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육법한자TV : https://www.youtube.com/channel/UCRK3HjQZQWoACdjrp6shkhQ/
육법(헌법, 민법, 형법, 상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에 등장하는 한자는 중복된 자를 제외하면 총 1,267자입니다. 중복된 횟수를 포함하면 육법에 한자가 137,703회 등장합니다. 이는 2016년 9월 1일까지 공포되고, 2016년 9월 1일 현재 시행중인 법률을 기준으로 산출한 수치입니다. 2016년 9월 1일까지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2016년 9월 2일 이후인 조항도 포함하여 산출하였으며 각 법률의 모든 부칙을 포함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기준 법률 : 대한민국헌법(법률 제00010호), 민법(법률 제13125호), 형법(법률 제14178호), 상법(법률 제13523호), 민사소송법(법률 제13521호), 형사소송법(법률 제14179호)
* 기준 법률 다운로드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2QvLxuqVrIN6UUL4u-xLc0V9Ptmrw_ul?usp=sharing
또한 동일한 한자이더라도 해당 한자가 법조문 상에서 여러 독음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를 별개의 한자로 취급하였습니다. 예컨대 다스릴 리/이(理)는 法定代理人(법정대리인), 財産管理人(재산관리인), 國務總理(국무총리) 등의 단어에서는 ‘리’로 발음되고 理事會(이사회), 上告理由書(상고이유서), 代表理事(대표이사) 등의 단어에서는 ‘이’로 발음되는데 이러한 경우 다스릴 리(理)와 다스릴 이(理)를 별개의 한자로 취급하였습니다.
영상을 통해 육법한자 1,267자를 높은 빈도순으로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각 한자마다 해당 한자의 훈과 음, 획수, 부수를 표기하였습니다. 또한 각 한자마다 해당 한자가 육법 중 어느 법률에서 등장하는지, 해당 한자가 육법 전체에서 몇 회 등장하는지(등장횟수), 해당 한자가 등장횟수를 기준으로 몇 등에 해당하는지(빈도순위) 표기하였습니다. 등장횟수가 동일한 한자들은 가나다순으로 등수를 매겼습니다.
육법에 한자가 등장하는 횟수가 총 137,703회인데 그 중 빈도순위 1등부터 500등에 해당하는 500개의 한자가 등장하는 횟수는 131,401회입니다. 이는 빈도순위 1등부터 500등에 해당하는 500개의 한자가 육법 전체에서 95.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131,401 / 137,703) * 100 = 95.4 물론 나머지 767개(빈도순위 501등 ~ 1,267등)의 한자도 학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각 한자마다 해당 한자가 사용된 한자 단어(두 글자 이상의 한자 조합)를 최대 10개까지 수록하였습니다. 각 한자에 수록된 한자 단어들은 모두 육법 법조문에서 높은 빈도순으로 발췌한 것입니다. 각 한자에 수록된 한자 단어는 법조문 상의 띄어쓰기 방식을 그대로 따랐습니다. 한자 중에는 한자 단어가 수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는 해당 한자가 육법 전체에서 한 번도 한자 단어로 사용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예컨대 고을 군(郡)자는 육법 전체에서 한 번도 한자 단어로 사용되지 않았고 개별 한자로만 사용되었습니다.
육법한자 제본 구입 문의 : conan.doyle@kakao.com
육법한자 제본 샘플 : https://drive.google.com/file/d/1LzR9Q3sH3VSKSur2uX2sqdP3dAL0KEnz/view?usp=sharing