 씨앗 채종하기 | 당근 파종/기후밥상(고추+오이+갓끈동부) |
방학 | 8월3,10일
| 여름방학 | 분임별 조편성 자율적 텃밭 관리하기 |
17 | 8월 17일 | 90일 토종배추,60일 조선배추 | 토종결구배추 모종내기/밭만들기/기후밥상(토종고추) |
18 | 8월 24일 | 고추, 토마토 채종방법 | 잎채소와무씨앗뿌리기/쪽파심기/벌레잡기 |
19 | 9월 7일 | 가지씨앗 채종방법 | 토종결구배추 아주심기/양파모종내기 |
20 | 9월 14일 | 조선오이 채종방법 | 조선배추 씨뿌리기/갓 씨뿌리기 |
21 | 9월 21일 | 수수,조 벼과작물 채종방법 | 뿌리갓, 조선총각무 파종 |
22 | 9월 28일 | 토종마늘 알기 | 올마늘 심기/기후밥상(레몬그라스&허브차) |
23 | 10월 12일 | 농부운곡의 풀학교: 가을 풀 | 허브 생활재_풀연고 |
24 | 10월 19일 | 채종용 월동 잎채소 씨뿌리기 | 녹두와 팥 수확하기/ |
25 | 10월 26일 | 토종벼 베기 | 탈곡행사 체험 및 토종벼 씨앗 수집/기후밥상(토종무) |
26 | 11월 2일 | 토란, 고구마 월동 저장방법 | 양파와 늦마늘 심기, 콩수확 |
27 | 11월 9일 | 무 거두어 저장하는 방법 | 서리태, 서울총각무, 늙은 호박 등 |
28 | 11월 23일 | 동치미 담그기 | 무청시래기 말리기/기후밥상(호박) |
29 | 11월 30일 | 마늘밭 멀칭하기 | 왕겨,낙엽으로 마늘밭 덮기 |
30 | 12월 7일 | 김장 & 수료식 | 밭 정리하기/김장 /기후밥상(토종배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