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지 : 이화령~지름티재(은티마을)
◇ 산 행 코 스 : 이화령-조봉-황학산-백화산-평전치
사다리재-곰틀봉-이만봉-배너미평
전-희양산 삼거리-희양산-희양산 삼 거리-지름티재-은티마을(약 21km 10시간)
◇ 산행출발일 / 시간
ㆍ산행일 : 2025년 월 일(일요일)
ㆍ출발일 / 시간 : 2025년 월 일 :
ㆍ출발장소 : 안동시청 앞
ㆍ차량경유 : 시청-서부초등학교-옥동(던킨 앞)
◇ 준비물 : 중식ㆍ간식ㆍ식수(충분히) 기타 안전산
행에 필요한 개인장비(스패츠ㆍ스틱ㆍ보 온용 여벌옷ㆍ 헤드랜턴ㆍ예비 배터리
등)
◇ 회 비 : 60,000원
계좌 : 농협 739-02-165350 김신자
※ 안동산맥산악회에서는 차내 또는 현장에서 산행비
를 현금으로 받지 않습니다. 원활한 준비를 위해 반 드시 계좌로 선입금 부탁드립니다.
입금된 회비는 환불되지 않으며 사정상 산행이 불
가할 시 산행 2일 전에 연락 주시면 1회에 한하여
다음달로 이월하며 그달도 불참시 해당 회비는 본
산악회로 귀속 됩니다.
◇ 연 락 처
ㆍ회 장 : 강순구 010ㆍ3508ㆍ2033
ㆍ사무국장 : 김규상 010ㆍ6535ㆍ2572
ㆍ총 무 : 김신자 010ㆍ9311ㆍ4972
ㆍ산행팀
ㆍ산행대장 : 장재호 010ㆍ5270ㆍ4422
천성기 010ㆍ3522ㆍ7336
윤창식 010ㆍ8242ㆍ0130
◇ 주요 산행지 소개
이화령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
고개가 가파르고 험하여 산짐승의 피해가 많으므로 전에는 여러 사람이 어울려서 함께 넘어갔다하여 이유릿재라 하였다. 그 후에 고개 주위에 배나무가 많아서 이화령으로 불리게 됐다.
이화령의 높이는 548m이고, 소백산맥의 조령산(鳥嶺山, 1,017m)과 갈미봉(葛味峰, 783m)과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동쪽사면은 조령천(鳥嶺川)의 곡구(谷口)인 진안리에서 서쪽으로 분기하는 하곡과 통하고, 서쪽사면은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達川)으로 흐르는 연풍천(延豊川)의 하곡으로 이어진다.
도로도 위에 언급된 계곡을 따라 개통되었으나, 동편의 진안리에서 이화령 고개까지는 갈미봉의 산록을 따라 올라가고, 서편은 행촌리까지 ‘잣밭등’의 남쪽을 따라 내려간다. 고개 아래 연풍은 영하취락(嶺下聚落)이다. 옛날의 국도는 새재( 조령(鳥嶺))로 통하였으나, 새재는 몹시 높고 산로(山路)가 험하므로 신국도 3호선은 이화령을 통하게 되어 연풍은 이화령에 교통로가 열린 뒤에 발달한 신흥취락이다.
연풍에서 하곡을 따라 올라가 원풍리를 거쳐 분수령에 이르면 동쪽은 새재마루의 조령 제3관문이고, 서쪽은 소조령(小鳥嶺)이다. 소조령을 넘으면 온천으로 유명한 수안보(水安堡)에 이른다. 이와 같이 이화령은 충청북도의 충주권과 경상북도 북부의 점촌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이화령의 개통으로 북쪽의 문경 조령 관문은 제1·2·3 관문과 주변의 성곽 등을 1966년 사적으로 지정하고 크게 보수, 축조하여 도립공원으로 정비하였다.
조령의 통과는 중초리에서 통제되고 관광객이나 등산로 외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지만, 이화령은 국도 제3호가 통과하여 주변지역에서 산출되는 특용작물의 수송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이리하여 옛 조령에 이어 이화령은 새로운 교통요충지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국도 3호선은 도로가 구불구불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이 불편하다는 민원을 끊임없이 제기하였다. 이에 따라 민간투자사업으로는 처음으로 3번 국도가 4차로로 확장되면서 이화령 터널이 뚫렸다. 그 뒤 이화령 터널 옆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상하행선 터널이 추가로 관통됨으로써 모두 3개의 터널이 있게 됐고, 옛 이화령 포장도로까지 합쳐 10개의 차로의 도로들이 나란히 있는 실정이다. 이화령 터널을 건설할 당시 예상한 이용률보다 훨씬 적어서 문제가 되었고, 2007년 건설교통부가 ‘이화령 터널’을 인수하여 2007년 8월 1일 터널 통행료가 폐지되었다.
백화산( 白華山 ) (1063m)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겨울철에 눈 덮인 산봉우리의 모습이 하얀 천을 씌운 듯이 보여 백화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부근에는 황학산, 이화령, 이만봉(989m), 희양산 등의 높은 봉우리가 많다.
이만봉 (二萬峰)( 989m)
이만봉(二萬峰)은 옛날 임진왜란 때 이곳 산골짜기로 2만여 가구가 피난을 들어와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옛날 만호라는 벼슬을 한 이씨가 이곳에 살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이만호골이 시작되는 도막은 임진왜란 당시 도원수 권율이 군막을 쳤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충북과 경북을 가르는 경계선에 있으며 괴산군에서 최고봉인 백화산과 희양산의 중간에 위치한다. 독립된 산이기보다는 황학산, 백화산, 시루봉, 희양산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거대한 능선으로 표시된다
◇ 산행지도 및 참고사진
안 동 산 맥 산 악 회 회 장 엄 지 용 직인생략
첫댓글 1번~
2번 ㅎㅎ
2번 접수요ㅎㅎ~~
그럼ᆢ
3번 ~~~
천성기 입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서안동IC 입구 탑승요~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신청합니다
힘들어도 가야겠죠~~
정광수 권창혁 전중원 이정태 신청합니다
서선교 신청합니다!!!
※백두대간 19차 산행신청명단 (존칭생략)※
1~10
장재호.김수자.천성기.신창훈.윤창식
류수기.권기상.강순구.김장현.김신자
11~20
정광수.권창혁.전중원.이정태.서선교
우상국.조춘섭.박경순.권순창야전.강수림
21~30
김명숙.김영희.이인직.엄지용.오상봉
전거표.김경숙.김은영
※19차 산행비이월&납입명단 (존칭생략)※
1~10
권순창야전.오상봉.강순구.권창혁.전중원
류수기.박경순.김장현.천성기 김명숙
11~20
이인직.김신자 전거표.엄지용.김경숙
이정태.김영희.
💕엄지용회장님 찬조 200,000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우상국 신청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갑니다~~
신청합니다~~~
네~~언니 함께 가요^^
김명숙고문님 신청
고맙습니다~~
이인직고문님 참석~
감사합니다~^^
김경숙고문님 참석
고맙습니다~~
신청입니다
예^^
어제 보고 반가웠는데
신청도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