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붓다 | 무상정등각 | 잡아함경_498. 나라건타경 |
10력 | 잡아함경_684. 십력경 |
4무소외 | 증일아함경_27. 등취사제품[6] |
2 | 중생 제도 | 중생 | 중생에 관한 경들 |
선지식 | 선지식에 관한 경들 |
다문, 법사ㆍ설법 | 많이 들음과 법사ㆍ설법에 관한 경들 |
보시 | 보시에 관한 경들 |
인욕 | 인욕에 관한 경들 |
서원 | 서원과 과의 관계, 중아함경_173. 부미경 |
3 | 법의 4근본 | 무상 | 무상에 관한 경들 |
괴로움 | 괴로움[고]에 관한 경들 |
무아 | 나 아님[비아, 무아]에 관한 경들 |
열반 | 열반에 관한 경들 |
4 | 세계관 | 일체ㆍ세간 | 일체ㆍ세간에 관한 경들 |
4계ㆍ6계 | 중아함경_162. 분별육계경에서 |
5음 | 잡아함경_46.삼세음세식경 |
12처ㆍ18계 | 아함경의 세계관(1) |
3계 | 아함경의 세계관(2) |
윤회 | 윤회에 관한 경들 |
5 | 연기법과 공 | 12연기법 | 잡아함경_298. 법설의설경, 연기법에 관한 경들 |
공 | 공에 관한 경들 |
6 | 4성제 | | 중아함경_013. 도경, 중아함경_031. 분별성제경 |
7 | 중도 | | 중도에 관한 경들 |
8 | 삿된 견해 | | 잘못된 소견(1, 2 ,3, 4. 5. 6. 7 .8) |
9 | 업과 과보 | | 업과 과보에 관한 경들 |
10 | 수행법1 | 4무량심 | 4무량심(4등심)에 관한 경들 |
6념처 | 6념처에 관한 경들 |
10념처 | 10념처, 증일아함경3. 광연품[1-10] |
10일체처 | 잡아함경_549, 중아함경_215, 222 |
8제처[승처] | 중아함경_215. 제일득경 |
11 | 수행법2 (37도품) | 4념처 | 중아함경_098. 염처경 |
4정근[정단] | 증일아함경_26. 사의단품 |
4여의족 | 4신족[여의족]에 관한 경들 |
5근ㆍ5력 | 5근과5력에 관한 경들 |
7각지 | 잡아함경_713. 전취경 |
8정도 | 잡아함경_784. 사정경 |
12 | 선정ㆍ삼매 | 9선정 | 중아함경_168. 의행경 |
삼매 | 삼매ㆍ지 ㆍ관에 관한 경들 |
13 | 신통 | | 신통에 관한 경들 |
14 | 해탈ㆍ열반 | 해탈 | 해탈에 관한 경들 |
열반 | 열반에 관한 경들 |
15 | 사문법 | | 사문법[성문4과]에 관한 경들 |
이상의 내용가운데, 10-15 부분은 보통의 사람들은 접근하기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불교의 수행법은 출가하신 분들이 오로지 그것에만 매달린다 하더라도 성취하기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니 보통 사람들에게는 불교의 수행법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2-9 부분은 보동 사람들도 기초적 내용들을 차근차근 공부해 나간다면,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는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10의 6념처는 부처님과 법과 승가에 대한 믿음과, 보시와 계율, 하늘에 관한 내용이니, 보통 시람들도 그리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보통 사람들이 불교를 믿고 생활하는 데는 2-9 부분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수행법의 6념처를 어느 정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리라 생각된다.
요즈음 선원 등에서 유행하는 위빠사나 수행법에 관하여 덧붙여 두고자 한다.
하나는 위빠사사 수행법은 아함경의 4념처에도 충분히 잘 서술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수행법은 몸 관찰, 느낌 관찰, 마음 관찰, 법 관찰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들숨 날숨[아나파나, 안반] 관찰은 몸 관찰의 한 부분이다.
다른 하나는 위빠사나는 불교의 수행법이고, 불교의 수행법은 부처님 말씀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는 것이다. 물론 위빠사나는 불교를 믿지 않는 이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스스로 불교를 믿는다고 생각하는 이라면 이 사실을 늘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2025.06.02, 수정함.
++++++++++++
삼먁삼붓다[samyak-saṃbuddha, 三藐三佛陀]
정등각(正遍智)
정변각(正遍覺)
정변지(正遍知)
아뇩다라 샴막 삼 보리[anuttara-samyak-sambodhi, 阿縟多羅三貘三菩提]
위없고 바르고 윈만한 깨달음
무상정등각
무상등변각
무상정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