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
지·수·화·풍 사대가 불교에서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라고 규정한 것이라면, 오온五蘊은
인간이라는 한 개체를 구성하는 5 가지 요소라고 규정짓는 것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온蘊은 ‘쌓다’, ‘모여서 이루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반야심경에서 여러 차례 반복되어 나오는
용어인 색·수·상·행·식의 다섯 가지가 오온 입니다.
첫째, 색온色蘊은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물질인 육체를 말하는 것입니다.
둘째, 수온受蘊은 바깥의 경계에 대한 느낌을 몸과 마음으로 인식 시키도록 만들기 위한
‘받아들임’의 작용을 말하는 것입니다. 덥다, 춥다, 좋다, 나쁘다 등의 감각과 감정이 모두 이
수受의 작용이 있기에 가능합니다. 이 수의 기능에 부분적으로 장애가 생기면 의학적으로는
문제가 발생한 것입니다.
셋째, 상온想蘊은 수의 기능을 통해 느끼는 것을 바탕으로 ‘어떤 것이다’라는 판단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판단의 옳고 그름은 상온 자체의 책임은 아닙니다.
넷째, 행온行蘊은 수·상을 거쳐 온 판단을 식識에서 최종 정리를 하고 판별을 하게끔 ‘유지’
‘전달’하는 작용을 말하는 것입니다. 사실 상의 집착은 이 단계에서 형성되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섯째, 식온識蘊은 수·상·행을 거쳐 최종 인식단계까지 도달한 바깥 경계에 대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결론짓는 최종 단계의 의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서의 식 역시 옳고 그름을
정확히 판단해야 하는 기능과는 무관합니다.
여러분도 마음을 차분히 하고, 외부의 어떤 느낌이 색·수·상· 행·식을 거치는 과정을 관찰해
보시면 생각보다 쉽게 오온을 구별 하실 수 있습니다.
이 오온이 수행에 얼마나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는 반야심경의 시작이, 관자재보살이 오온이
공함을 관찰함으로써 일체의 고난에서 벗어난다〔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라는 것만으로도
따로 강조할 필요가 없음을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12처 18계>
지6근根+6경境+6식識=18계界
안근眼根 - 색경色境 - 안식眼識 → 안근이 색경에 부딪쳐 안식을 일으킴
이 - 성 - 이 → 이근이 성경에 부딪쳐 이식을 일으킴
비 - 향 - 비 → 비근이 향경에 부딪쳐 비식을 일으킴
설 - 미 - 설 → 설근이 미경에 부딪쳐 설식을 일으킴
신 - 촉 - 신 → 신근이 촉경에 부딪쳐 신식을 일으킴
의 - 법 - 의 → 의근이 법경에 부딪쳐 의식을 일으킴
12처 18계에 대한 해설은 아주 흔합니다. 너무나도 흔해 때론 해설 자체가 군더더기가 많아
번잡스럽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불법의 핵심인 것처럼 오인하게끔 말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주 간명하게 풀겠습니다.
우리 몸의 6가지 중요 감각기관을 6근根이라고 부릅니다. 6가지 감각기관에 닿는 바깥
환경(경계)을 6경境이라고 합니다. 6가지 감각 기관이 각각 6가지 바깥 환경에 대응하여
일어나는 생각을 6식識이라고 합니다.
6근+6경=12처
12처+6식=18계 이것이 12처와 18계입니다.
초기불교에서 설해진 ‘감각기관을 다스린다’라는 말과 마음을 관찰한다는 말은, 이 12처와
18계를 ‘나의 이해 관계없이’ 그대로 보라는 말입니다.
이 ‘이해관계 없이’라는 말이 후대에 바로 반야심경에서 사용한 공이라고 조견照見(오온과
더불어)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위의 표를 세로로 읽으면 6근은 <안·이·비·설·신·의> 6경 은 <색·성·향·미·촉·법>이고, 앞에
무無를 붙이면 반야심경의 구절이 만들어 집니다.
여기서 6식 중 ‘의식’을 제외한 5감각기관의 식識을, 모든 의식의 앞에 있는 말초적 식이라는
의미로 전5식前5識이라고 하고, 6번째의 식을 6식識이라고 이름한 것이 바로 세친의
유식학입니다. 또한 5가지 말초식과 6번째 의식을 관장하고 좋다, 싫다를 구별하는 식을
조금 더 깊은 7식識 또는 분별식分別識, 사량식思量識이라고 말합니다.
7식까지는 선악과 분별을 포함한 의식이지만, 깨달음이라는 청정한 마음은 일체의 시비와
분별을 여읜 마음이어야 하니, 한 걸음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 8식識(아뢰야식)이라고
이름 한것이 유식학입니다.
12처와 18계를 설명하며 유식학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식의 논리가 붓다께서 설하신
감각기관의 다스림과 관찰(12처 18계)과는 무관 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말하고자 함입니다.
세친의 유식에서는 결국 8식이 전변轉變하여 청정무구한 깨달음에 이른다 하지만,
반야심경에서는 오히려 모든 마음의 움직임과 실체를 공空하다 하니, 잘 살피면 유식과는
오히려 상반되는 것입니다. 곧 용수가 중론에서 말한 연기와 공의 개념이 붓다의 가르침에
잘 맞는다는 말씀입니다.
12처와 18계를 이해하는 핵심은 근根·경境·식識이 정연하게 연기緣起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